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semiconductor"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미국 전자부품 공급업체인 엔티이일렉트로닉스(NTE Electronics)에 따르면 품질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국제 표준 ISO 9001:2015 인증을 획득했다.특히 전자/전기의 조달, 창고 보관, 조립/유통 구성 요소 및 관련 장비에 대한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평가된다. 인증은 글로벌 검사, 테스트 및 인증 기관인 SGS North America에 의해 독립적으로 평가됐다.이를 위해 회사의 모든 프로세스가 문서화됐으며, 내부 감사를 통해 프로세스가 예측 가능하고 일관성이 있는지 확인됐다.해당 프로세스에는 품질경영시스템 개발, 관리 시스템 문서 검토, 사전 감사, 초기 평가 및 부적합 사항의 제거 등이 포함된다. 참고로 ISO 9001:2015는 품질 경영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은 아래와 같다.1)고객 및 적용 가능한 법적 및 규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2)시스템 개선을 위한 프로세스와 고객 및 적용 가능한 법적 및 규제 요구사항에 대한 적합성 보장3)시스템의 효과적인 적용을 통해 고객 만족을 향상시키는 목표4)조직의 유형이나 규모, 조직이 제공하는 제품 및 서비스에 관계없이 모든 조직에 적용 가능성▲ 엔티이일렉트로닉스(NTE Electronic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노르웨이 펩리스 반도체 기업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에 따르면 핀란드 노키아와 IoT(사물인터넷) 표준 필수 특허 라이선스 간소화 계획을 체결했다.이번 계약으로 노르딕의 IoT 하드웨어를 구매하는 기업은 노키아(Nokia)의 셀룰러 특허 포트폴리오에 대한 라이선스를 취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라이선스는 최종 장비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다. 회사는 계속해서 노키아와 직접적으로 라이선스 옵션을 갖게 됐다. 노키아의 거의 모든 셀룰러 장치와 LTE-M, NB-IoT 기술에 사용되는 많은 기본 발명을 정의하고 개방형 표준에 개발에 기여했다.최초의 새로운 계약은 SEP(Standard Essential Patent) 라이선스 프로세스를 간소화 및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IoT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게 더 큰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설계 프로세스 초기에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추가해 지난 3~4년 동안 노르딕 셀룰러 IoT 고객이 추구해 온 명확성과 확실성을 높였다.노키아와의 협업으로 설계 프로세스 초기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더해진 셈이다. 참고로 노르딕(Nordic Semiconductor ASA)은 IoT용 초전력 무선 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 반도체 기업이다.▲ Nordic▲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 홈페이지
-
일본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인 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인 덴소(デンソー)와 함께 미래 기술을 위한 반도체 벤처를 설립했다.자율주행 자동차와 전기자동차에 사용될 차세대 반도체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 2020년 4월 ¥5000만엔의 자본금으로 미리세테크놀로지(Mirise Technologies)라는 이름의 합작회사로 설립된다.덴소(デンソー)가 51%의 지분을 보유하고 도요타자동차는 나머지 지분을 확보하게된다. 차량용 반도체의 연구개발과 고급 개발을 수행할 방침이다.이를 위해 이 회사는 아이치현(愛知県) 중앙에 약 500명의 직원을 고용할 예정이다. 특히 반도체 엔지니어를 모집하면서 대학, 연구소 및 신생 기업과의 협력을 모색할 계획이다.히타치(日立)와 혼다자동차(ホンダ自動車)는 4개의 자동차 부품공급업체를 통합한 새로운 회사에서 자율주행 및 전기자동차의 출현에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또한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와 미쯔비시자동차(三菱自動車)는 인공지능 연구에 중점을 두고 차세대 차량을 위한 첨단 기술을 공동개발할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이와같이 미래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자동차회사들의 합종연횡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일본과 독일계 자동차회사들이 미래자동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Japan-Toyota-MiriseTechnology-autonomouscar▲ 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12-14일본 글로벌 정밀화학기업인 후지필름(Fujifilm Corp.)에 따르면 미국 내 생산거점에 향후 3년간 총 ¥100억엔을 투자할 계획이다. 반도체 재료의 개발, 생산 및 판매를 위한 공급시스템 강화가 목적이다.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및 5G 네트워크와 같은 기술의 보급으로 인해 반도체에 대한 수요증가가 예측되고 있기 때문이다.이를 위해 후지필름은 개발, 제조 및 품질 보증을 위해 아리조나(Arizona)와 로드 아일랜드(Rhode Island)에 위치해 있는 시설을 강화할 방침이다.특히 후지필름은 애리조나에 위치한 공장에 최첨단 검사기계로 새 건물을 건설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반도체 웨이퍼와 고순도 솔벤트를 연마하기 위한 화학물질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SA-Fujifilm-semiconductor material▲ 후지필름의 반도체 재료(출처 : 홈페이지)
-
미국 MIT대(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에 따르면 그래핀 시트를 이용해 초박막 갈륨 비소 및 질화 갈륨 칩을 저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또한 이 기술을 활용하면 소형 포토닉스 디바이스와 같은 2차원 전자 부품 제조에 필요한 단일층 재료를 획득할 수 있다.대학 연구팀은 실리콘과 같은 단일 원자결정은 실크 스크린 기술에 의해 복제될 수 없지만 실질적으로 분자가 그물 전기극성을 지니고 있는 2차원 시트 또는 필름은 원격 에피 택시를 통해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크 스크린 기술은 원격 에피 택시라고 부른다.주기율표의 다양한 종류의 복합 재료에 대해 그래핀을 복사해 붙여 넣을 수 있고 단결정의 독립 구조로된 매우 얇은 막 화합물 재료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연구팀은 원격 에피 택시와 함께 작동하지 않는 다른 여러가지 이유 때문에 다른 초박막도 여전히 다른 방법으로 복사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연구팀은 2차원 재료를 통해 기판 위에 단결정 화합물 반도체를 성장시키는 방법을 고안했다. 화합물 반도체 박막은 플렉시블 기판에 의해 박리되어 박막 간섭으로 인해 무지개 빛의 색을 나타낸다.원자 수준의 정밀도로 웨이퍼 크기의 2차원 재료를 처리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것으로 평가된다. 웨이퍼 위에 두꺼운 2차원 재료를 성장시킬 수 있다.또한 원격 에피 택시와 제어된 균열 전파 사이에서 더욱 유연하고 효율적인 전자, 광 및 기타 박막 기반기술을 보다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로 이 연구결과는 'Nature Materials and Science'에도 발표됐다. ▲ US-MIT-Graphine-wafers▲MIT대의 그래핀을 이용한 2차원 웨이퍼(출처 : 홈페이지)
-
시장조사기업 The Market Reports에 따르면 2015년~2022년 글로벌 열 인터페이스 패드 시장은 연간 12.0%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주요 열 인터페이스 패드제조업체를 보면 Semiconductor Packaging Materials, DOW Corning, Henkel AG, Laird Technologies, Parker Hannifin Corp, Honeywell International, The Bergquist Company, Stockwell Elastomerics, Fujipoly, Graftech International Holding, 3M Company 등이 있다.▲Market Reports 홈페이지
-
미국 반도체 칩 제조기업 퀄컴(Qualcomm)에 따르면 중국 구이저우성의 합작기업 Huaxintong Semiconductor Technology 기업이 ARM기반 서버용 고성능 칩 개발을 시작했다.퀄컴의 기술과 디자인을 바탕으로 중국 사용자 서버용 CPU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퀄컴은 특허에서 줄어들고 있는 매출비중을 중국시장에서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있다.따라서 중국에 진출하고 있는 AMD, IBM, 중국 기업 등과 고성능 반도체 칩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
2016-10-05한국계 반도체회사 피닉스세미컨덕터(Phoenix semiconductor philippines corp)는 필리핀 루손지방 팜팡가주 클라크특별경제구역에 있는 자사의 공장을 확장하기로 결정했다.현재 제조공장과 인접한 부지에 4만 제곱미터 규모의 제 2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 회사의 2016년 상반기 수출액은 약 US$ 3억2500만 달러다.▲피닉스세미컨덕터(Phoenix semiconductor philippines corp) 홈페이지
-
대만의 반도체 웨이퍼 대기업 글로벌웨이퍼즈(GlobalWafers Co. Ltd.)사에 따르면 미국 동종업계 선에디슨 세미컨덕터(SunEdison Semiconductor, SEMI)를 총 $US 6억8300만달러에 인수하기로 양사가 합의했다. 2016년내 인수를 완료할 계획이다.글로벌웨이퍼즈사는 글로벌 4위의 SEMI사 인수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 및 고객, 제품라인업, 원천기술의 특허 등의 증가와 같은 시너지 창출 뿐 아니라 글로벌 6위에서 3위를 차지하게 됐다.▲ Taiwan_GlobalWafers_Homepage▲글로벌웨이퍼즈(GlobalWafers Co. Ltd.) 홈페이지▲ US_SunEdison Semiconductor_Homepage▲선에디슨 세미컨덕터(SunEdison Semiconductor, SEMI)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