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내부고발과 경영혁신] 48.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리크게이트 사건 사례연구... 최고권력자의 사익 추구로 국가안보 붕괴 위험 초래
이라크 전쟁의 명분이 거짓으로 드러나며 충격... 익명의 제보자 뒤에 숨는 언론 관행 타파해야
민진규 대기자
2025-05-27
2008년 제작된 영화 '거짓 혹은 진실(Nothing But the Truth)'은 미국 대통령의 암살미수 사건을 다뤘다. 배후로 의심을 받는 베네수엘라에 대해 보복을 가하는 과정에서 묻힌 진실과 이를 밝히려는 언론사 기자에 대한 내용이다.

대통령을 포함한 권력자가 반대파를 제거하기 위해 국가비밀을 언론사 기자에서 제공하고 기자는 언론의 자유를 주장하면 취재원을 보호라는 상황이 벌어졌다.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딥 스토트(Deep throat)라는 용어가 생겼으며 닉슨 대통령이 하야한 사건의 데바뷰다.

2003년 발생한 이른바 리크게이트(leak gate)로 도덕성에 타격을 입은 부시 대통령은 재선에 실패했다. 이라크 전쟁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회복하려고 시도했지만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중앙정보국(CIA)가 관련된 내부고발 사건의 내역을 살펴보자.


▲ 미국 중앙정보(CIA) 비밀요원의 신분을 공개한 내부고발 진행 내역 [출처=국가정보전략연구소(iNIS)

◇ 이라크 전쟁의 명분이 거짓으로 드러나며 충격... 취재원 보호와 국가안보 논란으로 정치 혼란 가중

닉 체니 부통령은 2002년 조셉 윌슨(Joseph C. Wilson)에게 아프리카 니제르를 방문해 이라크가 핵무기 원료인 정제 우라윰을 구입했는지를 확인하고 요청했다.

윌슨은 '이라크는 대량살상무기를 만들 원료를 구입하지 않았으며 능력도 없다'는 내용의 정보보고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2003년 1월 연두교서에서 이라크가 니제르에서 우라늄을 구입했다고 주장했다. 이후 3개월 후 미국은 유엔(UN)의 결의도 거치지 않고 이라크를 침공했다.

2003년 윌슨이 부시 대통령이 이라크 전쟁을 정당화하기 위해 대량살상무기 개발 관련 정보를 조작했다고 밝히면서 점화됐다. 윌슨은 '뉴욕타임즈'에 관련 글을 기고했다.

정치권과 언론 모두 관련 내용에 관심을 지면서 부시 행정부는 곤혹스러워했다. 이때 내부고발자인 윌슨에 대한 개인 정보가 유력 언론에 보도됐다.

2003년 7월 보수 성향 월간지인 위클리 스탠더드의 편집장인 로버트 노박(Robert Novak)이 조셉 월슨 전 이라크 대사의 부인인 발레리 플레임(Valerie Plame)이 CIA의 비밀요원이라고 칼럼을 '시카고선타임즈'에 폭로했다.

이어서 '뉴욕타임즈'의 주디스 밀러(Judith Miller) 기자도 같은 내용의 기사를 송고했다. 뉴욕타임즈는 부시 행정부의 정책에 비판적이었다.

주디스 밀러는 딕 체니(Dick Cheney) 부통령과 부시 대통령의 최측근인 칼 로브(Karl Rove)로부터 CIA 비밀요원에 관한 정보를 입수했다.

이후 밀러는 체니 부통령의 비서실장인 루이스 리비(Lewis Libby)와 노박에게 전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부시 행정부 핵심 인사들은 윌슨을 공격하기 위해 CIA 비밀요원의 신분을 공개한 것이다.

리비는 2004년 3월 자신이 플레임의 신원을 고의로 언론에 흘렸다고 인정했다. 2005년 5월 재판에서 2년 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노박은 검찰에 정보 제공자의 이름을 공개하는 조건으로 기소를 면제받았다.

검찰은 주간지인 타임의 매트 쿠퍼와 뉴욕타임즈의 주디스 밀러에게 취재원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쿠퍼는 취재원의 정보를 공개했지만 밀러는 취재원 보호를 주장하며 거부했다.

밀러는 85일 동안 구금생활을 하다가 석방된 후 결국 뉴욕타임즈에서 퇴직했다. 구속된 초기에는 언룐계로부터 지지를 받았지만 권력자와 부정거래를 한 것이 드러나며 몰락했다.

◇ 최고권력자의 사익 추구로 국가안보 붕괴 위험 초래... 익명의 제보자 뒤에 숨는 언론 관행 타파해야

리크게이트(Leak Gate)는 공직자나 기업인 등의 민감한 정보나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유출시키는 행위를 가리키는 용어로 부정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CIA 비밀요원의 정보를 공개한 사건에서 언론의 자유가 중요한지 혹은 국가안보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지 등의 논란이 초래됐다. CAI의 내부고발의 쟁점과 판단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통령과 부통령 등이 내부고발자를 폄하하기 위해 CIA 비밀요원의 신분을 노출시캬 안보를 위태롭게 하는 행위는 용납하기 어렵다. 관련 정보를 누설하면 징역 10년 이상의 처벌을 받을 수 있는 중범죄 행위다.

이 사건에서 체니 부통령은 부시 대통령의 측근인 로브를 보호하기 위해 리비에게 혐의를 전가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정권의 핵심 인사 대신에 희생양이 필요했다.

리비가 유죄판결을 받아 형량을 낮췄다가 여론의 비판을 받았다. 부시 대통령이 재선에 실패한 것도 국가안보를 정권 유지에 악용했기 때문이다.

둘째, 특종에 목말라 있는 언론사가 취재원을 어디까지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됐다. 뉴욕타임즈의 밀러 기자는 취재원을 보호한다며 공개를 거부했다.

정부가 언론사를 탄압하고 국민의 알권리는 방해한다는 논리를 펼쳤지만 추악한 진실이 밝혀지며 정당성을 잃었다. 이후 언론사도 익명의 취재원을 들먹이기 보다는 취재원을 공개할 수 있는 기사를 우선하고 있다.

미국 언론계는 워터게이트 사건과 베트남전쟁 비밀문서 공개 이후 취재원 보호를 중요하게 여겼다. 하지만 권력자의 사적인 이익을 보호하는 거래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셋째, 국가안보와 국민의 알권리 사이에서 균형을 어떻게 맞출 것인지도 숙제다. 국가안보를 우선하는 보수주의자들은 윌슨이 언론에 이라크 관련 보고서 내용을 공개한 것이 잘못됐다는 입장이다.

미국 정부는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를 파괴하기 위한 목적에서 전쟁을 지작했지만 중동 지역에서 패권을 강화하려는 목적도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국민의 알권리는 강조하는 진보주의자들은 부시 대통령이 자신의 재선과 네오콘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국가안보를 악용했다고 비판한다. 이 사건으로 네오콘이 몰락했으므로 진보주의 진영의 주장이 지지를 얻었다고 봐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법적 처벌을 받은 리비는 부시 대통령이 CIA 관련 정보를 언론에 공개해도 좋다고 승인했다는 비밀을 폭로했다. 이 말이 사실이라면 부시 대통령과 체니 부통령의 최종적으로 책임져야 한다.

특별검사는 이른바 '피라미만 잡고 대어는 놓쳤다'는 비판을 받았다. 내부고발자인 윌슨과 부인인 플레임은 체니 부통령을 고소했지만 기각당했다.

세게 최고로 자유민주주의 정신을 실천한다는 미국에서조차 대통령은 치외법권의 권력을 가진 것으로 드러난 셈이다. 대통령의 정책이 아니라 실정법 위반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도 수그러들지 않았다.

- 계속 -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산업 ·건설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