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52
" 50"으로 검색하여,
1,51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8-14▲ ㈜오뚜기, LIGHT&JOY ‘당을줄인 핫케이크믹스’ [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회장 함영준, 대표이사 사장 황성만)에 따르면 LIGHT&JOY '당을줄인 핫케이크믹스'를 출시한다. LIGHT&JOY '당을줄인 핫케이크믹스'는 버터분말과 메이플맛 분말을 더해 부드럽고 풍부한 맛이 특징이다.취향에 따라 과일, 시럽 등을 곁들인 브런치 핫케이크, 계란과 샐러드햄을 곁들인 클래식 아침 핫케이크 등 여러 토핑을 더해 다채롭게 즐길 수 있다.특히 저당 디저트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2030 여성 소비자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쉬운 레시피로 어린이와 함께 가정에서 간편하게 조리하기에도 적합하다.또한 해당 제품은 시중 판매되는 상위 3개 제품 대비 당 함량을 50퍼센트(%) 이상 낮춰 건강과 맛을 모두 고려했다. 기존 오뚜기 '핫케이크믹스'와 비교해도 당 함량을 28%에서 12%로 절반 이상을 줄였다. 설탕 섭취를 줄이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했다.‘LIGHT&JOY’는 오뚜기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저감 식품 시장을 겨냥해 새롭게 론칭한 건강지향 브랜드다. '즐기세요, 더 가볍게!’ 라는 슬로건 아래, 당과 열량 등 특정 성분을 줄인 소스류, 드레싱, 과일 가공품, 잼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건강하면서도 맛있는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오뚜기 관계자는 "기존의 핫케이크믹스, 쌀핫케이크믹스, 쵸코핫케이크믹스등 라인업에 당 함량을 낮춘 제품을 새롭게 추가하여 로우스펙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에게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하고자 했다"며 "앞으로도 건강한 맛을 함께 고려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고 밝혔다.
-
2025-08-12▲ 쿠팡, 에코백스 최신 로봇청소기 ‘디봇 T50 프로 옴니’ 여름 특별 할인 [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박대준)에 따르면 2025년 8월24일(일)까지 글로벌 프리미엄 로봇청소기 브랜드 ‘에코백스(Ecovacs)’의 최신 플래그십 모델 ‘디봇 T50 프로 옴니’를 대상으로 여름 시즌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에코백스는 로봇청소기 분야 기술 혁신을 이끌며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프리미엄 브랜드다. 이번 행사를 통해 에코백스의 최신 기술이 집약된 디봇 T50 프로 옴니를 정가 79만9000원에서 12.5퍼센트(%) 할인된 69만9000원에 구매할 수 있다.모든 구매 고객에게 전용 세정제를 추가로 증정하며 쿠팡안심케어 혜택 적용 시 최대 5년까지 무상보증이 가능하다.에코백스 디봇 T50 프로 옴니는 2025년 쿠팡 로봇청소기 카테고리 스테디셀러인 ‘T30S 프로 옴니’의 후속작으로 강력한 청소 성능과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업계 최고 수준인 1만5000파스칼(Pa)의 강력한 흡입력으로 미세먼지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81밀리미터(mm)의 슬림한 높이로 낮은 소파나 가구 밑까지 손쉽게 청소한다.특히 에코백스만의 특허 기술인 ‘트루엣지(TruEdge) 2.0’ 기능으로 벽 가장자리나 가구 주변 등 청소하기 어려운 사각지대까지 빈틈없이 닦아낸다.또한 ‘제로탱글(ZeroTangle) 2.0’ 기술이 적용된 듀얼 빗살 구조의 메인 브러시는 머리카락 엉킴을 효과적으로 방지해 유지보수의 번거로움을 줄였다.청소 후에는 75도의 고온으로 물걸레를 자동 세척하고 세제를 자동 투입해 냄새와 세균 번식 걱정 없이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쿠팡은 최근 ‘로봇청소기 셀렉트샵’을 새롭게 론칭하며 가성비 제품부터 프리미엄 브랜드까지 다양한 제품을 추천하고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이번 디봇 T50 프로 옴니 프로모션 역시 셀렉트샵의 전략적 확장의
-
2025-08-12▲ 보훈공단 윤종진 이사장, 광복 80주년 맞아 보훈원 국가유공자 어르신에게 삼계죽 대접 [출처=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하 ‘보훈공단’)에 따르면 2025년 8월11일 오전 윤종진 보훈공단 이사장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경기도 수원 보훈원에서 생활하고 있는 오성규 애국지사를 위문했다.윤종진 이사장은 오성규 애국지사의 건강 상태와 불편한 점을 살피고 보훈원, 수원보훈요양원 입소 국가유공자들에게 삼계죽을 배식하는 등 ‘보훈나눔의 날’ 봉사활동을 진행했다.이번 ‘보훈나눔의 날’ 행사는 보훈원을 비롯한 전국 8개 보훈요양원에서 입소 중인 국가유공자 등을 대상으로 총 2500인분의 삼계죽과 건강 간식을 지원하는 행사다.▲ 보훈공단 윤종진 이사장, 광복 80주년 맞아 오성규 애국지사 위문(왼쪽에서 7번째 윤종진 보훈공단 이사장) [출처=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이날 행사에는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신현석 보훈공단 사업이사, 김인관 KT 노조위원장, 김지혜 본아이에프 이사 등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했다.한편 보훈공단은 오성규 애국지사 등을 포함한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 국민을 위해 전국 6개 보훈병원과 8개 보훈요양원 등을 운영하고 있는 공공의료복지기관이다.
-
2025-08-04▲ GC녹십자 본사 전경 [출처=GC녹십자]GC녹십자(회장 허일섭)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5년 2분기 매출액 잠정 집계액이 500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9퍼센트(%) 증가했다. GC녹십자가 분기 매출이 5000억 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1% 성장했다. 순이익은 327억 원을 기록했다. 주요 품목의 글로벌 사업 확대로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경신했다.GC녹십자 별도 사업 부문별로는 혈장분획제제 매출이 1520억 원, 백신제제 1029억 원, 처방의약품 1061억 원, 일반의약품 및 소비자헬스케어 308억 원으로 각각 나타났다.특히 혈장분획제제 부문에서는 알리글로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며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입지를 다졌다. 알리글로는 미국 시장 출시 1년 만인 2025년 7월 누적 매출 1000억 원을 달성했다.더불어 백신 부문에서는 배리셀라가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며 외형 확대와 더불어 수익성 향상에 기여했다. 처방의약품 부문에서는 헌터라제 해외 매출이 증가하며 성장을 이끌었다.앞서 실적을 발표한 연결 대상 자회사들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GC셀 매출액은 430억 원을 기록했으며 전분기 대비 영업적자 폭을 축소했다.주요 사업 부문이 회복세를 보이며 외형 성장을 견인했다. 연구개발 및 사업 운영 효율화를 통한 수익성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GC녹십자엠에스와 GC녹십자웰빙도 각각 주력 사업인 진단 키트와 주사제 사업 호조로 매출 성장과 양호한 수익을 창출했다.GC녹십자는 "2025년 하반기 경제 불확실성이 전망됨에도 주력 사업 부문의 실적 호조세는 이어질 것이다"고 밝혔다.
-
2025-08-01▲ 쿠팡, 스낵·간편식 등 여름방학 식품 8000여개 최대 50% 할인 [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박대준)에 따르면 2025년 8월3일(일)까지 여름방학을 대비해 8000여 개 먹거리를 최대 50퍼센트(%) 할인가에 선보이는 식품 기획전을 진행한다.쿠팡은 고물가 속 고객 장바구니 부담을 덜기 위해 ‘여름방학 대비 식품’ 기획전에서 간편식·생수·커피·음료·스낵·견과류·건강식품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식품 8000여개를 할인 특가에 선보인다.통계청이 발간한 2025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가공식품 물가는 2024년 동월 보다 4.6% 상승했다. 이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2.2%의 두 배 이상으로, 19개월 만에 최고치 수준이다.다양한 먹거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여름방학 핫 세일 △최근 구매 많은 상품 △별점 4점 이상 △1만원 이하 코너도 운영해 고객 편의를 높였다.대표상품으로 △더해담 동치미육수 평양물냉면 △더미식 바지락순두부찌개 양념 △온돌리바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유 △크라운 헬로키티 과자세트 △롯데웰푸드 몽쉘 △한방선생 작두콩차 △정관장 에너지 활기력샷 △대상웰라이프 마이밀 퓨로틴 등을 선보인다.쿠팡 관계자는 “여름방학을 맞아 집에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식품들을 엄선해 준비했으니 쿠팡에서 즐거운 쇼핑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
2025년 7월31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 정부는 대기업이 중소벤처기업에 지급하는 납품 대금의 최대 기간을 단축할 방침이다. 지연에 따른 피해가 막대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프랑스 에어버스(Airbus)는 경쟁사인 미국 보잉(Boeing)이 품질문제로 고전하는 사이에 사상 최고의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엔진 공급의 지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아일랜드는 데이터센터의 증설,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건물의 전기 냉난방장치 설치 증가 등으로 전기 수요량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이유다.▲ 프랑스 항공기 제조업체인 에어버스(Airbus)가 판매하는 여객이 이미지 [출처=홈페이지]◇ 영국 정부, 공급업체에 대금을 늦게 지급하는 기업에 대해 벌금을 부과하는 법률을 제정할 계획영국 정부는 공급업체에 대금을 늦게 지급하는 기업에 대해 벌금을 부과하는 법률을 제정할 계획이다. 현재 최대 대금지급 기간은 60일인데 45일로 줄일 방침이다.대금 지연은 영국 경제에 연간 £110억 파운드의 손실을 끼치며 매일 38개의 기업을 파산으로 몰고가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인 건설업체, 전기업체부터 프리랜스 디자이너, 제조업체 등은 납품 대금을 받기 위해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한다.중소기업은 대금을 받기 위해 투입하는 노력을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을 확장하는데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부는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40억 파운드를 지원할 예정이다.◇ 프랑스 에어버스(Airbus), 2025년 2분기 매출액 €160억9000만 유로프랑스 항공기 제조업체인 에어버스(Airbus)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매출액은 €160억7000만 유로로 집계됐다. 2분기에 인도한 항공긴느 170대로 전년 동기 181대에 비해 줄어들었다.2분기 민간항공기 사업부의 매출액은 113억10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6% 축소됐다. A321 여객의 엔진 공급에
-
2025-07-312025년 7월31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사이버 보안업체는 신원 관련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이스라엘 기업을 인수합병했다.캐나다 지방정부는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로 시민단체로부터 제소를 당했다. 국민의 세금이 기후변화를 초래할 화석연료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다.브라질 민간은행은 2025년 2분기 미국의 관세전쟁에도 호실적을 달성했다. 인플레이션 기조가 유지됨에도 가계의 수입이 증가하고 이자율 인상이 지연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사이버 보안업체인 팔로알토네트웍스(Palo Alto Networks) 빌딩 [출처=위키피디아]◇ 미국 팔로알토네트웍스(Palo Alto Networks), 이스라엘 사이버아크(CyberArk)를 US$ 250억 달러에 인수글로벌 사이버 보안업체인 팔로알토네트웍스(Palo Alto Networks)는 이스라엘 사이버아크(CyberArk)를 US$ 250억 달러에 인수했다고 밝혔다.사이버아크는 신원 관리와 보안 회사로 신원 관련 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목적이다. 2018년 최고경영자(CEO)에 취임한 니케시 아로라(Nikesh Arora)는 대규모 인수합병을 주도하고 있다.그동안 인수합병한 회사를 보면 2023년 10월 4억 달러에 딕시큐리티, 2023년 11월 탈론사이버시큐리티를 6억2500만 달러, 2021년 2월 브릿지크루를 1억5600만 달러 등으로 다양하다.◇ 캐나다 브리티시콜롬비아(B.C.) 주정부, 시민단체로부터 그린워싱(greenwashing) 혐의로 제소 당해캐나다 브리티시콜롬비아(B.C.) 주정부에 따르면 시민단체로부터 그린워싱(greenwashing) 혐의로 제소를 당했다. 북부 해안에서 추진하고 있는 C$ 2억 달러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가 정상적이지 않기 때문이다.이 프로젝트를 하일라네이션(Haisla Nation)이 주도하고 있으며 2028년부터 LNG를 수출할 부유식 가스
-
▲ 2025년 7월 케냐 전기 모빌리티 스타트업인 바시고(BasiGo)는 전기 마타투(matatus) 시범 사업 프로그램을 개시했다. [출처=바시고 엑스(X) 계정] 2025년 7월28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나이지리아와 케냐의 정부 정책과 교통을 포함한다. 나이지리아 폐기물 판매자 고용 협회(NASWDEN)에 따르면 2025년 말까지 폐기물 산업 부문에 일자리 500만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케냐 전기 모빌리티 스타트업인 바시고(BasiGo)에 따르면 2025년 7월 첫번째 시범 사업 프로그램인 전기 마타투(matatus)를 개시했다. ◇ 나이지리아 폐기물판매자고용협회, 2025년 말까지 폐기물 산업 부문 일자리 500만개 창출할 계획나이지리아 폐기물판매자고용협회(NASWDEN)에 따르면 2025년 말까지 폐기물 산업 부문에 일자리 500만개를 창출할 계획이다.협회는 일자리 교육을 통해 그동안 폐기물 산업 부문에서 일자리 1000만개를 창출했으며 2025년 말까지 총 15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공공 기물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치하고 있으며 기업 혹은 개인에게 재활용이 가능한 철 제품을 공급받는다고 밝혔다.금속 재활용을 통해 경재 활성화와 국내 철강 생산 산업의 해외 원자재 수입 의조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케냐 농업부, 2025년 7월21일부터 사탕수수 최저가 1톤(t)당 Sh 5750실링으로 인상케냐 농업부(The Ministry of Agriculture)에 따르면 2025년 7월21일부터 사탕수수 최저가를 1톤(t)당 Sh 5750실링으로 인상했다. 이전 5500실링에서 250실링 인상했다.2025년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간 평균 공장도가격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설탕 정제소에도 새로운 최저가를 준수해 농가에 지급할 것을 명령했다.사탕수수 최저가 인상을 통해 농가 수입의 향상과 설탕 산업 부문의 회복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케냐 전
-
▲ IBK기업은행 본사 전경 [출처=IBK기업은행]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8.2퍼센트(%) 증가한 1조5086억 원, 은행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한 1조3272억 원을 시현했다.미국 관세 불확실성 확대, 경기회복 지연 등 위기 속에서도 중소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지속한 결과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전년 말 대비 11.3조 원(4.6%) 증가한 258.5조 원을 기록했다.시장점유율은 역대 최고치인 24.43%로 상승하며 중소기업 금융 분야의 리딩뱅크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구축했다.고정이하여신비율은 1.37%로 소폭 상승했으나 선제적인 충당금 추가 적립과 면밀한 건전성 관리에 힘입어 대손비용률은 0.41%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기업은행은 "IBK 쇄신 계획 이행을 통해 국민과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고 중기 지원을 지속 선도할 것이다"며 "하반기에는 소상공인·자영업자는 물론 첨단산업과 중견기업도 적극 지원하고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여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
▲ KB금융그룹 건물 전경 [출처=KB금융그룹]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에 따르면 2025년 7월24일(목)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경영 실적은 당기순이익이 3조435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8퍼센트(%) 증가했다.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ROE)은 13.03%를 기록했다. KB금융의 20258년 상반기 경영 실적은 인터넷·모바일 생중계를 통해 이뤄졌다.금리 하락에 따른 이자수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2024년도 주가연계증권(Equity Linked Securities, ELS) 충당부채 적립 영향이 소멸되고 환율하락 및 주가지수 상승 등으로 인해 비이자이익이 전반적으로 확대되며 양호한 실적을 시현했다.2분기 당기순이익은 금리 하락기에도 불구하고 은행과 비은행의 균형 잡힌 성장에 힘입어 1조7384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순수수료 이익은 1조320억 원으로 전년 분기 대비 10.5% 늘어났다. 분기 기준 최초로 1조 원 이상 순수수료 이익을 달성하며 그룹 실적을 뒷받침했다.이날 발표된 주요 경영지표 가운데 6월 말 기준 그룹 보통주자본(CET1)비율과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BIS)자기자본비율은 효율적인 자본 할당 및 안정적인 위험가중자산 관리에 힘입어 각각 13.74%, 16.36%를 기록하며 자본 적정성 또한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또한 KB금융은 1주당 920원의 현금배당과 85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발표했다. 자사주 매입·소각은 상반기 말 기준 보통주자본(CET1)비율 13.5% 초과 자본을 하반기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KB금융만의 주주환원 프레임워크에 따른 것이다.KB금융 재무 담당 나상록 상무는 “이번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 결정으로 2025년 주주환원 규모가 총 3조100억 원에 달하게 되며 최근 시장 컨센서스를 감안할 경우 역대 최고 수준의 총주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