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설비 구축"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10▲ KT&G CI [출처=KT&G]KT&G(사장 방경만)에 따르면 2025년 11월5일(수) ‘2025 대한민국 솔라리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2025년 7회차를 맞이한 ‘대한민국 솔라리그’는 지자체·공공기관·민간 부문이 함께 참여하는 국내 유일의 태양광 보급 성과 경연 프로그램이다.KT&G는 그동안 노력해온 태양광 발전 등 재생에너지 확대·보급 성과를 인정받았다. KT&G는 환경부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지정한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 대상기업으로 정부의 탄소중립 목표에 기여하고 있다.‘KT&G Green Impact’라는 환경경영 비전 및 전략 체계를 중심으로 온실가스 저감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특히 지금까지 전국 총 14곳에 달하는 공장·건물에 10.9메가와트피크(Megawatt peak, MWp)급 태양광 발전 설비를 구축하고 지역 태양광 발전 사업자와 재생전력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2045년까지 그룹 넷제로(Net Zero) 달성을 목표로 단계적 계획을 꾸준히 이행하고 있다.한편 KT&G는 ‘대한민국 솔라리그’ 이외에도 환경경영 성과를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2024년 11월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하는 ‘2024 한국에너지대상 시상식’에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2025년 4월에는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한국위원회가 주관하는 ‘기후변화 대응 및 물 경영 우수기업 시상식’에서 3년 연속 수상을 달성하기도 했다.KT&G 관계자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발맞춘 기후변화 대응과 체계적인 태양광 발전 보급 성과 등이 조명받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기후변화 관련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적극 동참하고 그룹 차원의 재생에너지 확
-
2025-05-08▲ LG에너지솔루션, 얼티엄셀즈 3기 최종 인수 [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GM과의 3번째 합작공장 ‘얼티엄셀즈 3기(Ultium Cells LLC 3)’의 인수를 최종 완료했다.미국 미시간주 랜싱에 위치한 얼티엄셀즈 3기의 건물 등 자산 일체의 소유권 이전을 완료했다. 이에 따라 랜싱 공장은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내 ‘세 번째 단독 공장’으로 전환됐다.랜싱 공장은 총 부지 면적 약 95만제곱미터(㎡)로 2022년 착공 이후 2025년 5월 현재 98퍼센트(%) 이상 건설이 완료돼 현재 장비 반입을 진행 중이다.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인수를 통해 투자 효율성을 한층 확대하게 됐다. 북미 지역 기존 수주 물량 대응을 위해 생산 시설 신·증설이 필수적인 상황에서 구축이 완료된 공장을 활용함으로써 신규 설비 투자 부담을 완화하고 생산 시기도 앞당길 수 있는 것이다.특히 최근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북미 지역 인프라 비용이 급증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투자 효율화 전략은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기대된다.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4월 열린 1분기 실적 설명회에서 유례없이 높은 시장 변동성과 불확실성 속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밝혔다.기존 생산 시설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얼티엄셀즈 3기를 인수해 기존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 증설하기로 한 전기자동차(EV) 수요에 대응하고자 한다.이번 인수는 미국 현지 생산 체계 구축을 가속해 현지 공급 역량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다.최근 미국 정부가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고 국가별 차등적용 되는 상호 관세도 협의하는 등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지 생산 역량이 ‘절대적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인수를 통해 미국 미시간 홀랜드 및 랜싱 공장과 애리조나 원통형 공장
-
2025-04-08▲ 태양광 발전 설비가 설치된 현대로템 창원공장 품질안전센터[출처=현대로템]현대로템(대표이사 사장 이용배)에 따르면 경남 창원공장 품질안전센터 건물 옥상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구축해 재생에너지 자체 생산을 시작했다.국내 핵심 생산 거점인 창원공장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도입하며 전 사업장 100퍼센트(%)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이번에 구축된 태양광 발전 설비는 현대로템 사업장 내 처음으로 도입된 재생에너지원으로 연간 약 115메가와트시(MWh)의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42킬로와트시(kWh) 배터리 용량을 지닌 소형 전기차를 2700회 이상 완충할 수 있는 규모다.창원공장에서 생산된 재생에너지는 기존에 공장에서 사용되던 전력의 일부를 대체한다. 화석에너지 기반 전력 사용량을 줄여 탄소 배출 저감 효과가 기대된다.현대로템은 이번 태양광 발전 설비 구축을 시작으로 국내외 사업장에 재생에너지 도입을 확대할 계획이다. 당장 연내 창원공장을 비롯해 미국 철도 전장품 생산공장인 ‘현대로템 스마트 일렉트릭 아메리카’(Hyundai Rotem Smart Electric America, HRSEA)에도 태양광 발전 설비를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나아가 현대로템은 재생에너지 관련 시장과 정책, 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재생에너지 도입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40년까지 전 사업장을 대상으로 100% 재생에너지 전환을 달성할 계획이다.2023년 현대로템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와 로드맵을 발표하고 지속가능 경영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2024년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2024년 상장기업 ESG 평가 및 등급 공표 결과’에서는 방산 체계 기업 중 유일하게 통합 A+(매우 우수) 등급을 획득하는 등 관련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현대로템은 "이번 태양광 발전 설비 구축은 재생에너지 사용에 앞장서고 탄소중립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시작점이다"며 "태양광을 비롯한
-
▲ 싱가포르 정부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싱가포르 수자원공사(PUB)에 따르면 2017년 6~7월 국내 아파트에 '물 절약형' 화장실 설비가 구축될 계획이다. 3룸 형태의 공공임대주택(HDB) 중 5700세대가 선정돼 해당 설비가 설치될 예정이다.절약형 설비는 실시간 물 사용량이 집계되는 스마트 샤워부스와 4리터용 변기가 대표적이다. 해당 설비를 통해 1가구당 물 소비량이 10리터 줄어 들고 수도요금도 10% 절약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이번 물 절약 프로젝트는 1단계로서 주로 9리터용 변기를 4리터용 변기로 대체하는 작업이 전개될 예정이다. 9리터용 변기가 설치됐던 1986~1992년에 건축된 HDB 아파트가 주요 대상이다.수자원공사는 2030년까지 국민 1인당 1일 물 소비량을 140리터까지 감축시키는 것이 목표다. 참고로 지난 2016년 국민 1인당 1일 물 소비량은 평균 148리터로 2015년에 비해 소폭 감소됐다.
-
2017-03-27필리핀 음료회사 CCFP(Coca-Cola Femsa Philippines)에 따르면 국내에서 설탕구매를 늘릴 계획이다. 국내 사탕수수 재배농민들을 돕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또한 국내에서 사탕수수로부터 설탕을 제조할 수 있도록 관련 설비를 구축할 방침이다. 국내에서 설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정부로부터 관련 시설인증을 받아야 한다.
-
프랑스 에너지업체 토탈(Total S.A.)에 따르면 2017년 이란의 액화천연가스(LNG) 설비를 인수 및 구축할 계획이다. 이란의 대규모 가스전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현재까지 당사의 LNG설비 투자총액은 약 US$ 23억 달러이며 저장탱크 2대, 발전소 1기, 부두 등 공정률은 약 50%다. 향후 공장이 가동될 경우 총비용은 1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해당 업체는 천연가스 공급망을 갖추기 위해 올해 여름 South Pars 유전지대에 US$ 20억 달러를 투자해 개발할 계획이다. 공장에 원료조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다.이란 정부 역시 다양한 석유가스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중 LNG 설비에 대한 개보수 사업도 포함돼 있다. 문제는 국가의 재정난으로 인해 자체적인 사업 전개가 어렵다는 점이다.당사는 이러한 이란의 상황을 통해 잠재가능성이 큰 South Pars가스전을 확보하고 물류 접근성이 높은 지역에 LNG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그만큼 투자회수율이 높다고 판단한 것이다.해당 가스전은 세계 최대 유전지대 중 하나로 카타르와 공유되고 있다. 카타르의 경우 12개의 대형 LNG 공장을 구축하고 생산된 LNG를 선박을 통해 글로벌 국가로 수출하고 있다.이란은 거대 LNG 수출국인 카타르처럼 체계적인 인프라를 구축해 해외 수출로를 다수 개척하는 것이 목표다. 당사는 이러한 이란의 목적을 달성해 줄 주요 글로벌 업체 중 하나인 셈이다.참고로 해당 유전지대를 관리하고 있는 Pars Oil and Gas Company에 따르면 이란 영역에서 매장돼 있는 천연가스 규모는 14조 큐빅미터를 초과할 것으로 추정된다.▲페르시아만에 위치한 유전지대 중 빗금친 부분이 이란의 영역인 South Pars지역
-
2016-07-15인도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9월 22일까지 14개 철광산에 대한 경매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경매절차를 진행하지 못한 것은 인지세 문제 때문이다.정부는 광산을 매각해 철광석의 생산을 늘리고 고용기회도 창출할 계획이다. 또한 불법채광을 막기 위해 전자감시시설과 같은 설비를 구축할 예정이다.
-
필리핀 통신회사인 Smart Communications은 와이파이(Wi-Fi) 서비스를 위한 설비구축에 10억 페소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금액은 2016년 투자목표액인 430억 페소에 포함된다.
-
▲ 싱가포르 정부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싱가포르 정부에 따르면 2016년 페수처리 및 폐기물처리 등 2개 환경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각각투아스물재생공장(TWRP), 통합폐기물처리시설(IWMF)로 설치될 예정이며 2027년이면 국내 폐기물의 약 40%를 처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
말레이시아 항공화물업체 MASkargo에 따르면 2016년 6월 ‘클라우드’에 기반한 물류관리시스템(LMS)의 체계화를 통해 항공화물 시스템을 향상시키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자동화된 창고시스템과 통합이 가능한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1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