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선철"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03▲ EPD인증을 받은 동국제강 형강 제품[출처=동국제강]동국제강그룹 동국제강(대표이사 최삼영)에 따르면 국내 철강업계 최초로 생산 전 제품군에 대한 환경부 ‘저탄소 제품 인증’을 취득했다.저탄소 제품 인증은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부여한다. 취득할 경우 ‘녹색제품’으로 인정받는다. 환경성적표지(EPD,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인증을 취득한 제품만 신청이 가능하다. 취득 제품 중 탄소 배출량이 동종 제품 평균 배출보다 낮음이 증명될 경우 부여된다.취득 제품군은 철근·형강·후판이다. 품목은 △직선철근 △코일철근 △H형강 △일반형강 △비열처리재후판 5종이다. 길이나 두께, 강종에 따라 세부 제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최대 허용 탄소배출량 기준에 따라 열처리재후판 품목은 신청하지 않았다.동국제강은 생산 전 제품군이 환경부 ‘녹색제품 구매 촉진에 관한 법률’(녹색제품 구매법)에 의거, 공공기관 의무 구매 제품에 해당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판매가 확대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동국제강은 2023년 6월 분할 출범 후 본사 및 사업장을 포함해 약 20여 명 규모로 ‘친환경인증 취득 추진 TF’를 신설하고 2년안에 전 공장·전 제품군 친환경성을 인정받겠다는 목표를 수립한 바 있다.TF는 유럽·미국·국내 EPD인증 취득에 이어 이번 환경부 저탄소 인증 취득하며 프로젝트를 종료했다. 최초 목표 대비 3개월 빠른 성과다.동국제강은 2023년 6월 동국제강(현 동국홀딩스) 분할로 출범한 철강전문회사다. ‘Steel for Green’을 친환경 중장기 비전 삼아 지속가능한 공정과 친환경 제품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동국제강은 친환경 녹색제품을 기반으로 글로벌 저탄소 철강재 시장을 공략해 나갈 계획이다.
-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에 따르면 2018년 3월 철강 생산량은 6046만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 감소했다.3월 조강 생산량은 7398만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했다. 2018년 3월 강재 생산량은 8977만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4.2% 확대됐다.또한 2018년 1~3월 철강 총 생산량은 1억7500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다. 동기간 조강 생산량은 2억1215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했다.2018년 1~3월 강재 생산량은 2억469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늘어났다. 미국과의 무역전쟁에도 불구하고 철강생산에 대한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China_NBS(National Bureau of Statistics)_Logo▲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로고
-
우크라이나 철강기업협회(Укрметалургпром)에 따르면 2017년 1~9월 국내 철강제품 생산량은 4390만톤으로 지난 20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주요 철강제품인 선철(pig iron), 주철(cast iron), 압연강(rolled steel)의 생산량이 줄어 들었기 때문이다. 다음은 주요 제품별 생산량과 연간 감소율이다.해당기간 ▲선철(pig iron) : 1460만톤(-18%) ▲주철(cast iron) : 1580만톤(-14%) ▲압연강(rolled steel) : 1350만톤(-16%)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월별 기준(9월)으로 본다면 선철 193만톤(+4%), 주철 185만톤(+5%), 압연강 166만톤(+7%) 등이다. 11월까지 이정도 생산량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지금까지 우크라이나의 철강제품 생산성은 2007년 큰 폭으로 감소된 이후 철강업이 호황이었던 1995~1996년대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광물자원이 풍부한 지대임에도 불구하고 잦은 외교적, 군사적 마찰과 설비투자에 대한 미약한 경제적 동력이 국내 광산업을 침체시키고 있기 때문이다.▲철강기업협회(Укрметалургпром) 로고
-
우크라이나 철강기업협회(Укрметалургпром)에 따르면 2017년 1~9월 국내 철강제품 생산량은 4390만톤으로 지난 20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주요 철강제품인 선철(pig iron), 주철(cast iron), 압연강(rolled steel)의 생산량이 줄어 들었기 때문이다. 다음은 주요 제품별 생산량과 연간 감소율이다.해당기간 ▲선철(pig iron) : 1460만톤(-18%) ▲주철(cast iron) : 1580만톤(-14%) ▲압연강(rolled steel) : 1350만톤(-16%)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월별 기준(9월)으로 본다면 선철 193만톤(+4%), 주철 185만톤(+5%), 압연강 166만톤(+7%) 등이다. 11월까지 이정도 생산량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지금까지 우크라이나의 철강제품 생산성은 2007년 큰 폭으로 감소된 이후 철강업이 호황이었던 1995~1996년대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광물자원이 풍부한 지대임에도 불구하고 잦은 외교적, 군사적 마찰과 설비투자에 대한 미약한 경제적 동력이 국내 광산업을 침체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
중국 국가통계국은 2016년 9월 선철생산량이 5932만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4.1% 증가했다고 밝혔다. 동기간 조강생산량은 6817만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3.9% 늘어났다. 강재생산량은 9809만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4.3% 증가했다.또한 2016년 1~9월 선철 총 생산량은 5억2825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감소했으며 동기간 조강생산량은 6억378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늘어났다.2016년 1~9월 강재 총생산량은 5억5178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다.
-
일본 한와공업(Hanwa)은 중국이 인도네시아에 투자하고 있는 니켈 선철 제조공장에 일부를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에서 니켈이 포함되지 않은 제품의 수출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현재 한와공업은 니켈선철공장에 출자해 가공품을 스테인리스 생산자에게 공급할 계획이다. 공장가동은 2017년 4월부터 시작하며 여간 6만톤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한와공업(Hanwa) 홈페이지
-
[중국] 중국철강산업협회, 2월 상순(10일간) 144개 철강회사 총생산 통계 발표...조강 1561.15만톤·선철 1536.87만톤·강재 1392.13만톤·코크스 321.99만톤 생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