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실속"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07▲ MG새마을금고 로고[출처=MG새마을금고중앙회] MG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에 따르면 2025년 2월 MG새마을금고보험이 신상품‘무배당 MG암뇌심실속보장공제’를 출시해 판매한다.‘무배당 MG암뇌심실속보장공제’는 발생확률이 높은 3대 질환인 암·뇌·심장질환에 특화해 실속있는 보장을 제공하는 상품이다.주계약은 사망보장이며 주요 특약으로는 암진단, 뇌출혈진단, 뇌혈관질환(뇌출혈제외)진단, 급성심근경색증진단, 심혈관질환(급성심근경색증제외)진단 등이 있다.또한 유병자 고객도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도록 일반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일반고지형’상품, 유병자를 대상으로 한 ‘간편고지형’상품을 구해여 출시한 것도 특징이다.해당 상품의 가입가능연령은 만 15세부터 최대 70세이며 공제기간은 80세, 90세, 100세, 종신 등 급부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무배당 MG암뇌심실속보장공제’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새마을금고 공제 홈페이지, MG새마을금고보험 앱 및 가까운 새마을금고에서 확인 가능하다.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회원들이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이번 상품을 출시하게 됐다”고 말하며 “앞으로도 MG새마을금고 보험은 회원의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상품 출시와 더불어 상부상조 정신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회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고 강조했다.
-
2025-03-04▲ BNK부산은행, REXⅡ 신용카드 신상품 출시[출처=BNK부산은행]BNK부산은행(은행장 방성빈)에 따르면 2025년 3월4일(화) VIP고객을 발급 대상으로 실속있는 소비와 함께 프리미엄 혜택을 누릴 수 있는 ‘REXⅡ’ 신용카드를 출시했다.‘REXⅡ’는 국내 가맹점 이용금액의 1퍼센트(%) 포인트가 적립되는 ‘포인트형’과 국내가맹점 이용금액의 1500원당 항공 1마일리지가 적립되는 ‘대한항공마일리지형’ 2가지 종류로 발급이 가능하다.2가지 종류카드 모두 △공항라운지 무료 이용 △호텔·공항 무료 발렛파킹 등의 VIP 서비스가 탑재돼 있디. 백화점과 마트, 카카오T, 스타벅스 등에서 이용 시 1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전(全) 주유소에서 사용 시 1리터당 70원의 할인도 받을 수 있다. ‘REXⅡ카드’는 기존 부·울·경 지역뿐만 아니라 수도권 지역에서 많은 혜택과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프리미엄카드로 재탄생했다.디자인 또한 프리미엄카드에 걸맞게 실제 금가루를 카드표면에 입히는 초정밀 작업으로 고급스럽고 세련된 메탈 소재카드로 변신했다. 기존 PVC소재 카드로도 발급이 가능하다.연회비는 20만 원이며 15만 원 상당의 △호텔다이닝 △신세계·롯데상품권 △항공업종 할인 △골프업종 할인 바우처 중 1개를 고객 특성에 맞게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부산은행 전근호 결제사업부장은 “REXⅡ 신용카드가 실속과 프리미엄을 모두 갖춘 카드로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됐다. 많은 관심과 이용 부탁드린다”고 설명했다.
-
2025-01-13▲ 동원F&B, 건강과 실속 높인 ‘2025 설 선물세트’ 출시[출처=동원F&B]동원F&B(대표이사 김성용)에 따르면 건강과 실속을 더한 ‘2025 설 선물세트’ 100여 종을 출시했다. 동원F&B는 각각 동원참치와 양반김, 리챔 더블라이트 등으로 구성된 스테디셀러 선물세트에 주력한다.동원 설 선물세트를 구성하고 있는 동원참치는 150그램(g) 한 캔에 28g의 단백질이 들어있는 대표 고단백 식품이며 양반김은 고급 원초로 만든 40년 전통의 조미김 브랜드다.리챔 더블라이트는 최근 리브랜딩을 통해 나트륨, 지방 함량을 한 단계 더 낮춰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동원F&B는 가성비 높은 선물을 찾는 소비자들을 겨냥해 실속형 종합선물세트 물량을 20% 이상 확대했다.동원참치, 리챔 등 기본 품목에 참치액, 참기름, 요리유 등 활용도 높은 각종 조미료를 함께 구성한 종합선물세트를 3만 원 이하의 합리적인 가격대로 마련했다. 대표 제품으로 동원참치 라이트스탠다드, 참치액, 참기름, 건강요리유로 구성된 ‘동원프리미엄 60호’가 있다.간편 소비 트렌드에 맞춰 온라인 전용 선물세트도 늘렸다. 새로 출시한 ‘동원 튜나리챔 카카오에디션’, ‘동원참치 M15호’ 등을 비롯해 온라인 전용 수량을 2024년 대비 30% 이상 확대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혔다.건강을 즐겁게 관리하는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 기조에 따라 로우 스펙 푸드(Low Spec Food)로 구성된 이색 선물세트도 눈길을 끈다.카놀라유 대신 물을 담아 열량을 낮춘 ‘동원참치 인워터’와 B2B 종합식품 계열사 동원홈푸드의 저칼로리 스윗칠리·양념치킨 소스로 구성된 ‘비비드키친 스페셜 1호’ 등이다.동원F&B는 지속가능한 소재로 만든 친환경 선물세트도 지속 운영한다. 100% 종이로 만든 올페이퍼 패키지(All P
-
서울대 캠퍼스와 병원을 유치해 서해안 거점 교육도시로 개발 중인 경기도 시흥시 배곧신도시는 화려한 청사진과 달리 사업 진척이 더디다. 20만 평에 달하는 부지를 확보했지만 교육·의료 복합용지로 인가를 받아 학부·대학원생의 수업을 진행할 수 없으며 병원 설립도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다.1989년 시흥군에서 시(市)로 승격된 이후 다수 택지를 개발해 단기간에 인구 50만 명이 넘는 대도시로 성장했다. 하지만 무계획적인 개발로 생활권이 분리된 기형적인 도시 구조를 갖췄다. 시화국가산업단지와 호조벌 평야가 어우러진 도농복합도시로 성장 잠재력은 풍부하다.시흥시는 월곶·배곧·오이도·거북섬을 잇는 해안선을 따라 레저·관광··의료·첨단산업을 집약시키겠다는 ‘K-골든코스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6·1 지방선거에서 시흥시장 후보자가 제시한 선거공약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가 개발한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 모델을 적용해 평가해 봤다. ◇ 개발 광풍에 부패한 시장 다수 배출역대 민선 시흥시장은 정언양·백청수·정종흔·이연수·김윤식·임병택이다. 민선1~4기 시장 모두 재임 기간 또는 퇴임 이후 뇌물수수·정치자금법 등으로 사법부의 심판을 받았다. 1기 시장 정언양은 경기도 공무원으로 근무하며 행정 경험을 쌓았다.2기 백청수는 1964년 박정희정부의 한일협상을 반대한 6·3동지회 출신 정치인이다. 3기 정종흔은 경기도청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으며 관선 가평군수·이천군수·시흥시 부시장을 거쳤다. 4기 이연수는 안산경찰서장·시흥경찰서장으로 근무하며 지역 기반을 구축해 정치인으로 변신했다.4기 보궐·5·6기 김윤식은 1
-
최근 국제산업변화의 배경 속에서 임금상승은 저가의 노동공급을 요구하고 있으며 그로인한 ‘산업용로봇’ 시장의 규모는 매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글로벌 시장 못지않게 중국 국내시장도 거대하게 확장되고 있으며 중국의 산업용로봇 생산기업은 거의 1000개에 육박하고 있다.중국 로봇기술의 핵심주자인 중국과학원 소속 ‘신송로봇자동화공사(新松公司)’의 2015년 매출은 5.18억위안을 기록해 2014년 동기 대비 8.63% 성장했다.순이익률은 무려 33.74%에 달했다. 하지만 중국의 산업용로봇 시장이 보기와는 다르게 허장성세(虛張聲勢)라는 지적이 대두됐다.본토 로우엔드 공급업체의 핵심기술이 시장규모에 비해 심각하게 위축돼 있다는 주장이다. 수익창출 능력에서도 주요부문에서 손실률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OFweek산업연구센터 데이터에 따르면 2015년 상반기 중국의 로봇기업은 80% 이상이 성장세를 기록 성장했지만 20%는 하락세를 면치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2013년부터 중국은 산업용로봇 글로벌 최대 시장에 등극했지만 로봇 밀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됐다. 2013년 중국 산업용로봇 밀도는 산업인구 1만명당 30대로 글로벌 평균의 절반 이하 수준이다.산업자동화 최고 수준인 ▲한국은 437대 ▲일본은 323대 ▲독일은 282대로 큰 격차를 알 수 있다.국제로봇협회(IFR) 데이터를 살펴보면 2014년 글로벌 산업용로봇 판매량 70%는 중국과 미국, 한국, 일본, 독일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중국시장의 산업용로봇 판매량은 5.7만대로 2013년 대비 56%나 성장했다.하지만 중국 본토 로봇 제조업체 판매량은 1.6만대이며 국외 로봇 제조업체 판매량은 4.1만대로 국산화율은 1/4을 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국내업체 성장률은 78%로 높지만 해외업체 성장률 49%보다 실속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2013년 중국에서 구매해 조립한 산업용로봇은 3.65만대에 달했다. 그 중 자동차분야는 제조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