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통신 인프라"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인도 화학기업 아누팜 라사얀(Anupam Rasayan India)의 로고[출처=아누팜 라사얀 X(구 트위터)]2025년 3월11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화학기업 아누팜 라사얀은 회계연도 2026년부터 한국 다국적 기업에 특수 화학제품을 공급한다.파키스탄 썬더 에너지는 필란드 노키아와 양해각서를 체결함으로써 최첨단 AI 플랫폼을 통신 인프라에 적용시킨다.◇ 인도 아누팜 라사얀(Anupam Rasayan India), 한국 기업과 Rs 92억2000만 루피 상당의 화학제품 공급 10년 의향서 서명해인도 화학기업 아누팜 라사얀(Anupam Rasayan India)은 한국 다국적 기업과 특수 화학제품 공급에 대한 10년 의향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회계연도 2026년부터 Rs 92억2000만 루피(US$ 1억600만 달러) 상당의 제품을 제공할 방침이다. 한국과 장기 파트너십을 통해 항공 및 전자 부문의 틈새시장을 공략한다.첨단 화학 솔루션에 대한 아누팜의 전문성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굳히려는 것이다. 참고로 아누팜 라사얀의 주가는 2025년 3월10일 주당 787.00루피로 마감됐다.◇ 파키스탄 썬더 에너지(Thunder Energy Ltd), 필란드 노키아(Nokia)와 양해각서(MoU) 체결파키스탄 인공지능(AI) 플랫폼 썬더 에너지(Thunder Energy Ltd)에 따르면 필란드 통신기업 노키아(Nokia)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이는 Mobile World Congress Barcelona 2025(MWC Barcelona 2025)에서 이루어졌다. 썬더 에너지의 최첨단 AI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신 인프라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예측 분석, 자동 에너지 최적화에 활용한다.노키아는 시장에서 입지를 통해 주요 이해 관계자에게 플랫폼을 홍보할 계획이다. 참고로 썬더 에너지는 브릴란즈 그룹(Brillanz Group)의 자회사다.
-
2024-10-12▲ 아랍에미리트 냉방 서비스 제공업체인 Empower(Emirates Central Cooling Systems Corporation PJSC)는 일본 미쓰비스 중공업의 냉방 시스템 개발 자회사인 MHI Thermal Systems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출처=Empower 엑스(X) 계정] 2024년 10월 2주차 아랍에미리트 경제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서비스, 통계 등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이 두바이 국립항공여행사(dnata)에 따르면 대한민국 저가항공사인 티웨이항공(T’way Air)과 이탈리아 로마 피우미치노 레오나르도 다빈치 공항(FCO)의 케이터링 서비스에 대한 다년간 계약을 체결했다.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비석유 부문 수출의 22%는 도로 운송으로 진행됐다. 2023년 도로 운송을 통한 비석유 부문의 수출 규모는 AED 5764억 디르함(US$ 1569억 달러)로 집계됐다.○ 아랍에미리트 국영 재생에너지 회사인 마스다르(Masdar)에 따르면 2023년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 규모는 31.5기가와트(GW)로 전년 대비 58% 확장했다.연간 지속가능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만6700기가와트시(GWh) 이상이며 이산화탄소(CO2e) 배출량은 1400만 톤(t)을 절감했다.해외 시장에 진출해 글로벌 재생에너지 비중을 50% 이상 늘리며 재생에너지 규모를 확장할 수 있었다. ESG 경영의 일환으로 자산의 환경 부문 실적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랍에미리트 상품 교환 및 자유무역지역인 두바이 종합 상품센터(DMCC)에 따르면 스위스 블록체인 벤처자본기업인 크립토벨리벤처캐피털(CV VC)과 지역별 웹3(Web3) 생태계 향상 및 지원을 위한 전략적 협업을 체결했다.협업을 통해 스위스와 두바이의 각 운영 기관의 웹3 앙트레프레너십을 가속화해 웹3 생태계 내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한다.양사 간의 지역 협업의 일환으로 교
-
인도 정부에 따르면 2022년 3월 국영 광대역 인프라 제공기업인 BBNL(Bharat Broadband Nigam Ltd)을 국영 통신서비스제공기업인 BSNL(Bharat Sanchar Nigam Ltd)과 합병할 계획이다. 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BSNL의 운영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다. BSNL은 68만킬로미터 규모의 광섬유 케이블(OFC)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합병 시 광섬유 56만7000킬로미터를 추가 운영하게 된다. BBNL은 현재 4G 테스트의 마지막 단계에 있다. 2022년 5월과 6월 즈음 공급을 시작하기 위해 2022년 3월 내에 소규모 수주를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 차세대 통신업 성장은 주거용 광섬유 네트워크인 FTTH(fibre-to-the-home)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동기지국 10만곳을 광섬유 기반 네트워크의 상호접속위치(PoP)로 운영할 계획이다. ▲BSNL(Bharat Sanchar Nigam Ltd) 로고
-
2022-01-08나이지리아증권거래소(NSE)에 따르면 2022년 1월 첫째주 글로벌 이동통신사인 에어텔 아프리카(Airtel Africa)의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채를 줄이기 위해 송신탑 매각 수익금을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한 것이 주가 상승의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에어텔 아프리카는 탄자니아에 있는 송신탑 자산을 US$ 1억7610만달러로 합작법인에 매각했다.수익금 중 6000만달러는 에어텔 그룹 차원에서 부채를 줄이는 데 사용된다. 나머지 잔액은 탄자니아의 네트워크 및 판매 인프라 투자에 사용될 예정이다. 국내에서 3번째로 큰 상장회사인 에어텔은 국내와 영국 런던에 이중 상장된 기업이다. 참고로 에어텔 아프리카는 아프리카 대륙 14개국에 진출해 있다. ▲에어텔 아프리카(Airtel Africa) 홈페이지
-
영국 정부에 따르면 최근 의회에 상정된 사물인터넷(IoT) 사이버 보안 개선법이라는 새 법안이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비밀번호를 금지' 할 것으로 전망된다. 새로운 법안은 IoT 기기들을 위한 고유한 비밀번호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비밀번호들이 초기 설정 기본값으로부터 재설정되는 것을 막을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제품 보안 및 통신 인프라 법안인 'PSTI 법안' 이라고 불리는 이 법안은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에 대한 고유한 암호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이 법안은 또한 현재 20%의 기업만이 참여하고 있는 보안 업데이트와 패치(프로그램 수정 및 정정용의 작은 프로그램)를 필요로 하는 시기에 기업들의 참여도를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향후 보안 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기업들은 전 세계 매출액의 4%에 해당하는 £1000만파운드의 벌금을 물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정부 홈페이지
-
일본 정부에 따르면 정보통신 및 전력 등 14개 업종의 주요 인프라 관련 보안 규정을 마련할 계획이다. IT 기술 기기의 조달과 클라우드 이용 등의 보안상 우려를 법률에 명기한다. 사이버 공격에 대한 시스템 취약점의 여부가 국가 안보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인프라를 IT로 제어하며 경제적 손실에 따른 대응을 하기 위한 목적이다. ▲경제산업성 로고
-
필리핀 정보통신기술부(DICT)에 따르면 미국 소셜미디어업체인 페이스북(Facebook)과 협력해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루손섬 해안의 동쪽과 서쪽 지역에 케이블 육양국을 설치할 예정이다. 개별 케이블 육양국을 건설하는데 9억7500만페소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해당 프로젝트는 2019년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페이스북은 루손섬을 미국, 아시아 등과 연결하는 인터넷 허브로 개발할 방침이다.▲필리핀 정보통신기술부(DICT) 로고
-
SK의 성과(performance)는 내부혁신에 의해서기보다는 외부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사업이 정부의 통제를 받는 인프라와 연관성이 높아 이익률은 낮지만 위험도 낮은 특징을 가졌다.수출을 하는 삼성, LG, 대우 등이 1997년 IMF 외환위기로 어려움을 겪을 때 내수 위주의 안정적인 기반 덕분에 흔들리지 않았다. 하지만 주력사업만 인프라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주력 이외의 계열사는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된 취약한 사업구조를 가졌다.SK의 성과를 주요 계열사의 이익(profit)과 위험(risk)관점에서 어떤 이슈가 있는지 분석해 보자.◇ 전반적인 이익율은 낮지만 나쁘게만 볼 수 없다SK의 매출액은 2009년 77조, 2010년 90조, 2011년 110조원 규모로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영업이익은 3.6조, 5.6조, 8.3조 원으로 각각 늘어났다. SK의 영업이익률 평균 5%~7%수준으로 중소기업보다는 높으나 삼성전자와 같은 지배적 제조 대기업보다는 낮은 편이다.SK의 경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