1 / 1
" IRP 수익률"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28▲ iM뱅크 본점 전경 [출처=iM뱅크]iM뱅크(아이엠뱅크·은행장 황병우)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말 기준 개인형 퇴직연금(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IRP) 원리금 보장형 상품 1년, 3년, 5년 수익률 부문에서 은행권 전체 1위를 달성했다.2022년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 ETF) 판매를 개시했다. 수익증권, ETF 상품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등 수익률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진행해왔다.최근 금융감독원 통합 연금 포털 퇴직연금 비교 공시에서 iM뱅크(아이엠뱅크)의 개인형 IRP 원리금 보장형 상품 수익률이 최근 1년간 3.34퍼센트(%)로 은행권 1위를 달성했다. 원리금 보장형 상품 3년, 5년 수익률도 각각 3.04%, 2.20%를 기록하며 은행권 1위를 차지했다.또한 개인형 IRP 원리금 비보장형 상품 1년 수익률도 7.89%로 은행권 2위를 기록하는 등 개인형 IRP 수익률에서 두각을 보였다.확정급여(Defined Benefit, DB)형 원리금 비보장 상품 1년 수익률은 7.24%로 은행권 2위, 확정기여(Defined Contribution, DC)형 원리금 보장형 상품 1년 수익률은 3.20%로 은행권 3위를 기록했다.박영삼 영업 지원그룹 상무는 “iM뱅크(아이엠뱅크) 퇴직연금을 믿고 선택해 주신 고객님들께 감사드리며 고객님의 든든한 노후 대비를 위해 수익률 관리에 더욱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
2025-01-17▲ 미래에셋생명 로고[출처=미래에셋생명]미래에셋생명(대표이사 부회장 김재식, 대표이사 황문규)에 따르면 퇴직연금 확정기여형(DC형) 연간 수익률이 전 금융권 가운데 1위, 개인형(IRP)은 보험업권에서 1위를 각각 차지했다.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공시자료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미래에셋생명 DC형 퇴직연금(원리금 비보장형) 연간 수익률이 12.91%를 기록하며 증권·은행·보험사를 포함한 전체 퇴직연금 사업자 중 1위를 차지했다.개인형(IRP형) 또한 연간 수익률 12.05%로, 보험업권 1위에 올랐다. DC형 퇴직연금 금융권 평균 수익률은 은행(8.30%), 증권(8.14%), 보험(5.49%)로 나타났으나 미래에셋생명은 12.9%로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했다.미래에셋생명은 IRP(개인형) 또한 12.05% 수익률로 은행(7.76%), 증권사(9.08%), 보험사 평균(5.61%)을 모두 웃도는 성과를 기록했다.미래에셋생명이 우수한 수익률을 기록하게 된 배경에는 ‘글로벌MVP펀드’ 시리즈가 기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업계 최초의 일임형 자산배분형 펀드 ‘글로벌MVP펀드’ 시리즈는 미래에셋생명의 전문가가 제안하는 펀드 포트폴리오로 장기적인 자산배분 전략과 글로벌 시장 흐름에 따른 분기별 펀드 선택으로 운용된다.전순표 미래에셋생명 연금영업부문대표는 “퇴직연금의 수익률 관리를 위해 차별화된 서비스, 상품 그리고 시스템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많은 고객이 ‘글로벌 MVP펀드’ 시리즈를 중심으로 글로벌 우량자산에 투자하는 미래에셋생명 퇴직연금을 통해 행복한 은퇴 설계를 준비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2025-01-16▲ 하나은행 로고[출처=하나은행]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의 통합연금포털 퇴직연금 비교공시에서 2024년 12월 말 기준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0.2조 원을 기록했다.2024년 한 해 동안 6.6조 원(IRP 3조 원, DC 1.9조 원, DB 1.7조 원)이 증가해 전 금융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하나은행은 2023년에도 퇴직연금 적립금 6.4조 원 증가로 전 금융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한데 이어, 2년 연속 전 금융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달성해내며 손님들로부터 신뢰받는 퇴직연금 강자임을 증명했다.또한 하나은행은 2024년 연간 기준 개인형IRP와 확정기여형(DC)의 원리금비보장상품 운용 수익률 부문에서도 은행권 1위를 기록하며 퇴직연금 1등 은행 이미지를 공고히 했다.이와 같은 꾸준한 성과는 하나은행만의 차별화되고 선도적인 퇴직연금 상품운용과 손님 중심의 연금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다.먼저 하나은행은 2021년 은행권 최초로 퇴직연금 ETF 상품을 판매 개시한 데 이어 2022년에는 은행권 최초 채권 직접투자를 도입했다.퇴직연금 전 업권에서 유일하게 원금보존추구형 ELB 상품을 판매하는 등 손님들께 다양한 퇴직연금 투자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하나은행은 업계 최초로 퇴직연금 손님만을 위한 전문 상담센터 ‘연금 더드림 라운지’를 서울·경기·대구·부산 등 전국 7개 주요 거점에 설치했다.2025년에도 자산관리에 최적화된 다양한 퇴직연금 상품 안내와 연금 설계를 받을 수 있는 전용 공간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이외에도 영업점 방문이 어려운 손님들을 위한 △카카오톡 ‘퇴직연금 스마트 안내장’ △모바일 은퇴설계 솔루션 ‘하나더넥스트 연금플래너’ △모바일 연금진단 서비스 ‘하나원큐 연금닥터’ 등 쉽고 편리하게 손님들이 이용하고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비대면
-
2024-07-18▲ KB국민은행 신관[출처=KB국민은행]국내 5대 은행에 포함된 KB국민은행(은행장 이재근)은 2024년 2분기 말 기준 최근 1년 간 퇴직연금 개인형IRP 실적배당상품의 운용 수익률 부문에서 시중은행 중 1위를 달성했다고 밝혔다.KB국민은행 퇴직연금 DC형은 17년 연속, 개인형IRP는 14년 연속으로 적립금 규모 1위라는 우수한 성적을 이어오고 있다.2024년 2분기 말 기준 KB국민은행의 퇴직연금 총 적립금은 DC형이 13.2조 원, 개인형IRP 14.3조원로 전 사업자 중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고용노동부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 공시’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의 1분기 말 기준 수익률을 살펴보면 ‘고위험포트폴리오1’는 22.85%, ‘중위험포트폴리오1’는 14.26%, ‘저위험포트폴리오2’는 9.78%를 각각 기록했다. 각 상품군에서 은행권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인 것으로 드러났다.‘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공시’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의 2분기 말 기준 개인형IRP 수익률(실적배당상품)이 13.62%로 시중은행 중 가장 높았다.또한 확정기여형(DC)와 확정급여형(DB)의 실적배당 상품의 수익률도 각 13.73%, 9.42%를 기록해 시중은행 중 2위로 상위권에 위치했다.참고로 퇴직연금 DC형은 2007년~2023년까지 17년, 개인형IRP는 2010년~2023년까지 14년을 포함한다. 자료 출처는 은행합회 퇴직연금 비교 공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