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정유시설"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2-03-14나이지리아 석유개발공사(NPDC)에 따르면 2022년 3월 현재 진행 중인 포트 하코트(Port Harcourt) 정유시설 복구작업에 US$ 9800만달러, 즉 N172억나이라를 지출했다. 2021년 3월 정부는 포트 하코트 정유소의 재건을 위한 비용 US$ 15억달러를 승인했다. 포트 하코트 정유시설 복구작업이 완료되면 국내 원유 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은 에너지로 원유 시장이 재편됨에 따라 정유, 석유화학, 가스 기반 산업에서 수많은 사업 기회가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나이지리아와 같은 상위의 산유국들은 단기적인 경제 목표와 장기적인 사업 지속가능성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을 빠르게 개발해야 한다.탈탄산화에 대한 부담이 석유와 가스 산업의 걸림돌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전 세계는 에너지소비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새로운 에너지 수요의 대부분은 개발도상국에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몇 년 이내에 세계 1일 석유 소비량은 2400만배럴에서 2040년 6700만배럴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세계 석유 소비량은 예상보다 일찍 1억배럴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나이지리아석유개발공사(NPDC) 로고
-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에 따르면 2022년 1월 마지막주 남부 리버스 주에 위치한 포트 하코트(Port Harcourt) 정유소의 복구 작업은 예정대로 진행 중이다.2022년 1월 초 포트 하코트 정유소의 화재 발생에도 불구하고 발빠르게 대처한 것이다. 2020년 연말부터 포트 하코트 정유소는 정유시설을 최적의 성능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대대적인 정비를 위해 문을 닫았다. 2021년 4월부터 이탈리아 엔지니어링업체인 테크니몬트(Tecnimont)가 맡고 있는 정유시설 보수공사는 시작됐다. 이에 앞서 NNPC는 1단계 실행이 18개월 이내에 완료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북부 카두나(Kaduna) 정유소, 와리(Warri) 정유소 등을 포함하고 있는 NNPC는 2019년 연초부터 수리를 위해 문을 닫았다.NNPC는 모든 수리가 완료될 경우 2023년에 생산을 재개하면 용량의 90% 정도 가동될 것으로 예상했다.그러나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수리에 많은 지연이 발생함에 따라 일정은 연기돼왔다. 일단 포트 하코트 정유소의 업그레이드 및 복구 작업이 완료된 이후 즉시 카두나 정유소와 와리 정유소의 수리도 시작할 계획이다.▲국영석유공사(NNPC) 홈페이지
-
말레이시아 석유업체 페트로나스(Petronas)에 따르면 2017년 1월 쁭거랑복합산업단지(PIC)에 국내 최대 '원유 가열기(F-001)' 2기를 설치했다.정유시설에서 사용될 이 원유 가열기는 각각 1000톤의 중량으로 제작됐으며 하루에 15만배럴을 처리할 수 있다. 원유정제공정(CDU)에서 중요한 과정에 속한다.해당 산업단지에 계획됐던 정유시설들이 정상적으로 구축된다면 2019년 초부터 가동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루 원유정제량은 30만배럴에 달할 예정이다.▲페트로나스 홈페이지 중 석유화학사업 소개
-
2016-05-30인도네시아 국영석유업체 페르타미나(Pertamina)에 따르면 2016년 5월 러시아 석유업체 로즈네프트가 동부 자바지역의 '정유공장 프로젝트'에 관심을 표명한 것으로 드러났다.130억달러 규모의 건설사업이며 로즈네프트측은 아세안 오일시장에 대한 진입이 주목적이라고 밝혔다.
-
[아제르바이잔] 석유공사 SOCAR, 2016년 3월 바쿠정유공장의 현대화위해 미국 건설엔지니어링업체 Honeywell을 선정...고품질 가솔린의 생산 및 탄소배출량의 국제기준 충족이 목적
-
[인도네시아] 국영석유업체 페르타미나(Pertamina), 2016년 매월 이라크산 원유 100만배럴 수입해 '인도 정유업체'와 정제사업위한 계약체결 기대...지리적 이점으로 인도를 선정했으며 국내 정유사업 확대가 목적
-
[아제르바이잔] 석유공사 SOCAR, 2016년 미국 엔지니어링업체 KBR과 '정유시설' 관련 전문합작그룹을 결성할 계획...수도 바쿠에 소재한 정유공장의 체계적인 관리 및 재건축이 주목적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