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human face"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0-22▲ LS일렉트릭,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 세계 최대 규모 조선·해양 기자재 전시회 ‘국제 조선 및 해양 산업전(KOMARINE 2025, 이하 코마린)’에 참가(LS일렉트릭의 코마린 2025 부스 조감도) [출처=LS일렉트릭]LS ELECTRIC(LS일렉트릭, 구자균 회장, 사장 김종우)에 따르면 2025년 10월21일(화)부터 24일(금)까지 부산광역시 벡스코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조선·해양 기자재 전시회 ‘국제 조선 및 해양 산업전(KOMARINE 2025, 이하 코마린)’에 참가한다.선박 자동화와 전력 변환 관련 차세대 솔루션 풀 라인 업을 통해 해양·선박 분야 스마트 자동화 기술력을 선보인다. ‘We play big! Moving on to the ocean!(더 큰 세상으로! 바다로!)’라는 슬로건 아래 총 8부스(72평방미터(㎡)) 규모로 참가한다.‘LS 선박 솔루션(LS Vessel Solution)’을 주제로 △선박 자동화 솔루션(PLC, HMI, AC Drive) △사이버 보안(Cyber Security) 솔루션 △모듈러 드라이브(Modular Drive) 프로토타입을 집중 소개한다.우선 9대 선급 인증을 획득한 선박용 자동화 솔루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HMI(Human Machine Interface), AC Drive를 소개한다.9대 선급 인증은 국제 선급 연합회(IACS) 소속 ABS(미국), BV(프랑스), CCS(중국), DNV(노르웨이/독일), KR(한국), LR(영국), NK(일본), RINA(이탈리아), RS(러시아) 등 9개 선급의 인증을 모두 획득한 것으로 선박 관련 기자재가 국제적인 안전 및 품질 기준을 충족했다는 의미다.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램 제어 장치)는 공장 자동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두뇌’ 역할을 하는
 - 
	    
		2019-10-17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대에 따르면 온도 변화에 반응해 평평한 층에서 복잡한 모양으로 변형할 수있는 3D 프린팅 메쉬(격자)형 구조를 설계했다.연구결과는 미국 과학원 논문집(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3D 이미지의 얼굴로 시작하여 얼굴 모양에 맞게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플랫한 표면의 거리 맵을 만들었다.사람의 얼굴 모양으로 변하는 격자를 만들기 위한 목적이다. 온도 증가에 노출되면 자연적으로 팽창하는 일반적인 고무 소재로 격자를 프린팅했다.형성된 격자는 물리적으로 더 견고하고 온도 변화에 더 강한 유리 섬유를 사용해 하나의 용액을 주입하므로써 재료의 온도 응답성이 조정될 수 있다. 연구원들은 250도 섭씨 오븐에서 격자를 꺼내서 바닷물 욕조에 넣고, 실온으로 냉각시켜 인간의 얼굴 모양으로 변형시켰다. 공진 주파수가 변화함에 따라 이 격자는 능동 안테나를 형성하는 돔 형태로 굴곡됐다.개발된 기술은 자동으로 펴지고 팽창하는 텐트나 덮개와 같은 배치 가능한 구조물을 설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예를들면 망원경의 인공 조직 또는 변형 가능한 렌즈를 위한 스캐 폴드로도 사용될 수 있다.▲ USA-MIT-3Dprint▲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대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10-11영국 요크대(University of York)에 따르면 보통 평범한 인간은 5000명 정도의 다른 사람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 학교 친구, 직장 동료 등을 모두 포함한 숫자이다.사람들은 일반적으로 1000명에서 1만명까지 만나거나 기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부분 5000명을 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사람들이 친숙하게 느끼는 얼굴과 그렇지 않은 얼굴의 차이는 매우 큰 편이다. 사람들은 실제 얼굴과 사진을 구분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하지만 여전히 다양한 상황 속에서 친구와 동료는 잘 확인할 수 있다.과학자들은 자발적인 실험 참여자에게 자신들이 개인적인 생활속에서 만난 사람의 얼굴을 기억하도록 1시간의 생각할 시간을 할당해줬다.다음에는 배우, 음악가, 스포츠 스타, 정치인 등 유명한 사람들의 사진으로 보여주고 기억하도록 요구했다. 이후에 참여자들이 기억하는 사람들의 얼굴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해 파악한 결과이다.▲요크대(University of York) 전경(출처 : 홈페이지)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