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이재현"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CJ는 삼성에서 분가하기는 했지만 나름대로 독특한 기업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실제 상당한 성과를 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진단한 CJ의 기업문화를 5-DNA 10-Element 성취도, 위험의 관리전략, 혁신전략의 관점에서 정리해 보도록 하자. ◇ 5-DNA 10-Element 성취도 분석▲ 그림 2-1. 5-DNA 10-Element 분석[그림 2-1]과 같이 CJ의 기업문화를 SWEAT Model의 5-DNA 10-Element의 관점에서 보면 사업(business), 성과(performance), 조직(organization) 부문에서는 중간 점수를, 비전(vision)과 시스템(system) 부문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다.사업은 제품(product)구성은 훌륭하나 시장(market)에 대한 마케팅전략이나 시장다변화 등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봤다. 조직도 일(job)에 대한 정의가 없지만 사람(people)에 대한 투자의지, 인재중시 철학은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비전과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
최근 CJ그룹(이하 CJ)이 모기업인 삼성그룹 못지 않게 주목을 받고 있다. 삼성이나 신세계와는 달리 시끄럽지 않게 사업을 하면서 착실하게 내실을 다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CJ그룹은 이병철 전 삼성 창업주의 사망 후 1990년 삼성그룹에서 분가한 제일제당을 모체로 한 기업집단이다. 이병철 회장의 장남이자, 동생 이건희 회장과 경영권분쟁에서 밀린 이맹희의 아들 이재현이 회장으로 있다. 분사한 후 사업다각화를 하면서 2002년 CJ그룹으로 개명했고, 2007년 지주회사체제를 갖췄다. CJ를 롯데, 한진, 금호, 한화, GS 등의 대기업에 비해 먼저 다루는 것은 삼성의 주력기업을 모체로 출발했지만, 삼성과는 전혀 다른 기업문화를 형성해 가고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다.CJ의 기업문화가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CJ의 기업문화를 역사, 비전, 사업, 성과, 조직, 시스템 등의 요소로 평가하고자
-
CJ의 비전은 ‘건강, 즐거움, 편리를 창조하는 제일 좋은 생활문화기업’이다. 그리고 미션(mission)은 ‘Only One 정신으로 제일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과 주주, 임직원을 위한 최고의 가치를 창출한다’이다. CJ의 비전을 사업의 목표, 사회적 책임의 측면에서 분석해 보자.◇ ‘제일좋은 생활 문화기업’을 만드는 것이 목표 1996년부터 ‘내일을 여는 우리의 다짐’이라는 슬로건을 내 걸고 ‘꿈과 미래를 여는 새로운 생활문화를 창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2000년부터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가치경영’을 내 세우고 있다. 이러한 발전과정을 통해 현재의 비전인 ‘생활문화기업’은 잘 설정된 것으로 보인다.건강, 즐거움, 편리가 사람이 세상을 사는 궁극적인 목표인데, 생활을 문화의 수준으로 승화시키겠다는 의지도 좋다.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미션도 기업의 이해관계자 전부를&n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