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의약품 시장"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자동화된 건기식 소분 시스템을 도입한 소분실 모습[출처=에스더블유헬스케어]의약품과 의료기기 전문 유통업체 에스더블유헬스케어(대표 이준형)에 따르면 국내 최대 규모의 건강기능식품 소분 시설을 이용한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소분 위탁 사업을 준비 중이다.에스더블유헬스케어는 시장 규제 완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운영하던 개인맞춤형 건강기능식품 ‘메디콕’의 소분·조합 설비를 활용해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위탁 소분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2025년 1월3일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시행됨에 따라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업계와 소비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개정된 법률 및 시행령은 맞춤형 건강기능식품관리사의 자격 요건을 정하고 영업자의 위생 시설 및 점검에 관련한 세부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개정 사항에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의 소분·조합의 위탁 허용이 명시돼 있다.개정 전에는 ATC 소분 설비를 구축하고 소분사, 위생관리사 등의 인력 채용이 필요한 위생 규정 때문에 시장 진입이 어려웠다.개정된 법률에서는 기존 건강기능식품 판매 업체와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판매를 준비하는 스타트업의 진입장벽을 낮췄다.따라서 향후 고객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방식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영업자의 수가 늘어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소분 생산되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의 포장 외형 검수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출처=에스더블유헬스케어]에스더블유헬스케어는 의료법인 신원의료재단의 관계회사로 백신 등 전문의약품의 콜드체인 자체 유통망을 갖추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의약품 및 의료기기 유통 분야에서 높은 매출 신장을 보이고 있는 기업이다.2024년 8월 의사가 설계하고 추천하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메디콕’을 론칭해 2개월만에 1만 명이 넘는 회원수를 확보했다.에스더블유헬스케어는 1일 2만4000~3만포 이상을 소분 생산할 수 있는 12대의 ATC와 전문 소분사, 위생관리사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 관계
-
2024-09-27▲ 대웅제약 연구원들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출처=대웅제약]대웅제약(대표 이창재·박성수)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 등재목록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0년~2024년 9월2일까지 대웅제약이 등재한 국내 특허는 총 9건이다.이중 8건(88%)이 신약인 엔블로와 펙수클루 관련 특허로 조사됐다. 단순히 제네릭 의약품 개발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신약 개발과 특허 확보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최근 5년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 등재목록에 등재한 특허 중 신약 관련 특허 비율이 88%에 달한다는 것은 제약업계에서 이례적으로 높은 비중이다. 신약 특허 비율이 높다는 것은 국내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췄다는 것을 의미한다.대웅제약은 글로벌 시장에서 신약의 지적 재산권을 확보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국가에서 특허 출원 및 등록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신약의 글로벌 진출은 필연적으로 해외 특허 출원과 등록을 수반한다. 등록된 국가에 한해서 독점권을 행사할 수 있는 특허의 특성상 여러 국가에서 특허를 확보하는 것이 지식재산권(IP) 전략의 핵심이다.대웅제약은 이러한 전략을 통해 최근 5년 간 847건의 해외 특허를 출원하고 459건의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국내 제약사들이 대개 제네릭 의약품으로 국내 시장에서 출혈 경쟁을 벌이는 경우가 많지만 대웅제약은 자체 신약을 개발해 특허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다.신약이 없는 기업들의 경우 이러한 글로벌 진출 구조를 구축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대웅제약의 신약 관련 특허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대웅제약의 특허 보호 노력은 또한 직무발명 보상제도를 통해 더욱 강화되고 있다. 2012년부터 시작된 직무발명 보상제도는 발명자의 동기를 고취하고, 혁신적인 성과를 통해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그 결과 지주사 대웅과 대웅제약은 특허청과
-
방글라데시 의약품관리이사회의 자료에 따르면 제어되지 않고 있는 의약품시장으로 인해 의약품가격이 30%나 상승했다. 일부 의약품가격은 60%에서 90%까지 상승했다.특히 당뇨병, 신경계 질병, 위장 질환, 심장 질환 등의 의약품가격이 상승해 관련 환자들의 경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비타민, 칼슘 등의 영양제가격도 상승했다.
-
대만 성다화학제약(生達化学製薬, Standard Chem&Pharm)은 대만 PharmaDax(法德生技藥品股份有限公司)와 공동으로 중국시장을 개척하기로 합의했다.성다화학제약은 미국과 일본에서 의약품 승인을 획득했으며 PharmaDax의 중국 공장은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사찰을 통과했다. 따라서 양사는 각각의 장점을 활용해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의약품 시장에서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계획이다.2015년 미국발매 혈당강하제, 2016년 4월 일본판매 기관지염 치료제, 현재 승인신청중인 다발성 경화증 및 고지혈증 치료약물 등을 우선 판매할 예정이다.▲ Taiwan_Standard Chem&Pharm Co.,LTD.)_Homepage▲성다화학제약(生達化学製薬, Standard Chem&Pharm) 홈페이지▲ Taiwan_PharmaDax_Homepage▲PharmaDax(法德生技藥品股份有限公司) 홈페이지
-
최근 세계 의약품 수출대국 인도의 제약기업 선파마, 바이오콘, 닥터레디 등은 세계 의약품 소비국 2위인 일본 및 아시아 시장에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인도 최대 제약 회사 선파마는 노바티스로 부터 일본시장에 진출해 있는 브랜드 처방약 14개에 대해 2.93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본격적으로 일본 시장에 진출할 교두보를 마련했으며 향후 연간 매출액은 1.6억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sun pharma▲ 선파마 API Plant(출처: 홈페이지)인도 바이오 의약품 대기업 바이오콘(Biocon)은 최근 일본 후생노동성으로 부터 인슐린제재 바이오시밀러의 판매 허가를 취득했다.바이오시밀러는 당뇨병 환자를 위한 펜형 주사형태의 당뇨병약으로 일본 후지필름 파마사와 제휴해 일본용 인슐린 glargine 개발 및 임상 시험을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향후 일본 내 판매시 바이오콘에 로열티를 지불할 계획이다.인도 제약기업 Dr. Reddy 's Laboratories는 일본 의약품 제조기업 에자이로부터 항암제 E7777의 전세계 독점 개발·판매권 양수 계약을 체결했다. 일본 및 아시아지역 개발·판매권은 일본 에자이가 계속 소유하기로 했다.미국 등 서구 선진국의 의약품 공급처 역할 및 자국의 의약품 시장을 선도해 왔던 인도 제약업체들이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본 및 아시아시장을 넘어 전세계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선파마(Sun Pharmaceutical Industries Limited) ▲ Sun_Pharma_Logo 설립 : 1981년 본사 :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뭄바이(Mumbai, Maharashtra, India) 매출 : 2798억1100만루피 - 2014/15 순이익 453억9400만루피 - 2014/15 직원수 : 3만명 - 2015년 3월 31일* 바이오콘(Biocon Limited)&n
-
2016-04-11미국 인터넷 검색기업 구글(google)은 인도 사용자를 위해 iOS&Android 검색응용 프로그램 및 모든 google검색 플랫폼에서 영어와 힌두어로 병리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시작했다.병리테이터 검색을 통해 400개 이상의 병명과 증상을 검색해 의료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
2016-04-05[싱가포르] MT파마싱가포르(MT Pharma Singapore), 일본 타나베미쯔비시제약의 자회사로 지난 1월 설립후 임상개발 및 신제품 도입 등 신제품 개발 업무 개시...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지역 의약품시장 성장에 따른 사업확대 목적
-
일본 후지경제, 2018년 제네릭 의약품 시장에서 고혈압 치료제의 시장규모 2100억엔으로 점유율 약 19% 예상
-
일본 후지경제, 2018년 제네릭 의약품 시장 견인 품목 고혈압치료제·CSF·천식·COPD치료제 등 2014년 대비 3.0배 성장전망...면역억제제·치매치료제 등은 2014년의 2.0배 성장전망 및 제네릭 의약품의 대체비율 35% 예상
-
일본 후지경제, 2018년 제네릭 의약품 시장 규모 9조3044억엔으로 2014년 대비 9.1% 증가 전망...정부의 의료비 증가 억제책의 일환으로 제네릭 의약품 사용 촉진 영향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