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고등교육"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한국고등교육재단 50주년 기념 ‘미래인재 컨퍼런스’ 포스터[출처=SK]SK(SK그룹 회장 최태원)에 따르면 2024년 11월26일(화요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창립 50주년을 맞는 한국고등교육재단(이사장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미래인재 컨퍼런스’를 개최한다.창립 50주년을 맞아 기획된 이번 미래인재 컨퍼런스에서는 융합적 사고와 협업 능력을 갖춘 미래 인재상에 대해 심도 깊게 논의한다.재단이 지향할 인재 양성의 방향성을 공유하고 앞으로 50년의 새 비전과 미션을 구체화한다. 또 미래세대에게 비전과 영감을 제공하기 위한 과학기술 분야의 도전적이고 과감한 질문을 함께 풀어나가는 열띤 토론의 장도 마련된다.미래인재 컨퍼런스는 ‘인재의 숲에서 인류의 길을 찾다’와 ‘가지 않은 길에서 혁신을 찾다’라는 주제로 열린다.‘인재의 숲에서 인류의 길을 찾다’란 주제로 열리는 ‘인재 토크(Talk)’ 세션에서는 인문계·이공계 학생 200여명과 함께 미래에 요구되는 인재의 핵심 역량을 논의한다. 인공지능(AI) 시대의 대학의 역할 등 교육 현장에서의 과제도 짚어본다.특히 디지털 혁명과 지속 가능성이라는 새로운 시대적 과제 속에서 융합적 사고와 협력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방향을 학생들과 질의응답을 통해 함께 모색해본다.한국고등교육재단 이사장인 최태원 SK 회장은 인재 토크 세션의 패널로 참여해 이대열 존스홉킨스대 교수, 이석재 서울대 교수, 이진형 스탠퍼드대 교수, 김정은 메릴랜드대 교수,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 등과 미래 인재상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세션의 좌장은 염재호 태재대 총장이다.‘가지 않은 길에서 혁신을 찾다’란 주제로 열리는 ‘그랜드 퀘스트’ 세션에서는 반도체, AI, 합성생물학, 역노화 등 10개의 과학기술 분야의 도전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각 분야 석학들과 이공계 미래
-
2017-01-18탄자니아의 고등교육대상자대출연맹(HESLB)에 따르면 이번달부터 상환율이 15%로 올렸다. 작년 11월 2004 HESLB법을 개정했기 때문이다.개정에 의해 수혜자들은 본래 급여의 8%를 상환했지만 이제부터는 15%를 상환해야 한다. 2016년 11월에 법무장관은 대출 회복을 강화하고 이사회의 운영 개선을 목표로 국회 법안의 개정안을 채택했다. 대출자들은 졸업 후 대출을 갚아야 하지만 지금까지 14만2470명의 수혜자들이 239.3억실링 규모의 대부금을 상환하지 않았다. HESLB는 대출을 갚아야만 똑같은 혜택을 다른 학생들이 누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 탄자니아의 고등교육대상자대출연맹(HESLB) 로고
-
▲ 중국 국무원 로고■ 중국 고등교육에 도덕경 원문 수록○ 2015년 가을학기부터 사용될 고등학교 국학 교재에 “공자가 말한 ‘인(仁)’과 소크라테스의 ‘선(Good)’이 어떤 차이가 있는가?” 수록○ 중국전통문화교육실험 교재는 도덕경 원문을 포함해 논어, 맹자, 대학·중용 등 모두 4권으로 구성돼 중국 전통사상을 소개○ 고1 교재에 논어, 맹자가 수록되고, 고2 교재에 대학·중용, 도덕경이 수록되며, 도덕경은 원문 전문을, 다른 경전은 주요 부분을 주해하고 신독, 제가, 격물치지, 중화, 위정 등 챕터로 구성○ 소학교 고학년 단계에서 논어, 맹자 등 유학 경전의 기초를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에서 깊은 이치와 사상을 이해하도록 함○ 또한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정신은 어떤 차이가 있으며, 맹자가 말하는 ‘의리관’과 서양의 ‘공리주의 사상’은 어떻게 단른가를 학습하는 등 유교 핵심정신을 서양의 사상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구성○ 베이징시 교육위원회는 카오카오(高考. 한국의 수능)에 전통문화 관련 문제 출제와 단순한 고시(古詩) 감상이 아닌 작문을 포함해 전통 철학에 대한 이해를 묻는 방식도 검토하고 있음
-
2013-05-06사랑으로 섬기는 꿈과 희망의 징검다리라는 슬로건으로 2009년 설립된 한국장학재단은 국가 장학사업을 통합 운영하고 학자금 대출과 보증 업무를 담당하는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다.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의지와 능력에 따라 고등교육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국가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한국장학재단의 윤리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언론보도, 그린경제 DB, 국가정보전략연구소 DB, 국정감사, 감사원 자료 등을 참조했다. 장학재단의 윤리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8-Flag Model’을 적용해 보자. ◇ 정부예산의 편법운용, 배임행위 등 다양한 모럴해저드 발생◆ Leadership(리더십, 오너/임직원의 의지)한국장학재단의 미션(mission)은‘고등교육기회 확대를 통한 인재육성에 기여’이고, 비전(vision)은‘2020년 세계 최고의 인재육성 학자금 지원 기관’이다. 전략목표는 고객중심의 학자금 금융서비스 지원, 학자금 대출의 안정적 사후관리, 국가장학금의 효과적 지원, 다양한 지원을 통한 글로벌 인재육성, 지속성장을 위한 경영기반 확립 등 5가지다. 전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10가지 전략과제를 제시하고 있다.내용은 학자금 부담경감을 위한 안정적 금융 지원, 고객중심의 학자금 금융제도 개선, 학자금대출고객 신용보호 강화, 선제적 리스크 관리시스템 운영, 고객 지향적 국가장학금 서비스 제공, 효율적 장학금 지원 체계 구축, 글로벌 인재육성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체계 강화, 학생지원 종합 서비스 체계 구축, 노사공동의 성과책임제 조직 구현 등이다.핵심가치는‘4C SERVANT’이고 4C는 신뢰(Credibility), 창조(Creativity)행, 헌신(Commitment), 협력(Collaboration)을 의미한다. 신뢰는 진정성을 가지고 행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