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UL 인증"으로 검색하여,
1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03▲ LS ELECTRIC의 UL인증 데이터센터향 배전반 제품 [출처=LS일렉트릭]LS ELECTRIC(일렉트릭, 구자균 회장, 사장 김종우)에 따르면 최근 미국 하이퍼스케일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에 US$ 4600만 달러(약 641억 원) 규모의 배전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이번 사업은 글로벌 메이저 빅테크 기업의 AI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을 위한 프로젝트로 LS일렉트릭은 마이크로그리드 내 가스 발전 설비에 대한 배전 솔루션을 맡는다. 사업 기간은 2026년 2월부터 7월까지로 순차적으로 배전반 패키지를 공급한다.현재 미국에서는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가 급증하면서 데이터센터의 안정적 전력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전력이 부족한 데다 송전망까지 노후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따라서 신규 구축되는 데이터센터의 경우 기존 전력 계통과 연계하는 방식보다 자체적으로 전기를 만들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산 에너지 기반 마이크로그리드를 선호하고 있다.LS일렉트릭은 대한민국 스마트그리드, 마이크로그리드 분야 대표 기업이다. 분산형 전원에 필요한 직류(DC) 전력기기의 경우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이번 사업을 계기로 데이터센터 마이크로그리드에 최적화된 배전 솔루션을 앞세워 북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이미 10여 년 전 국내 중전 기업 중 유일하게 미국 배전 시장 진출을 위한 필수인증인 UL 인증을 확보한 LS일렉트릭은 LG, 삼성, SK, 현대차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의 미국 현지 설비투자에 수반되는 전력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해 북미 사업을 확장해왔다.최근에는 로컬 유통망을 대상으로도 사업을 확장하는 한편 분산 에너지, 데이터센터, 제조공장 등 현지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시장에 집중해 지난해부터 메이저 빅테크 기업에 배전 전력기기를 공급하고 있다.2024년 북미 매출은 1조3000억 원 수준으로 이 가운데 70퍼센트(%) 이상은 차단기,
-
▲ 국제 인증기관 UL로부터 국내 최초로 형식 인증을 취득한 두산에너빌리티 10MW 해상풍력발전기 [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자사가 개발한 10메가와트(MW) 해상풍력발전기(모델명 DS205-10MW)가 국제 인증기관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형식 인증(Type Certification)을 취득했다.국내 기업이 10MW급 해상풍력 모델에 대해 국제 인증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인증을 취득한 10MW 모델은 두산에너빌리티가 2022년 개발한 8MW 모델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2025년 2월부터 전라남도 영광에서 실증을 시작해 4월 현장 실증시험 마무리 후 설계 및 시험 데이터 검증을 거쳐 국제 인증을 취득했다.이 모델은 블레이드 회전 직경 205미터, 전체 높이는 아파트 약 80층에 해당하는 230미터에 이른다. 6.5미터(m/s)의 저풍속 환경에서도 이용률 30퍼센트(%) 이상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이용률은 1년 동안 풍력발전기가 실제로 생산한 전력량을 정격 용량으로 생산 가능한 전력량으로 나눈 비율을 뜻한다.2005년 해상풍력 사업을 시작한 두산에너빌리티는 2017년 제주 탐라(30MW), 2019년 전북 서남해(60MW), 2025년 제주 한림(100MW) 프로젝트에 해상풍력발전기를 공급하며 국내 해상풍력 최다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그 과정에서 사업 초기 약 30% 수준에 머물렀던 부품 국산화율을 현재 약 70% 이상으로 끌어올리며 국내 해상풍력 생태계 조성에 기여해왔다.정부는 2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풍력발전 설비용량을 2038년까지 40.7기가와트(GW)로 확대하는 목표를 제시했다.현재 국내 풍력발전 누적 설비 용량은 2.3GW에 불과해 빠른 확대가 전망된다. 정부는 '해상풍력 특별법',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전환 가속화',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 등의 정책을 통해 국내 해상풍력 보급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
-
2024-09-02▲ 삼성전자가 포스코와 공동 개발해 재활용 소재 함유율을 높인 법랑용 강판이 제품 내부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법랑용 강판 비스포크 큐커 오븐(35L)[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포스코와 협업을 통해 공동 개발한 재생 소재 함량을 높인 법랑용 강판이 UL 솔루션즈로부터 ECV(Environmental Claims Validations) 인증을 받았다.ECV 인증은 재사용·재활용이 가능한 소재의 사용률이나 유해물질 함유율 등 제품의 환경성 주장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해 부여하는 환경마크다.제조 공정상 재생 소재 함유율에 대한 공정 심사 및 엔지니어 리뷰 등 검증이 필요해 인증 절차가 까다롭다.UL 솔루션즈가 인증한 법랑용 강판은 포스코의 전로(轉爐) 공정에서 재활용 소재를 다량 용해하는 기술을 활용해 삼성전자와 포스코가 공동으로 재생 소재 함유율을 12%까지 높였다. 전로 공정은 고로에서 만들어진 쇳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한다. 법랑용 강판은 유리질 유약을 도포해 고온에서 구워내는 법랑 코팅에 적합한 강판이다.법랑용 강판과 유리질의 장점을 결합해 주로 조리기기 내부 조리실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 소재는 국내에 판매되는 빌트인 오븐· 큐커 오븐·전자레인지 내부에 적용될 예정이다. 단 비스포크 큐커 멀티(22L)제품은 적용 대상이 아니다.삼성전자는 향후 포스코와 협업을 확대해 재생 법랑용 강판 뿐 아니라 2025년부터 냉장고 도어·세탁기 세탁통·식기세척기 내부 등에 재생 소재가 함유된 스테인리스 강판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한편 삼성전자는 이 밖에도 다양한 재활용 소재를 적극 사용해 환경 부담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올해 첫선을 보인 올인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가 있다.커버도어에 플라스틱의 일종인 재활용 수지 에이비에스(ABS&middo
-
2024-08-12▲ LG화학이 개발한 PFAS-Free 난연 PC ABS 소재[출처=LG화학]LG화학(대표이사 신학철)에 따르면 불에 잘 타지 않는 친환경 난연 소재를 개발했다. 난연화 공정을 통해 PFAS 없이도 소재가 열에 더 잘 견디도록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PFAS-Free 난연 PC/ABS 소재를 자체 개발했다.PFAS-Free 난연 PC/ABS 소재는 PC(Polycarbonate)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섞어 내열성과 내충격성을 크게 높인 플라스틱으로 미국 인증 표준 난연성 테스트인 UL94에서 V-0 등급 인증을 받았다.V-0은 업계 최고 수준의 난연 성능 등급으로 소재에 수직으로 불을 붙였을 때 10초 안에 스스로 불이 꺼져야 한다. 따라서 LG화학은 PFAS가 없는 PC/ABS 소재로 V0 등급 난연 성능을 인증받은 것은 최초다.PFAS는 열에 강하고 물과 기름에 녹지 않는 것이 특징으로 주로 조리 기구나 의류 및 화장품 등에 사용된다.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아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PFAS 없는 소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LG화학은 개발한 소재가 PFAS 없이도 열에 더 잘 견디도록 했으며 재활용 플라스틱(PCR, Post-Consumer Recycled material)을 더해 탄소 배출량도 줄였다.소재 구성의 절반 이상을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일반 PC/ABS 소재를 사용할 때보다 탄소 배출량이 46%나 줄어든다. PFAS-Free 난연 소재는 주로 전자기기나 충전기, 인테리어, 건축자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전망이다.LG화학은 PC/ABS 외에도 PC, PBT 등의 소재를 개발해 UL 인증을 받는 등 다양한 PFAS 없는 난연 소재를 개발 중이다.LG화학 엔지니어링소재사업부장 김스티븐 전무는 “PFAS 없는 난연 플라스틱 등 친환경 소재로의 전환은 전 세계적인 흐름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고객의
-
▲ 멀티플라이(Multiply) [출처=홈페이지]영국 솔루션 전문기업 멀티플라이(Multiply)에 따르면 자사 정보보안경영시스템(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MS)에 대한 ISO 27001 인증을 획득했다.엄격한 ISO 27001 국제 인증은 멀티플라이가 민감한 정보뿐 아니라 고객의 정보를 관리하고 보호하려는 노력을 잘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받은 것이다.ISO 인증 획득으로 고객과 직원의 정보를 보호하려는 회사의 노력을 인증받게 됐다.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관행을 통해 신뢰를 획득했다.제3자 인증기관인 LRQA에 의해 광범위한 감사가 진행됐다. 멀티플라이가 자사 ISMS의 구축, 구현, 유지관리,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최고 수준의 표준을 충족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증했다.멀티플라이는 인증을 획득에 필요한 민감한 정보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해 체계적이고 문서화된 접근방식을 입증했다.드라타의 자동화된 플랫폼을 사용해 최고 수준의 내부 보안 제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조직 전반에 걸쳐 실시간 가시성을 확보하고 시스템 종단 간 보안 및 규정 준수 상태를 보장하고 있다.멀티플라이는 재무 서비스에 대한 자동화된 재무 자문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도적인 자산관리 기업이다. 드라타는 기업이 사용자, 고객, 파트너, 잠재 고객의 신뢰를 얻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돕도록 임무를 가진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보안 및 규정 준수 자동화 플랫폼이다.드라타는 사용 기업은 지속적이고 자동화된 제어 모니터링 및 증거 수집으로 SOC 2, ISO 27001, HIPAA 규정 준수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강력한 보안 상태를 유지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연간 감사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
▲ 두바이 문화예술청이 관리하는 알 만쿨(Al Mankhool) 도서관 [출처=홈페이지]두바이 문화예술청(Dubai Culture and Arts Authority, Dubai Culture)에 따르면 다양성 및 포용성 부문에서 ISO 30415:2021 인증을 획득했다. 또한 지속 가능한 고용 가능성 관리 부문에서 ISO 30406:2017 인증을 받았다.문화예술청의 ISO 인증 획득은 달성 지역 및 세계 최초의 정부기관이 되었으며 청 간부 및 인적 자원 관리 역량 강화 부분 최고 수준 국제 표준을 구현하려는 당국의 노력 결과다.이번 인증은 TÜV Rheinland Middle East의 포괄적인 외부 감사를 통해 두바이에서 문화운동을 활성화하고 주도하고 있는 당국의 위치와 노력을 인증받게 됐다.ISO 인증은 전 세계적으로 따르는 모범 사례 및 관리 표준을 적용한 비즈니스 효율성과 결과물의 품질을 높이고 메커니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려는 노력과 부합하고 있다.또한 ISO 인증은 두바이 문화예술청이 전략적 대상, UAE의 국가 아젠다, 다수의 글로벌 관행 및 시스템과 연관된 다양한 프로젝트, 프로그램, 이니셔티브를 관리하는 명확한 방법을 따르는 통합된 내부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 것이다.이것은 직원의 더 나은 미래를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을 구성하기 위해 고안된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통해 따르고 있다.
-
▲ 가테포세(Gattefosse)의 홍보자료[출처=Gattefosse 홈페이지] 프랑스 원료기업 가테포세(Gattefossé)에 따르면 두 가지 개인 관리 성분인 Gatuline RC Bio 및 엘레바스틴(EleVastin)에 대해 ERI 360° 인증 프로세스를 완료했다. 2개 성분 모두 ERI 360° 씰(seal)의 실버 레벨에 도달했다. ERI 360° 라벨은 프랑스 에코 추출협회(France Eco Extraction)에서 100 SMART 특정(Specific), 측정 가능(Measurable), 달성 가능(Achievable , 인식(Recognized) 및 투명(Transparent)) 지표를 기반으로 화장품 성분의 사회적 및 환경적 책임 수준을 측정하도록 정의됐다.이를 통해 전체 가치사슬의 지속 가능성 성과를 정확하게 평가한다. 또한 수확에서 공장 입구까지 관련 성분의 윤리적, 사회적 및 환경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Gatuline® RC BIO는 너도밤나무 새싹에서 자연적으로 추출한 보습 스킨케어 활성제이고 엘레바스틴은 피부 탄력을 강화하는 제품이다.너도밤나무의 손상을 방지하고 자연적인 균형을 위해 아래 가지에서 새싹을 손으로 직접 따낸다. 너도밤나무 새싹은 효소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현장에서 직접 동결되며 씻을 필요가 없다.추출한 천연 활성 성분은 화학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생산 공정을 통해 획득된다. 또한 너도밤나무 새싹은 코스모스(COSMOS) 인증을 받았으며 화장품 국제 표준 ISO 16128에 따라 96.8% 천연 함량을 인정 받는다.엘레바스틴은 천연 LTTM(Low-Transition Temperature Mixture) 계열에 속하는 천연 용매와 부드러운 추출 공정(NaDES)의 혼합물을 사용해 성분을 획득한다.엘레바스틴은 코스모스 승인을 받았으며 표준 ISO 16128에 따라 100% 천연 함량으로 인정 받았한다.
-
▲ PBM(Pakistan Bait-ul-Mal)의 책임자인 Amir Fida Paracha(출처 : 본인 트위터)파키스탄 사회복지기관인 PBM(Pakistan Bait-ul-Mal)에 따르면 2022년 9월 24일 국제표준화기구(ISO)로부터 ISO 9001:2015 인증을 2023년까지 1년간 연장했다고 밝혔다.ISO 9001:2015은 품질경영시스템 관련 표준이다. 따라서 기관이 고객들에게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제표준에 일치하는 경영을 하고 있다는 의미다.PBM은 인증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인증팀과 관리자를 두고 있다. 국제 수준에 걸맞는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하기 위해 경영 변화를 추진했다.조직을 더욱 혁신적이며 활동적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e-거버넌스를 확장했다. e-거버넌스는 IT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정책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축한 플랫폼을 말한다.PBM의 책임자는 Amir Fida Paracha이며 펀잡대에서 법학사를 취득한 변호사이다. 2002년 펀잡주 의회 선거에서 당선됐으며 1969년 파키스탄 펀잡주 라호르에서 태어났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아웃소싱 및 컨설팅 전문 기업인 알디비 컨설팅(RDB Consulting)은 2022년 8월 25일 3년 연속 ISO/IEC 20000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알디비 컨설팅은 2017년 ISO 20000 인증을 최초로 획득했다. 인증을 유지하기 위해 엄격한 SABS 관리 시스템의 감사를 받았다. 감사는 주요 법률 준수, 관리, 서비스 포트폴리오 및 역량, 고객 만족도에 대한 검토 등을 포함한다.또한 ISO/IEC 20000 정보기술-서비스 관리는 효과적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당 표준을 유지하는 조직의 능력과 관련이 있다.따라서 IT 관련 서비스 관리 시스템 인증을 획득해 IT 비지니스 프로세스가 적용된 모범 사례 및 업계 표준에 따른 적절한 I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데이터 베이스, 운영 시스템, 모니터링 서비스와 관련된 아웃소싱 관리 솔루션 공급을 위한 인증은 주요 20개 영역에 걸쳐 있다.주요 영역은 서비스 보고 및 연속성, 가용성 및 용량 관리, 정보 보안 관리, 시스템 계획 및 정책, 서비스 제공 관리, 비지니스 관계 관리 리소스 관리, 책임 및 권한, 아웃소싱 프로세스 관리, 예산 및 회계, 변경 및 출시 관리, 사고, 요청 및 문제 관리 등이다.ISO/IEC 20000 인증은 알디비 컨설팅의 고객이 모범 사례에 전념하고 ITIL 프레임워크에 부합하는 국제 표준을 준수하도록 지원한다.▲ 알디비 컨설팅(RDB Consulting) 홈페이지
-
남아프리카공화국 탱크 운영업체인 원로직스 유나이티드 벌크(OneLogix United Bulk)에 따르면 국제표준화기구(ISO) 39001 인증을 획득했다.이로써 원로직스 유나이티드 벌크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위험물질을 운송하는 업체 중 처음으로 ISO 인증을 받은 업체로 등극했다.인증을 받기 위해 JC Auditors와 ISO 도고 교통 안전 기술 위원회가 공동으로 감사 및 검사 프로세스를 진행했다. ISO 표준은 조직이 훌륭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 헌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트럭으로 물품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사망과 심각한 부상을 줄이기 위해 최적화된 도로교통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ISO 39001은 2012년 개발된 도로교통안전경영시스템(Road Traffic Safety Management System, RTSMS)으로 치명적인 도로교통사고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정했다.유엔(UN)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교통사고로 매년 130만명이 사망하고 2000~5000만명이 상해를 입는다. 따라서 UN은 WHO와 공동으로 'UN 도로 안전 협력협의회(United Nations Road Safety Collaboration, UNRSC)'를 설립했다.2008년 28개 국가가 협의회에 참여했으며 18개 국가가 업저버로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UNRSC는 글로벌 프로젝트로 'The Decade of Action for Road Safety(2011-2020)'를 수립했다.10년간 노력끝에 도출한 과제는 5가지인데 첫 번째가 '도로 안전 경영(Road Safety management)이다. 이를 기반으로 국가별로 추진하고 있는 것이 ISO 39001이라고 볼 수 있다.참고로 국제표준 강국인 스웨덴이 처음으로 도로교통안전경영시스템 표준 제정을 추진했다. 한국은 아직 관련 표준의 도입에 적극적이지 않은 편이다.▲ 원로직스 유나이티드 벌크(OneLogix United Bulk)의 운송 트럭(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