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아동복"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1987년 설립된 의류 패션 전문기업인 한섬(HANDSOME)은 2012년 현대백화점그룹에 인수됐다. 대표 패션 브랜드로는 △타임(TIME) △마인(MINE) △시스템(SYSTEM) △SJSJ 등을 보유하고 있다. 2023년 12월 말 기준 브랜드 수는 39개로 국내 오프라인 매장 1378개, 온라인 매장 3개를 운영한다.한섬의 비전 2030의 방향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아름다운 경험을 제공하는 스타일 크리에이터 기업’으로 설정했다. 추진 전략은 ‘업종과 지역의 경계를 뛰어넘는 폭 넓은 사업 역량 확대’로 정했다.경영 목표는 미래세대에 희망을 제시하고 신뢰받는 기업으로 성장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정했다. 기업에 대한 고객의 신뢰를 기반으로 성장하며 성장을 바탕으로 사회 기여 활동을 확대할 방침이다.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및 업계 선도적 ESG 리더십 발휘’를 로드맵 목표로 정했다.한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한섬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한섬(HANDSOME)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 의지 표명에도 ESG 헌장은 부재... 2023년 부채총계 3299억 원으로 부채율 32.9%한섬의 기업 철학은 △열정과 차별화된 감성을 지닌 LEADER △새로운 영감을 주는 라이프스타일을 창조하는 CREATOR △더 높은 가치를 함께 만들어가는 MOTIVATOR이다.ESG 경영 비전은 ‘Handsome life Creator 아름다운 삶을 창조하는 기업
-
아랍에미리트 소매브랜드 Babyshop에 따르면 2017년 새로운 매장 20개를 오픈할 계획이다. 진출 국가는 GCC국가, 중동·북아프리카(MENA), 태국 등이다.그 중 특히 주력하는 국가는 북아프리카 국가들로 2016년에 나이지리아에 진출했다. 아프리카 지역의 발전은 순조로우며 새로운 부동산과 쇼핑몰 등이 들어선 곳에 매장을 오픈하고 있다.또한 Babyshop은 2016년 11월 온라인 쇼핑플랫폼을 시작했고 2017년에는 전자상거래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전자상거래 부문은 월 75~100%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2016년 국제유가의 하락으로 사업이 어려웠으나 다른 산업에 비해서 침체가 미약했다. 경제가 어려워지면 부모들이 자녀에 대한 지출보다는 다른 지출을 먼저 줄이기 때문이다.▲Babyshop의 온라인 쇼핑몰
-
필리핀 패션잡화회사 러스티로페즈(Rusty Lopez)는 최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9번째 판매점을 오픈했다. 당사는 지난 3월 처음으로 인도네시아에 1호점을 오픈했었다.러스티로페즈 외에도 펜샵(Penshoppe), 아동복 브랜드 진저스냅스(Gingersnaps) 등 필리핀 패션 유통 브랜드들도 인도네시아로 진출하고 있다. 아세안경제공동체(AEC)의 출범으로 역내 진출이 증가하고 있다.▲러스티로페즈(Rusty Lopez) 로고
-
아동복판매업체 니시마츠야체인, 2015/16년 경상이익 전망을 67.5억엔에서 61억엔으로 9.5% 하향조정...따뜻한 겨울 날씨로 동복수요 하락 및 바겐세일로 인한 가격손실 확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