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보조식품"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7-16▲ KGC인삼공사 로고[출처=KGC인삼공사]세계 최고 인삼제조업체인 KGC인삼공사는 종합건강식품 브랜드 ‘정관장’이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이 집계한 전 세계 ‘허브 건강보조식품(Herbal/Traditional Dietary Supplements)’ 소매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유로모니터의 2023년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허브 건강보조식품’ 분야 소매시장 규모는 298억8000만 달러(한화 약 41조3330억 원, 2024년 7월 15일 15시 21분 환율 기준)인 것으로 나타났다.이 중 정관장은 매출액 11억6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약 3.9%의 시장점유율로 전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세계 인삼 소매시장’에서 46.6%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10년 연속 1위에 올랐다.‘허브 건강보조식품’ 카테고리 조사는 천연물 또는 전통소재로 만든 건강보조식품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인삼, 알로에, 은행, 크렌베리를 비롯해 각종 약초를 가공해 제조한 건강보조식품이 해당된다.정관장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홍삼정 에브리타임’, ‘홍삼정’, ‘활기력’, ‘홍삼원’ 등 주력 제품과 녹용, 석류 등 자연소재를 활용한 ‘천녹’, ‘굿베이스’ 등의 브랜드를 론칭했다.최근 한국 건강기능식품 기업 중 유일하게 미국의 프리미엄 마켓체인인 ‘스프라우츠(Sprouts Farmers market)’와 입점 계약을 완료했다.한편 국내 건강기능식품 1위 기업인 KGC인삼공사는 글로벌 원마켓 관점에서 현지 소비자를 겨냥한 맞춤 제품을 개발하고 코스트코·아마존 등 현지 유력기업과 협업을 통해 글로벌 온·오프라인 유통망 확대 중이다.
-
중국 의약품 대기업 상하이의약(上海医药, Shanghi Pharma)에 따르면 사모펀드 Primavera Fund와 공동으로 오스트레일리아 Vitaco의 주식 100%를 인수한다. 인수금액은 $US 2억3500만 달러이다.Vitaco는 상하이의약이 가진 중국 내 판매거점을 활용해 수요시장이 큰 중국에 자사브랜드의 판매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오스트레일리아 재무부 외국투자심사위원회(FIRB)는 중국의 투자에 대해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다만 인수절차를 완료하기 위해 Vitaco주주, 오스트레일리아 연방법원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지난 2016년 8월 Vitaco 이사회는 중국 상하이의약의 인수에 대해 찬성입장을 표명했으며 주주들에게 이해를 구하고 있다.▲ China_SPH(Shanghai Pharma)_Homepage▲상하이의약(上海医药, Shanghi Pharma) 홈페이지▲ Australia-Vitaco_Homepage▲Vitaco 홈페이지
-
일본 제약업체인 닛토약품공업(日東薬品工業)은 2017년 8월까지 6억 엔을 투자해 유산균 생산성을 80톤으로 기존 대비 60% 확대한다고 발표했다.식품에 사용하는 유산균의 생산량을 늘린다. 소비자의 건강지향이 높아지면서 유산균을 함유한 초콜렛과 보조식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유산균을 배양하는 기존의 4톤 타입의 스테인레스탱크 3기에 8톤 타입 1기를 새롭게 추가한다. 건조설비 등의 관련기기도 도입해 증산체제를 정비한다. 기존보다 낮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유산균 배양을 촉진할 계획이다.
-
식음료업체인 하고로모푸드(はごろもフーズ)는 2016년 중성지방의 양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을 발매한다고 발표했다.DHA와 EPA를 포함한 기름을 다랑어에서 추출해 소프트캡슐에 주입했다. 회사가 기능성표시 식품을 발매하는 것은 최초이다. 통신판매로 중고년층에 판매할 계획이다.
-
2014-08-25풀무원그룹(이하 풀무원)은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의 원혜영 국회의원이 풀무원농장을 경영해온 부친 원경선씨의 농산물을 판매하기 위해 1981년 서울 압구정동에 풀무원 무공해 농산물직판장을 개설하면서 역사가 시작됐다.1982년 풀무원효소식품 설립, 1984년 남승우 현 풀무원회장 영입을 통한 공동경영 및 풀무원식품으로 상호변경, 법인전환을 했다. 풀무원식품의 창업자인 원혜영 의원이 1993년 정계에 입문하면서 남승우 회장체제로 전환됐다.1995년 ㈜풀무원으로의 상호변경, 2003년 10개 계열사로의 분사, 2004년 지주회사체제 전환했다. 풀무원은 원혜영 의원의 부친 원경선씨가 운영한 풀무원농장의 이웃사랑, 생명존중의 정신을 계승해 유기농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식품전문기업으로 성장했다. ◇ 풀무원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풀무원은 국내26개, 해외11개, 총 37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 계열사는 표1와 같이 지주회사, 제조, 유통/물류/외식, 부동산/서비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풀무원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지주회사부문 계열사에는 ㈜풀무원, 풀무원아이씨가 있다. ㈜풀무원은 1984년 설립한 풀무원효소식품을 모태로 하고 있으며, 같은 해 풀무원식품으로 상호가 변경됐다. 1995년 ㈜풀무원으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2003년 물적 분할을 통해 10개의 자회사를 신설했다.2004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했으며, 2008년 식품사업부문을 분할해 ㈜풀무원을 설립하고, 기존법인은 풀무원홀딩스로 상호를 변경했다. 현재 상호 ㈜풀무원은 2014년 풀무원홀딩스에서 변경됐으며, 투자 및 경영컨설팅을 하는 비금융지주회사이다.풀무원아이씨역시 비금융지주회사로 2008년 흡수 합병에의해 사라진 풀무원건강식품의 매장판매사업을 분할해 설립했다.제조부문 계열사에는 신선나또, 풀무원식품, 풀무원기분, 피피이씨춘천, 피피이씨의령, 피피이씨음성냉면, 피피이씨음성나물, 피티에이 등이 있다. 신선나또는 나또의 연구 개발, 생산, 판매를 위해 2005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