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발전량"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6-23▲ 두산에너빌리티 로고 [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2025년 6월20일(금)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과 3300억 원 규모의 ‘영동양수발전소 1·2호기 주기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이날 서울특별시 중구 한수원 방사선보건원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한수원 황주호 사장,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부회장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영동양수발전소는 충북 영동군에 500메가와트(MW, 250MW급 2기) 규모로 건설되며 2030년 준공 예정이다. 국내 신규 양수발전소 건설은 2011년 예천양수발전소 준공 이후 약 14년 만이다.영동양수발전소는 국내 최초로 발전량 조절이 가능한 가변속형 설비가 적용될 예정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번 계약을 통해 수차, 발전기, 전기 및 제어 설비를 포함한 전체 기자재의 설계, 제작 및 설치 등을 수행하게 된다.수차는 물의 위치 에너지를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기로 양수발전소에서 터빈 역할을 담당한다. 양수발전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는 대표적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이자 친환경 발전 방식이다.남는 전기를 활용해 하부댐에서 상부댐으로 물을 끌어 올리고 전력이 부족할 때 다시 물을 하부댐으로 보내 전기를 생산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세계 ESS 설비 중 양수발전의 비중은 66.5퍼센트(%)로 압도적이다.정부의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7년까지 설비용량 5.7기가와트(GW, 총 9개소) 규모의 양수발전소가 건설될 예정이며, 올해 하반기에는 추가 1.25GW에 대한 사업자 선정을 진행할 예정이다.두산에너빌리티는 세계적인 양수발전 주기기 공급사인 오스트리아 안드리츠사와 협력을 통해 양수발전 주기기 설계 기술 국산화를 추진해 나가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부회장은 “국내 최초의 가변속형 양수발전소 건설 사업을 함께 추진할 수 있게 돼 매우 뜻깊다&rdquo
-
2025-05-14▲ 한국전력공사 로고 [출처=한국전력]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매출액이 24조2240억 원, 영업비용은 20조4704억 원, 영업이익은 3조7536억 원을 기록했다.연료 가격 안정과 그간의 요금 조정 등의 영향으로 7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주요 증감 요인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기 판매 수익 판매량이 0.5% 감소했으나 판매단가는 전년 대비 5.3% 상승해 1조462억 원 증가했다.자회사 연료비는 1조1501억 원 감소했으며 민간 발전사 전력 구입비는 4461억 원 줄어들었다. 원전 발전량 증가에 따른 발전자회사 석탄 및 LNG 발전량이 감소했다.연료 가격 하락으로 자회사 연료비는 줄어들었으나 민간 구입량은 늘어났다. 계통한계가격(SMP) 하락 등으로 전력 구입비는 감소했다.기타 영업비용은 발전 및 송배전설비 신규 자산 증가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으로 732억 원 증가했다. 2021년 이후 누적 영업 적자가 30.9조 원으로 지속적인 실적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한전은 "재정 건전화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전력 구입비 절감 등 다양한 제도개선 방안을 정부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환율 및 국제 연료 가격 변동 등 대외 불확실성에도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 생성형 AI를 활용해 ‘에너딕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표현한 상상도[출처=LG CNS]디지털 전환(DX) 전문기업 LG CNS(대표이사 현신균)에 따르면 통합발전소(Virtual Power Plant, VPP) 사업자를 위한 전력 인공지능(AI) 솔루션 ‘에너딕트(Enerdict)’를 출시했다.VPP는 전국에 분산된 태양광, 풍력 등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소들을 정보통신기술(ICT)로 연결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에너딕트’는 에너지(Energy)의 흐름을 정확하게 예측한다(Predict)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LG CNS가 선보인 ‘에너딕트’는 VPP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고객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으로 향후 전력중개 솔루션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VPP 사업자는 계절, 날씨 등 기상 상황에 따라 발전량의 변동성이 큰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소들의 발전량을 예측하고 전력거래소의 급전 지시를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급전 지시란 우리나라 전력의 수요와 공급을 관리하는 한국전력거래소에서 각 발전소에 발전량 조절을 실시간 지시하는 것으로 VPP 사업자의 중요 의무사항이다.LG CNS는 ‘에너딕트’에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 등 AI와 수학적 최적화 기술을 접목해 발전량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전력거래소의 급전지시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 VPP 사업자의 운영 수익을 극대화한다.수학적 최적화는 현재 보유한 자원과 조건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해 최대 효율을 내는 최적의 대안을 찾아내는 기술로 LG CNS의 ‘에너딕트’는 업계 최고 수준의 발전량 예측 정확도를 자랑한다.‘에너딕트’는 과거에 축적된 기상 자료와 더불어 국내외 기상 예측 기관에서 예보하는 다양한 기상 데이터까지 AI가 분석함으로써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
▲ 오스트레일리아 에너지기업 우드사이드 에너지그룹(Woodside Energy Group)의 현장 사진 [출처=홈페이지]○ 미국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에 따르면 화석연료 발전량은 2021년 이후 전 분기보다 평균 37% 증가했다. 2024년 상반기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시 탄소 배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한 7억9000만 미터톤(t)의 이산화탄소(CO2) 및 가스를 기록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에너지기업 우드사이드 에너지그룹(Woodside Energy Group)은 약 US$9억 달러에 미국 가스 기업 텔루리안(Tellurian)의 액화천연가스 개발 부문을 인수할 계획이다.텔루리안은 루이지애나주 레이크 찰스(Lake Charles, Louisiana) 근처에 계획된 드리프트우드(Driftwood) LNG 개발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번 거래는 주당 현금 1.00달러의 금액에 인수하기로 합의됐다. 2024년 4분기 안에 거래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멕시코 에너지부에 따르면 2024년 전력 수요가 3% 증가해 1시간당 345테라와트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5년 안에 수요가 1시간당 400테라와트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충족하려면 전력망에 최소 US$ 380억 달러의 투자가 필요하다. ▲ 김봉석 기자[출처=iNIS]
-
▲ 파키스탄 HBL사가 유로머니(Euromoney)로부터 '2024년 파키스탄 최고 은행'으로 선정됐다[출처=HBL 홈페이지]2024년 7월 4주차 파키스탄 경제동향은 통계청(PBS), 금융회사 HBL, 전력생산량, 시멘트 수출 등을 포함한다. 금융회사 HBL가 유로머니로부터 '2024년 파키스탄 최고 은행'으로 선정된 바 있다.파키스탄 통계청(PBS)에 따르면 2023-24 회계연도 모바일 휴대전화 수입액은 Rs 5356억9000만 루피로 전년 대비 291.35% 증가했다. 동기간 시멘트 수출액은 US$ 2억6651만6000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파키스탄 중앙은행(SBP)는 2024년 7월25일 기준 외환보유고가 US$ 3억9700만 달러 감소했다고 밝혔다. 7월19일 마감하는 1주일 동안 중앙은행의 외환보유고는 90억 달러 대로 축소됐기 때문이다.외환보유고가 줄어드는 것은 해외부채를 갚고 있기 때문이다. 상업은행들이 보유하고 있는 순외화보유고는 53억 달러 수준이다. 총유동외환보유고는 143억 달러로 집계됐다.○ 파키스탄 통계청(PBS)는 2023-24 회계연도 모바일폰 수입액은 Rs 5356억9000만 루피로 전년 1368억4700만 루피 대비 291.35%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4년 6월 모바일폰 수입은 2억7857.4만 달러로 전년 동월 1억5759.2만 달러 대비 76.77% 확대됐다.2023-24 회계연도 전체 통신장비 수입액은 23억6600만 달러로 전년 9억5669,6만 달러 대비 147.36% 증가했다. 국내에서 스마트폰 등 통신기기의 조립과 생산이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하다.○ 파키스탄 통계청(PBS)에 따르면 2023-24 회계연도 시멘트 수출액은 US$ 2억6651.6만 달러로 전년 동기 1억8987.6만 달러 대비 40% 증가했다. 수출한 시멘트를 톤(t)으로 환산하면 708만7401t으로 전년 대비 66.85% 증가했다.2024년 5월 시멘
-
지난 6월 2주차 싱가포르 경제는 경제개발위원회(EDB)에 따르면 2025년부터 북부 크란지 저수지에서 수상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할 예정이다. 금시장협회(SBMA)는 세계금협의회(WGC)와 협력해 소매금투자위원회 설립 위한 협의를 통해서 당국을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고 귀금속 시장의 중추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DBS 은행, 국내 기업 1000곳 대상으로 시장 진출 위한 국제화 무료 프로그램 시작... 국내 시장 네트워크 심화 또한 목적으로 삼아○ 글로벌 IT기업인 구글, S$ 67억 달러 투자해 현지 4번째 데이터 센터를 완공... 급성장하는 주요 디지털 서비스 운영 목적○ 정부, 향후 5년 동안 양자컴퓨팅 영역에 S$ 3억 달러 투자할 계획... 생성형 인공지능(gen AI)의 효율적 사용 목적○ 에너지시장청(EMA), 2030년까지 수소 호환 천연가스 발전소 2곳 건설할 예정... 전력 수요 충족과 에너지 안보 보장○ 네덜란드 NXP반도체, 싱가포르에 웨이퍼 칩 공장 건설 위해 US$ 78억 달러 투자... 2027년부터 생산 시작해 글로벌 기술기업의 제조 기지 위치 다각화 도모○ 통신정보부(MCI), 인공지능(AI) 관련 원탁회의에서 미국 상무부(DOC)와 협력해 인공지능 프로그램 AI 탤런트 브릿지(AI Talent Bridge) 출시 발표... 기존 미국-싱가포르 여성 기술 파트너십 프로그램 기반해 인재 양성 목적○ 재무부(MOF), 개척 세대 약 30만 명에게 메디세이브(MediSave) 충전 혜택 총 S$ 1억5000만 달러 이상 지원... 의료 서비스 비용 및 보험비 지불에 사용 가능해○ 싱가포르 항공(SIA), 지난 회계연도 수익 S$ 26억 8000만 달러... 항공 여행에 대한 수요 급증하며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기록적인 성과 달성○ 퍼시픽인터내셔널(PIL), 직원과 신입사원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 제공하는 아카데미 설립... 미래 지향적인 기업을 위한 발돋움○ ST 엔지니어링,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한 디지
-
▲ 남아프리카공화국 데이터 센터 제공업체인 테라코(Teraco Data Environments)의 JB3 데이터 센터 시설. (출처: 홈페이지)남아프리카공화국 데이터 센터 서비스 업체인 테라코(Teraco Data Environments)에 따르면 국영전력회사인 에스콤(Eskom)으로부터 120메가와트(MW) 규모의 전력망 용량 배분권을 획득했다.테라코가 처음으로 획득한 전력망 배분권으로 자유주(Free State)에 120MW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완공되면 연간 발전량은 33만8000메가와트시(MWh)로 전망된다.에스콤의 전국 발전망과 테라코의 태양광발전소를 연결해 국내에서 운영하고 있는 데이터 센터 시설을 가동할 방침이다.테라코의 장기 재생에너지 계획의 일환으로 태양광발전 에너지의 활용도를 높이고 추가 전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태양광발전소의 개발과 건설을 위해 태양광 에너지회사인 JUWI 재생에너지(JUWI Renewable Energies Ltd), 섭솔라(Subsolar)와 협업하기로 결정했다.
-
2021-12-08나이지리아 전력회사인 젠코스(GenCos)에 따르면 2013년~2021년까지 지난 8년간 국내 평균 미활용 발전량은 291%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2013년 국내 평균 미활용 발전량은 1030.80MW에서 2021년 최근까지 3008.18MW까지 확대된 것이다. 민영화 8년 동안 가정과 기업 등 소비자에게 전기를 송배전하기 위한 적절한 투자가 이뤄지지 않았음을 나타낸다.이와 같은 현상은 경제 및 기타 활동을 분야별로 활성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던 국가의 실질적인 역량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의미이다.특히 가용 발전용량이 5000MW를 넘었지만 100% 송장 결제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조사 자료에 따라 미활용 전력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것도 제한된 것이다.2021년 세계은행(World Bank)의 기준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인구의 43%에 해당하는 8500만명이 전력을 공급받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나이지리아 전력산업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규제를 철폐해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막대한 고정 비용을 줄여야 한다. 또한 국영전력공사는 발전용량을 확대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젠코스(GenCos) 홈페이지
-
2019-12-31중국 정부에 따르면 북서부 5개 지역은 올해 청정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량이 두 자릿수로 성장했다. 에너지 혼합을 개선하고 오염을 줄이기 위해 녹색에너지에 대한 막대한 투자가 이뤄졌기 때문이다.2019년 1월 ~ 11월 기간 동안 산서성(陕西省), 간쑤성(甘肅省), 닝샤(宁夏), 칭하이(靑海) 및 신강(新疆)의 5개 지역은 풍력을 통해 884억 5천만 kWh의 전력을 생산해 연간 10.3% 증가했다.또한, 5개 지역은 태양 에너지로부터 521억 9천만 kWh의 전력을 생산해 전년 대비 18.3% 증가했다. 지난 10년 동안 5개 지역의 새로운 에너지 생산 용량은 거의 45배 급증했다.이를 위해 해당 지역에서 가장 큰 풍력 및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가 건설됐다. 이와같이 풍력 및 태양 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는 이 지역의 모든 전기 소비량의 4분의 1을 차지했다.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대기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석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에도 더 많은 재생 에너지를 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China-Government-RenewableEnergy▲ 중국 정부의 2020 국가 그리드 계획(출처 : 위키피디아)
-
오스트레일리아 컨설팅기업인 Green Energy Markets에 따르면 2019년 3월분기 옥상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2019년 3월분기 100킬로와트 이하의 소규모인 옥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482메가와트의 발전 용량을 기록했다.빅토리아(Vic)주가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해 90% 증가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올해 옥상 태양광 발전용량은 2000메가와트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2019년 3월 한달간 신재생가능에너지 공급량은 국가의 주요 송전망에 19.7%, 시간당 3839기가와트의 전력을 공급한 것으로 집계됐다.3월 발전량은 95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고 270만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2020년까지 신재생가능에너지 공급량 목표달성이 앞당겨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Green Energy Markets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