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파운드리"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국내 최고 화장품 제조자개발생산(ODM) 기업인 한국콜마그룹은 지난 35년 동안 급성장했다. 1990년 일본콜마와 합작해 한국콜마를 설립한 이후 2012년 한국콜마홀딩스로 변경했다.2012년부터 신설법인인 한국콜마가 화장품 및 제약 부문을 맡고 있다. 2022년 미국의 원조 콜마로부터 '콜마(KOLMAR)'라는 글로벌 상표권을 100% 인수하며 입지를 굳혔다. 2024년 한국콜마홀딩스를 콜마홀딩스로 사명을 바꿨다. 창업자인 윤동한 회장은 화장품, 바이오 등의 연구개발(R&D)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월등한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 600여 개 이상의 국내외 고객사를 확보했다.'가격이 아니라 기술로 승부해야 한다'는 정신으로 R&D에 집중해온 한국콜마홀딩스의 기업문화(corporate culture)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엠아이앤뉴스(대표 최치환)가 보낸 질문지에 답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콜마 세종 본사 사업장 전경 [출처=홈페이지]◇ 이윤 구추보다 일자리 창출이 기업 경영의 목적으로 인식... 자체 기술력이 제조업의 新르네상스 부흥 비결국내 화장품 업계 최초로 토털 ODM 솔루션 모델을 선보인 한국콜마는 이제 글로벌 No.1 플랫폼 서비스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세계 최초 화장품 융합연구센터 설립하고 고객의 꿈을 실현하는 맞춤형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화장품 업계의 새 지평을 열어간다. 설립자인 윤동한 회장의 경영철학에 관한 질문을 던졌다.- 현 윤동한 회장의 경영철학은. "기업의 목적은 이윤추구가 아닌 일자리 창출에 있다고 생각한다. 한사람이라도 더 채용하는 것, 이것이 기업가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기업의 기(企)는 사람인 아래 머물 지가 합쳐진 글자다. 기업은 사람이 많이 모이고 오래 머물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 목적이 돼야 한다."- 화장품 산업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노력한 것도 비슷한 관점인지. "윤동한 회장은 기업의 성장뿐만 아니
-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초동에 위치한 삼성전자 빌딩 전경 [출처=홈페이지]1961년 5·16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박정희는 1962년부터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해 실천한다. 1960년대 경공업, 1970년대 중화학공업을 추진하며 선진국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했다.정부는 중복투자의 비효율성을 축소하기 위해 기업간 사업영역을 조정했다. 사업 분배권을 쥔 정치인과 이권을 차지한 기업간 이른바 정경유착(政經癒着)이 생길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일제의 압제에서 벗어난 이후 급속한 경제발전 과정에서 막대한 규모의 부를 축적한 재벌(財閥)은 혁신과는 거리가 멀었다.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우리나라 대기업이 적은 이유다.◇ 모방 제품에 저렴한 인건비로 세계 시장 진출... 2000년대 이후 너트크래커 신세로 전락1988년 서울 울림픽 이후 우리나라 기업은 세계화의 기치를 내걸고 해외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삼성그룹, LG그룹, 현대그룹, 대우그룹, SK그룹, 롯데그룹, 한진그룹 등이 나름 글로벌화에 성공한 대기업 집단이다.대우그룹은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의 파고를 넘지 못하고 망했다. 현대그룹도 IMF 외환위기와 경영권 분쟁으로 그룹이 분할된 이후 어려움을 겪었다.일본이나 미국의 대기업이 새로운 제품을 들고 시장을 개척할 때 우리나라 재벌은 저렴한 인건비를 무기로 가격 경쟁력 확보에 사활을 걸었다.자동차, 가전, 조선, 석유화학, 철강, 건설 등으로 시장 점유율을 높였지만 품질이나 기술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2000년대 이후 중국, 동남아시아 국가, 인도 등이 저임금으로 시장에 진입하며 너트크래커 (nutcracker) 신세로 전락한 이유다.국내 대기업 중 글로벌화에 가장 성공한 삼성그룹을 예로 들면 원천기술이 없으며 다른 기업의 제품을 베끼는 2등 전략으로도 크게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특히 삼성은 이병철 회장이 1930년대 창업한 초기부터 일본 기업을 벤치마킹해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병철 회장, 이건희
-
영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기업인 마인드 파운드리(Mind Foundry)에 따르면 €1146만 유로의 투자를 유치받았다. 인간과 인공지능(AI)이 함께 일하는 미래를 만들기 위한 목적이다.옥스포드에 위치한 옥스포드대의 MLRG (Machine Learning Research Group)에서 분리된 회사로서 2016년 설립됐다. 이번 투자 자금은 Aioi Nissay Dowa Insurance (ANDI)가 이끄는 시리즈에이(Series A)로부터 확보한 것이다.기존 투자자인 파크워크 어드바이저스(Parkwalk Advisors), 옥스퍼드 사이언스 이노베이션(Oxford Sciences Innovation), 옥스포드대(University of Oxford) 및 옥스포드 기술혁신 이엘에스 펀드(Oxford Technology and Innovations EIS Fund: OTEIS)가 함께 참여했다.이번 투자는 빠르게 진화하는 산업에서 마인드 파운드리의 성장을 가속화할 전략적 파트너십의 일부로 평가된다. 인공지능 플랫폼은 팀이 더 나은 결정을 내릴수 있도록 비즈니스에 대해 학습하고 있다.보다 나은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머신러닝 플랫폼의 토대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를 통해 보험업계는 인공지능이 현실 세계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가정, 자동차 및 사무실이 점점 더 연결됨에 따라 보험사의 역할도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정부는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UK-MindFoundry-AI▲ 마인드파운드리(Mind Foundry)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대만 반도체 수탁제조(파운드리) 대기업 TSMC에 따르면 2020년 3월 연결 매출액 $NT 1135억1959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2.4% 증가했다.2월 매출액 933억9400만달러 대비 21.5% 늘어났다. 영업일수가 늘어나면서 수요가 증가해 매출이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2020년 1~3월 총 매출액은 3105억97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2.0% 확대됐으며 사전 예측 3050억~3080억달러를 상회했다.제 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첨단제조 프로세스의 수요가 대폭 증가했기 때문이다. 반면 코로나바이러스 판데믹 영향 및 글로벌 스마트폰 수요 감소로 4~6월 매출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TSMC Homepage▲ TSMC 홈페이지
-
2018-10-05미국 반도체시장조사업체인 IC인사이트(IC Insights)에 따르면 2018년 전업 파운드리시장에서 중국기업의 점유율은 1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지역별로 전업 파운드리시장의 성장세를 보면 미국은 2017년 311억4300만달러에서 2018년 311억6700만달로 소폭 성장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반면 중국은 2017년 74.6억달러에서 2018년 112억4500만달러로 전년 대비 5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2017년 87억6400만달러에서 2018년 88억4200만달러로 고작 1%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유럽은 2017년 39억5700만달러에서 2018년 43억달러로 9% 증가하는 반면, 일본은 2017년 34억9300만달러에서 2018년 34억6600만달러로 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지역별 내역을 보면 중국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미국, 일본, 아시아-태평양 등은 정체돼 있거나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만의 TSMC의 매출 증가세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TSMC 공장 전경(출처 : 홈페이지)
-
2018-10-02오스트레일리아 주조소 빌맨스파운드리(Billman's Foundry)에 따르면 디지털 시대에도 불구하고 수작업 방식을 고수할 계획이다. 작업 방식이 힘들고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해도 디지털 시대에도 유용하기 때문이다.금형 제작자, 패턴 제작자 등의 도제 과정을 밟으려는 젊은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주조소의 금형 공예제품은 계속해서 생산할 예정이다.빌맨스파운드리는 빅토리아(Victoria)주 캐슬메인(Castlemaine)에서 거의 40년동안 소규모로 운영 중인 주물 제작공방이다. 국내외로도 몇 개 남아 있지 않은 주조소다.3D 프린터가 크고 미세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때문에 많은 주조소들은 모래 주형을 기술로 대체시하고 있는 중이다. 더군다나 3D 프린터는 짧은 시간에 원하는 주형을 섬세하게 구현해 내고 있다.빌맨스파운드리는 오랜 세월동안 익힌 손기술로 해 낼 수 있는 금형 공예 제품과 3D 프린터 제품으로 과도기라고 지적한다.과도기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패턴 제작자의 기술은 3D 주형기술에 도전하고 응용될 수 있는 여지가 많다고 보는 것이. 기술교육이 디지털기술에 대응할 수 있는 수작업의 핵심이라고 조언한다.빌맨스파운드리의 유명한 제품으로는 멜버른컵 우승자에게 수여하는 우승컵에서 부터 싱가포르 대통령 궁의 새로운 대문까지 다양하다.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어 지속가능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빌맨스파운드리(Billman's Foundry)의 작업 전경(출처 : 홈페이지)
-
대만 최대 파운드리기업 UMC(聯華電子, United Microelectronics Corporation)에 따르면 2016년 영업수입 총액이 $NT 1478억7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2.12% 증가했다. 동기간 순이익은 83억1600만달러로 전년 134억4900만달러 대비 38.2% 급감했다.2016년 4분기 영업수입은 383억1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2% 증가했으며 동기간 순이익은 25억48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4% 감소했다.또한 2016년 4분기 총마진은 22.9%, 파운드리 영업이익률은 6.3%, 파운드리 가동률 94%, 주당 순이익 0.21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
중국 푸젠성전자정보그룹(福建省电子信息集团, Fujian Electronics and Information Group)에 따르면 2016년 11월 300mm웨이퍼 공장을 정식 운영하기 시작했다.생산능력은 월산 5만장으로 향후 10만장으로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푸젠성전자정보그룹은 지난 2015년 3월 중국 샤먼시인민정부와 대만 반도체기업 유나이티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UMC)사가 공동으로 공장건설을 추진했으며 20개월만에 생산을 시작한다.중국 반도체 시장은 2017년 대만의 TSMC사와 미국 글로벌파운드리즈의 중국내 300mm웨이퍼 공장이 완공되면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
대만 반도체 파운드리기업 TSMC(台灣積體電路製造股份有限公司)에 따르면 2016년 7월 영업수입은 $NT 763억92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6% 감소했다.또한 2016년 1~7월 영업수입 총액은 $NT 5016억97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줄어들었다. PCt사업 등 전방산업의 침체가 주요인이다.▲ Taiwan_TSMC_Homepage▲TSMC홈페이지
-
중국 파운드리기업 SMIC는 이탈리아 L파운드리 주식 70%를 4900만유로에 인수했으며 자동차용 반도체 시장에 적극 진출할 예정이다.모기업 L파운드리 유럽(LFE) 및 Marsica Innovation으로 부터 주식을 양도 받았으며 지분 비율은 각각 70:15:15로 구성된다.▲ China_SMIC_Homepage.jpg▲중국 파운드리기업 SMIC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