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7G"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국제 인증기관 UL로부터 국내 최초로 형식 인증을 취득한 두산에너빌리티 10MW 해상풍력발전기 [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자사가 개발한 10메가와트(MW) 해상풍력발전기(모델명 DS205-10MW)가 국제 인증기관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형식 인증(Type Certification)을 취득했다.국내 기업이 10MW급 해상풍력 모델에 대해 국제 인증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인증을 취득한 10MW 모델은 두산에너빌리티가 2022년 개발한 8MW 모델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2025년 2월부터 전라남도 영광에서 실증을 시작해 4월 현장 실증시험 마무리 후 설계 및 시험 데이터 검증을 거쳐 국제 인증을 취득했다.이 모델은 블레이드 회전 직경 205미터, 전체 높이는 아파트 약 80층에 해당하는 230미터에 이른다. 6.5미터(m/s)의 저풍속 환경에서도 이용률 30퍼센트(%) 이상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이용률은 1년 동안 풍력발전기가 실제로 생산한 전력량을 정격 용량으로 생산 가능한 전력량으로 나눈 비율을 뜻한다.2005년 해상풍력 사업을 시작한 두산에너빌리티는 2017년 제주 탐라(30MW), 2019년 전북 서남해(60MW), 2025년 제주 한림(100MW) 프로젝트에 해상풍력발전기를 공급하며 국내 해상풍력 최다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그 과정에서 사업 초기 약 30% 수준에 머물렀던 부품 국산화율을 현재 약 70% 이상으로 끌어올리며 국내 해상풍력 생태계 조성에 기여해왔다.정부는 2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풍력발전 설비용량을 2038년까지 40.7기가와트(GW)로 확대하는 목표를 제시했다.현재 국내 풍력발전 누적 설비 용량은 2.3GW에 불과해 빠른 확대가 전망된다. 정부는 '해상풍력 특별법',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전환 가속화',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 등의 정책을 통해 국내 해상풍력 보급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
-
▲ LG전자 게이밍 모니터 27G850A 신제품[출처=LG전자]LG전자(그룹회장 구광모, 대표이사 조주완)에 따르면 온라인 공식 인증점 혜지시스템이 나노IPS 블랙 모니터 신제품 1종을 새롭게 선보인다.이번에 출시하는 혜지시스템 27G850A 모니터는 출시 전부터 많은 고객들의 주목을 받았다. 압도적인 스펙과 함께 ‘세계 최초 듀얼모드’ 기능을 핵심으로 선보인 제품이다.앞서 2204년 출시돼 큰 화제를 일으킨 32GS95UE의 듀얼 모드 기능을 동일하게 지원하되 올레드 패널 대신 나노IPS 블랙 패널을 탑재해 올레드를 선호하지 않는 고객들의 니즈와 많은 기대감을 충분히 충족시킬 만한 스펙을 갖고 있는 제품이다.또한 △나노IPS 블랙 디스플레이 탑재 △3840X2160(4K/UHD) △명암비 2000:1 △딥 블랙 프로 기술 △DCI-P3 99%(CIE 1976) △주사율 240~480Hz △응답속도 1ms(GtG) △듀얼모드 등을 지원하는 27인치 게이밍 모니터다.아울러 게임 또는 콘텐츠 시청 등 사용 환경에 따라서 고해상도 모드(4K/240Hz)와 고주사율 모드(FHD/480Hz)를 모니터 하단 버튼 하나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는 VESA 인증 ‘듀얼모드’ 기능이 탑재돼 있다.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딥 블랙 프로’ 기술과 2000:1 명암비로 블록 기반의 정밀한 밝기 제어기술로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밝은 부분은 더 밝게 보여주는 또렷한 영상을 경험할 수 있다.또 HDMI와 마찬가지로 Display Port 2.1을 지원함에 따라 PC뿐 아니라 콘솔과도 원활하고 쾌적한 연결을 지원한다.NVIDIA G-SYNC™ Compatible, FreeSync™ Premium Pro는 VESA 인증 어댑티브 싱크까지 지원함으로써 게임 플레이 및 콘텐츠 시청 시 안정적이고 지연 없는 완벽한 몰입감을 경험할 수 있다.혜지시스템은 이번 신제품 &lsq
-
2020-04-16영국 글로벌 회계법인 딜로이트(Deloitte)에 따르면 2030년대까지 6G 통신이 완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10년간 연결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이미 각국가들은 6G 개발경쟁에 돌입했으며 일본 정부는 2020년 1월 6G 전략을 세우고 기술에 관한 전담 패널을 구성했다. 민간 부문 6G 연구개발(R&D) 강화를 위해 약 2200억 엔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중국 역시 최근 정부기관과 연구기관이 6G 개발을 위한 사전 만남을 가졌다. 핀란드는 이미 오울루대학(University of Oulu)을 중심으로 개발에 들어갔으며 2019년 9월 세계 최초 6G 플래그십(Flagship) 리서치 프로그램백서를 발표했다.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 2월 MWC2019에서 가능하다면 미국에서 6G 기술을 갖길 원한다고 밝혔다. 미국 기업들에게 연구개발 노력을 촉구했다.또한 2020년 말까지 전세계 1000개 이상의 기업들이 공장, 항만, 물류센터와 같은 산업현장에 5G를 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2030년까지 수백만 가정은 광대역 및 5G와 연결되고 5G는 더나은 제품과 서비스로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Oulu▲ 오울루대학(University of Oulu) 홈페이지
-
2018-12-12일본 이동통신업체인 엔티티도코모(NTT DoCoMo)에 따르면 차량 야외시험에서 27Gbps의 5G속도를 달성했다. 미쓰비시전기(Mitsubishi Electric)와 공동으로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에서 시험을 진행했다.한 터미널에서 20Gbps의 최고 속도를 초과하는 세계 최초의 5G전송 속도를 기록한 것이다. 10 미터의 통신거리에서 27Gbps, 100미터 이상의 통신거리에서 25Gbps 속도를 각각 달성했다.엔티티도코모는 28GHz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 대역, 거대 소자 안테나 시스템 및 500MHz 대역폭의 16-빔 공간 멀티플렉싱 기술을 사용했다.거대 소자 안테나 시스템은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병렬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승객이 있는 기차와 버스와 같은 차량에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양사는 아날로그 영역 및 빔간의 간섭 감소기술을 이용해 빔 형성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들은 기지국에서 디지털 신호처리로 중첩 빔을 적절히 분리하며 이를 통해 4G에서 불가능했던 16-빔 공간 멀티플렉싱이 가능해진 것이다.2019년 3월말 이전에 실내시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엔티티도코모는 2020년에 새로운 모바일 네트워크를 시작해 일본에서 5G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참고로 엔티티도코모는 2014년 12월 중국 화웨이와 양해각서(MOU)에 서명했으며 중국 청두에서 대용량 미모(Massive MIMO)의 실외 현장시험을 실시했다. 또한 2018년 NEC(NEC Corporation)와 5G 장비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 Japan-NTTDocomo-5G-outdoortest▲ 엔티티도코모와 미쓰비시전기의 야외시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