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펀잡주"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인도 PCBL 케미칼(PCBL Chemical Limited)의 홍보영상 이미지[출처=PCBL 케미칼 유튜브]2025년 1월10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PCBL 케미칼의 회계연도 2024년 3분기 운영수익은 201억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파키스탄 펀잡주 CBD는 국내 그린 투어리즘과 양해각서를 체결해 국내 관광의 활성화 뿐만 아니라 친환경 인프라의 공동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인도 PCBL 케미칼(PCBL Chemical Limited), 회계연도 2024년 3분기 순이익 Rs 9억31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인도 화학기업 PCBL 케미칼(PCBL Chemical Limited)의 2024년 12월31일 마감된 분기의 순이익은 Rs 9억31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14억8000만 루피 대비 39% 감소했다.회계연도 2024년 3분기 운영수익은 201억 루피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165억6800만 루피보다 21% 증가했다. EBITDA는 27억9100만 루피에서 31억7400만 루피로 14% 확대됐다.회계연도 2024년 첫 9개월 동안의 순이익은 33억4440만 루피로 이전 회계연도의 동기간 순이익 37억9680만 루피와 비교해 줄어든 수치를 보인다. 참고로 PCBL은 카본블랙의 생산업체로 저명하다.◇ 파키스탄 펀잡주 CBD(CBD Punjab), 그린 투어리즘(Green Tourism (Pvt) Ltd.)과 지속가능한 관광 프로그램 계획파키스탄 펀잡주 CBD(Punjab Central Business District Developement Authority, CBD Punjab)는 여행사 그린 투어리즘(Green Tourism (Pvt) Ltd.)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 이니셔티브를 실현한다.잘 알려지지 않은 관광지를 홍보함으로써 국내외 관광객 유치가 주목적이다. 재생 에너지 시스템과 폐기물 처리 공정 구축 등 친환경적인 인프라를 개선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며
-
▲ 중국 에이코솔라(AIKO Solar)가 파키스탄 펀잡 주에 태양광 패널 생산 및 조립 공장을 설립한다[출처=AIKO 홈페이지]2024년 8월20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대만 폭스콘(Foxconn)은 인도에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 공장을 설립하고자 한다. 자사의 국내 전기자동차(EV) 제조 사업을 보완하기 위함이다.중국 에이코솔라(AIKO Solar)는 파키스탄 특별촉진위원회(SIFC)의 지원 및 펀잡 주정부와의 합의를 통해 태양광 패널 생산 및 조립 공장을 설치한다.◇ 인도 아다니 파워(Adani Power), 릴라이언스 파워(Reliance Power) 소유 부티보리 화력발전소 최대 300억 루피에 인수하고자 논의 중인도 아다니 파워(Adani Power)는 마하슈트라 주 나그푸르시에 위치한 600메가와트(MW) 부티보리(Butibori) 화력발전소를 인수하고자 한다.프로젝트의 원래 가치는 약 600억 루피였으나 생산이 중단되었기 때문에 거래금액은 Rs 240억 루피에서 300억 루피를 예상하고 있다.부티보리 시설은 릴라이언스 파워(Reliance Power)가 소유하고 있다. 비다브라 인더스트리 파워(Vidarbha Industries Power Ltd.) 산하의 CFM Asset Reconstruction와 협상하고 있다.대만 전자 장치 제조업체 폭스콘(Foxconn)은 인도에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을 제조할 공장을 구축할 계획이다.BESS는 태양광이나 풍력 에너지와 같은 재생 에너지 또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를 활용해 자사의 국내 전기자동차(EV) 제조 사업을 보완할 방침이다.폭스콘은 미래산업 "3+3 전략"을 기반으로 3대 미래산업인 EV, 디지털 의료, 로봇공학 분야를 우선 순위로 하지만 현재 EV 사업에 치중하고 있다.참고로 폭스콘은 전기 버스를 제작하기 위해 태국에 첫 번째 공장을 건설했다. 2024년 말까지는 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에
-
▲ 파키스탄 정부 로고[출처=파키스탄 정부 페이스북]2024년 7월 서남아시아 경제정책 주요동향은 인도 상품 및 서비스세(GST)의 증가, 파키스탄 정부의 전력배분기업 민영화와 수입산 태양광 패널에 대한 세금 인하를 포함한다.○ 세계은행(World Bank)에 따르면 인도 내 두 번째 저탄소 에너지 프로그램 개발 정책을 지원하고자 녹색 금융 US$ 15억 달러를 승인했다.2023년 6월 녹색 수소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재생에너지를 전달함에 있어 마찬가지로 녹색 금융 15억 달러를 승인한 바 있다. 향후 민간 투자를 늘리는 데 집중할 것을 밝혔다.○ 인도 외교부(MEA)에 따르면 2024-25년도 예산 중 방글라데시에 대한 개발지원금을 12억 루피 배정해 전년 대비 40% 감액했다. 전체 488억3000만 루피 중 상당한 부분이 네팔, 스리랑카, 부탄, 몰디브, 아프가니스탄, 미얀마에 결정됐다.부탄은 206억8560만 루피를 할당받음으로써 가장 높은 예산이 배정된 것으로 확인되나 2023년 240억 루피에 비해서는 감소한 수치이다. 네팔은 전년 55억 루피에서 2024년 70억 루피를 할당받아 가장 큰 수혜를 받았다.외교부의 2024-25년 회계연도의 예산 추정치는 2215억5000만 루피로 2023-24년 회계연도의 1805억 루피보다 많으나 해당 연도의 개정된 추정치 2912억1000만 루피보다는 적다. 2023-24년도 동안 인도 정부는 외국 정부에 654억1790만 루피를 지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2024-25년도는 566억7560만 루피를 지원할 것으로 예상한다.○ 인도 재정부에 따르면 2024년 7월 상품 및 서비스세(GST) Rs 1조8207억5000만 루피로 전년 동월 1조6510억5000만 루피 대비 10.3% 증가했다. 중앙정부의 GST, 지방정부의 GST, 통합 GST가 모두 늘어났다.2014년 1월~7월 GST 총액은 7조3800억 루피로 전년 동기 6조7000억 루피 대비 10.2% 확대됐다. 특히 2024년 4월
-
▲ 울트라테크 시멘트(UltraTech Cement) 홍보이미지 "건설로 하여금 인도가 성장한다"[출처=울트라테크 시멘트 공식 홈페이지]2024년 7월29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시멘트 제조업체 울트라테크 시멘트(Ultra Tech Cement)는 6월 인디아 시멘트의 지분 23%를 매입한 이래 최근 33%를 인수했다고 밝혔다.인도 아다니 그룹(Adani Group)은 2026년까지 US$ 40억 달러를 투자해 폴리 염화비닐(PVC)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국내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을 해결하기 위해서이다.파키스탄 정부는 막대한 재정적자로 인해 2025년 1월까지 3개의 전력배분기업(DISCOs)를 민영화하고자 한다.◇ 인도 제약업체 닥터 레디스(Dr Reddy’s Laboratories) 2024-25 회계연도 4~6월 분기 순이익 139억24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0.74% 감소인도 제약업체인 닥터 레디스(Dr Reddy’s Laboratories)는 2024-25 회계연도 4~6월 분기(FY25 Q1) 순이익은 ₹139억24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140억2500만 루피 대비 0.74% 감소했다고 밝혔다.1분기 매출액은 767억27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673억8400만 루피 대비 14% 증가했다. 1분기 영업이익은 216억 루피로 전년 동기 213억7200만 루피 대비 1.1% 확대됐다. 마진율은 28.2%로 전년 동기 29%에서 소폭 축소됐다.매출액을 지역별로 살펴 보면 북아메리카는 385억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20% 늘어났다. 의약품의 가격은 하락했지만 사업 규모를 키웠을 뿐 아니라 신제품을 출시가 늘어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인도 시멘트 제조업체인 울트라테크 시멘트(UltraTech Cement)는 최근 인디아 시멘트의 지분 33%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인디아 시멘트는 첸나이를 기반으로 영업활동을 하고 있으며 1주당 가격은 Rs 390루피다.울트라 테크는 이미 6월
-
[파키스탄] 철강업체 무굴(Mughal), 2015/16년 상반기 매출 전년 동기간 대비 78% 급증...펀잡주의 인프라투자 증가하며 철강제품 수요 상승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