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차이나모바일"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0-07-23중국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에 따르면 2020년 6월 5G 가입자수는 1440만 명으로 집계됐다. 6월 말 기준 총 7020만 명을 기록했다.지난 2020년 1월 말 기준 5G 가입자수 670만 명 대비 10배 이상 성장했다. 2020년 6월 말 기준 총 모바일 가입자 수는 9억4670만 명으로 전년 동기 9억3500만 명 대비 1670만 명 늘어났다.차이나모바일은 전국 28개 지역에 총 23만2000곳에 5G 기지국을 구축해 50개 도시에서 5G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0년 연말까지 중국 전역에 30만 개의 5G 기지국을 구축할 계획이다.차이나모바일은 5G 구축을 위해 2020년 연초에 화웨이와 ZTE와 371억 위안 규모의 5G 계약을 체결했다. 이중 화웨이는 28개 지역 57.3%를 차지했다.다른 기업들의 현황을 살펴보면 ZTE는 28.7%, 에릭슨(Ericsson) 11.5%, 중국정보통신기술(China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은 2.6% 등으로 나타났다.▲ china mobile♦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 홈페이지
-
중국 상하이시경제정보화위원회(上海市经济和信息化委员会)에 따르면 2020년 5월 말 기준 상하이시내 5G 기지국 2만 개 이상의 설치를 완료했다. 상하이 시내 어디에서든 5G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됐다.상하이시는 2020년 5G에 약 100억 위안을 투자할 예정이다. 시내에서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를 200mbps, 전시센터 및 공항 등에서의 다운로드 속도는 500mbps가 각각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특히 난진둥루(南京东路, Nanjing Road E.), 쉬자후이(徐家汇, Xujiahui), 루자쭈이(陆家嘴, Lujiazui) 등 상업 지역은 5G네트워크가 촘촘히 설치된다.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500mbps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된다.상하이시는 2020년 말까지 297개 모든 지하철역에 5G 네트워크를 설치하기로 차이나텔레콤(China Telecom),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 차이나유니콤(China Unicom), 차이나타워(China Tower)와 전략적 협력계약을 체결했다.또한 시는 2020년 말까지 약 3만 개의 옥외용 5G 기지국과 5만개의 실내용 기지국을 건설하기로 결정 했다. 미국과 무역분쟁으로 경제가 어려워져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다.▲ Shanghai city Homepage♦ 상하이시경제정보화위원회(上海市经济和信息化委员会) 홈페이지
-
2020-05-21중국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에 따르면 2020년 4월 5G 가입자는 총 4374만5000명으로 3월 총 3172만3000명 대비 1202만2000명 늘어났다.지난 2020년 1월까지 5G 가입자는 673만6000명이었으며 2월에는 5G가입자수가 총 1539만9000명에 달했다. 2020년 4월까지 차이나모바일의 4G 총 가입자수는 7억5372만5000명으로 지난 3월 7억5195만3000명 대비 177만2000명 증가했다.2019년 12월 중국 우한시에서 발생한 신규 코로나바이러스가 안정되면서 5G 가입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경제가 정상화되기 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china mobile▲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 홈페이지
-
2020-04-27가입자 기준 세계 최대 이동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에 따르면 2020년 1분기 5G 가입자수가 2917만 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2019년말 255만 명에서 3월말 기준 5G 총가입자수는 3172만 명을 기록했다. 2020년 말까지 약 7000만 명을 목표로 정했다.2019년 말 5G 기지국 5만 개를 구축해 전국 약 50개 도시에서 5G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다음 단계로 전국 28개 지역을 확대하고 5G 기지국 23만2000개 이상을 배치할 예정이다.2020년 말까지 5G 기지국 30만 개를 구축할 계획이다. 중국의 전체 모바일 가입자수는 9억4600만 명으로 약 400만 명 감소했다.또한 2020년 1분기 영업수익은 181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줄어들었다. 동기간 순이익은 23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8% 축소됐다.1분기 차이나모바일의 서비스 매출은 168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 하지만 제품판매액은 124억 위안으로 34.9% 감소했다.▲ China Mobile Homepage▲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 홈페이지
-
중국 정보통신기술원(China Academ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CAICT)에 따르면 2025년 5G네트워크 및 관련 투자액이 3조5000억 위안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2025년까지 5G 네트워크 건설에 필요한 직접 투자액은 1조2000억 위안, 약 30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산업용 인터넷, 운송, 에너지, 농업 등 5G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비용은 5000억 위안에 이를 전망이다. 또한 중국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은 2020년 국내 모든 도시에 5G 기반 기지국 약 30만 개를 건설할 예정이다.▲ CAICT Homepage▲ 정보통신기술원(China Academ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CAICT) 홈페이지
-
영국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2020년 중국의 3대 통신회사가 전국에 약 100만 개의 5G 기지국을 설치할 것으로 전망된다.이들 통신사들은 2019년 말까지 50개 도시에서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약 10만 개의 기지국을 설치할 예정이다.중국 3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 차이나텔레콤(China Telecom), 차이나유니콤(China Unicom)은 2019년 11월 초 5G 상용서비스를 시작했다. 글로벌모바일공급업자협회(Global Mobile Suppliers’ Association)에 따르면 50개사가 27개국에서 3GPP를 준수한 5G 상용서비스를 시작했다.109개국 328개 업체가 5G에 투자하고 있다. 참고로 3GPP는 3G 이후 이동 통신시스템 사양 표준화프로젝트를 말한다.2019년 5G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이미 대세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5G 장치 생태계(ecosystem) 개발은 급격히 빨라지고 있다. 5G는 지능적인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스마트폰의 기본 기능은 5G와 사물인터넷(IoT) 생태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편리하게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IHS MARKIT▲ IHS마킷 홈페이지
-
중국 통신대기업 차이나모바일(中国移动, China Mobile)에 따르면 2020년 공식적인 5G 상용화 목표를 달성하기위해 제 1기 100억 위안 규모의 기금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5G 분야를 적극적으로 견인하기 위해 5G의 대규모 시험 네트워크 구축 등 네트워크 환경을 촉진해 나갈 방침이다. 5G 네트워크 실증시험을 추진하기 위해 2.6GHz, 4.9GHz 주파수 대역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같은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는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5G 네트워크 환경을 빠른 시일 내 조성한다는 전략이다.또한 2019년 상반기 5G용 스마트폰, 차이나모바일 최초 오리지널 브랜드 단말기 제품 개발 및 판매를 위해 협력업체의 5G 기술 개발, 단말기 제품 상용화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china mobile▲차이나모바일(中国移动, China Mobile) 홍보영상(출처: 홈페이지)
-
중국 공유 컴퓨팅 및 블록체인 기술혁신기업인 쉰레이(Xunlei Ltd)에 따르면 차이나모바일아이오티(China Mobile IoT)와 공동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사물인터넷(IoT) 산업 솔루션을 개발했다.차이나모바일아이오티는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의 자회사이다. 네트워크 운영, 사물인터넷 칩설계, 스마트 홈애플리케이션 및 웨어러블 제작, 사물인터넷 플랫폼 개발 및 운영에 중점을 두고 있다. 'Cloud-Pipeline-Device'라는 포괄적인 아키텍처를 구축하고 있다. 차이나모바일아이오티는 5억회 이상의 연결을 통해 사물인터넷을 위한 세계 최대의 핵심 네트워크 중 하나를 구축한 것으로 평가된다. 블록체인 및 사물인터넷 기능을 제공해 고객경험을 최적화하고 기술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쉰레이는 블록체인 기술 및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의 혁신적인 리더로 평가된다. 공유 컴퓨팅 및 블록체인에 대한 투자를 계속 확대할 방침이다.쉰레이는 블록체인을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양사는 블록체인 및사물인터넷기술의 혁신적인 응용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에 투자할 예정이다.참고로 최신 산업동향에 대한 시장정보를 공유하고 교통지원을 제공하며 제품운영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이 인간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hina-Xunlei-blockchain▲ 쉰레이의 블록체인 3.0 솔루션 홍보 자료(출처 : 홈페이지)
-
중국 통신대기업 차이나모바일(中国移动, China Mobile)에 따르면 2018년 1월말 기준 모바일 가입자수는 8억9104만3000명으로 집계됐다.2017년 12월 8억8720만명 대비 약 384만3000명 증가했다. 2018년 1월 기준 4G 가입자수는 6억5474만9000명으로 2017년 12월 6억4950만7000명 대비 524만2000명 늘어났다.또한 2018년 1월 기준 유선인터넷 가입자수는 1억1676만3000명으로 2017년 12월 1억1268만7000명 대비 약 407만6000명 증가했다.▲ China_China Mobile_Logo▲차이나모바일(中国移动, China Mobile) 로고
-
[중국] 차이나모바일, 2017년 ‘협대역(NB) IoT’ 상용화를 목표로 투자 확대할 계획...정부의 스마트제조 가속화 및 농업현대화 촉진 등 정책에 부합해 민생 서비스영역 개발 및 변화 가속화할 방침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