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MPV"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12▲ HMM의 건화물선(Dry Bulk) Global Trust호 [출처=HMM]HMM(대표이사 사장 최원혁)이 브라질 최대 광산업체 발레(Vale)와 4300억 원 규모 장기 운송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2025년 5월 발레(Vale)와 체결한 6360억 원 규모의 10년 장기 운송계약에 이은 두 번째 계약이다.계약 기간은 2026년부터 2036년까지 10년이며 HMM은 총 5척의 선박을 투입해 철광석을 운송할 예정이다. 벌크선은 5년 이상 장기계약을 맺는 경우가 많아 시황 변동성이 큰 컨테이너 부문의 수익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발레와 같은 글로벌 대형 화주와 협력은 안정적 물동량을 바탕으로 지속적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2030년까지 벌크 선대를 110척(1256만DWT) 규모로 확대할 계획인 HMM은 이를 통해 컨테이너와 벌크의 균형 있는 성장을 추진하고 신사업 진출 기회를 모색할 방침이다.벌크선은 화물의 종류에 따라 특화된 선박과 운송 능력이 요구된다. HMM은 철광석, 석탄 등을 운반하는 건화물선(Dry Bulk), 원유와 석유화학제품 등을 운반하는 유조선(Tanker)을 확보하고 있다.또한 특수 화물을 운송하는 중량화물선(MPV), LPG운반선 등 시장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특히 2023년 발주한 7척의 자동차운반선 중 1호선을 이달 초 인도 받았으며 내년까지 순차적으로 시장에 투입할 예정이다.이번 자동차운반선 도입으로 2002년 사업 매각 이후 23년 만에 시장에 재진입함으로써 벌크 부문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다목적선(MPV) 4척, 화학제품선(MR탱커) 2척 등도 내년까지 순차적으로 확보할 예정이다.HMM은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원에서 주력 사업인 컨테이너 부문과 함께 벌크 부문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수익 창출과 성장을 이어갈 방침이다"고 강조했다.
-
인도네시아 대형 중고차센터 WTC Mangga Dua에 따르면 2016년 중고차 판매량은 3만8000여대였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다목적차량(MPV)의 호조와 배차어플리케이션 시장의 확대로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전체 구매자 중에서 배차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영업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차량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비율이 20%정도이다. 또한 소비자가 비교적 젊은 층인 것도 중고차시장의 특징이라고 밝혔다.또한 가장 많은 판매량을 보이는 MPV의 판매량은 전체의 50~70% 가량을 차지한다. MPV 신형의 호조로 교체한 구매자가 중고로 판매하는 구형 MPV가 늘어 나면서 중고차 시장이 활성화되고 공급이 많아져 중고 판매자의 매입가격이 하락해 이익은 늘어나고 있다.WTC Mangga Dua의 2015년 중고차 판매량은 3만7000여대, 2014년에는 3만5000여대를 기록했다.▲인도네시아 대형 중고차센터 WTC Mangga Dua 홈페이지
-
중국 전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全国乘用车市场信息联席会, CPCA)에 따르면 8월 중국승용차판매량은 179만9448대로 전년 동월 대비 24.5% 증가했다.이중 승용차(轿车)는 94만9293대로 전년 동월 대비 19.5% 늘어났으며 MPV는 17만399대로 31.4%, SUV는 64만3775대로 40.4% 급증했다.8월 승용차 생산량은 165만4662대로 전년 동월 대비 21.8% 증가했다. 이중 승용차생산은 85만5278대로 전년 동월 대비 19.5% 늘었다.MPV 생산량은 15만5834대로 전년 동월 대비 29.8%, SUV생산량은 61만6593대로 전년 동월 대비 30.9% 증가했다. 또한 1~8월 총 판매량은 1424만875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했으며 승용차는 731만9824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 늘었다.MPV 총 판매량은 143만7459대로 전년 동기 대비 16.3%, SUV 총 판매량은 504만2123대로 전년 동기 대비 44.1% 증가했다.동기간 승용차 총 생산량은 1437만607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0.7% 늘어났으며 승용차는 731만2745대로 전년 동기 대비 1.0% 줄었다.MPV 생산량은 145만586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9%, SUV차량 생산량은 517만2607대로 전년 동기 대비 41.9% 각각 증가했다.▲ China_CPCA 8Month China Sales 1▲중국 승용차 8월 판매량(출처: 홈페이지)
-
중국 전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全国乘用车市场信息联席会, CPCA)에 따르면 8월 중국승용차판매량은 179만9448대로 전년 동월 대비 24.5% 증가했다.이중 승용차(轿车)는 94만9293대로 전년 동월 대비 19.5% 늘어났으며 MPV는 17만399대로 31.4%, SUV는 64만3775대로 40.4% 각각 급증했다.8월 승용차 생산량은 165만4662대로 전년 동월 대비 21.8% 증가했다. 이중 승용차생산은 85만5278대로 전년 동월 대비 19.5% 늘었다.MPV 생산량은 15만5834대로 전년 동월 대비 29.8%, SUV생산량은 61만6593대로 전년 동월 대비 30.9% 증가했다.▲ China_CPCA_Homepage▲전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全国乘用车市场信息联席会, CPCA) 홈페이지
-
일본 미쓰비시자동차(三菱自動車)는 2018년까지 인도네시아의 승용차 매장을 140곳으로 기존 대비 1.8배 확대한다고 발표했다.2017년 봄에 현지에서 신공장을 가동하는 시점에 맞물려 다목적스포츠차(SUV) 및 소형다목적차(MPV)의 판매를 강화할 계획이다.연비부정문제로 일본 국내는 고전하고 있지만 수익의 중심이 되는 동남아시아의 기반을 굳혀놓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미쓰비시는 지금까지 상용차를 판매하는 매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하면서 승용차를 판매하는 매장은 약 80개에 머물러 있었다. 이번 승용차의 비즈니스 모델 전환을 위해 새 공장을 가동하고 판매망을 확대한다.2017년에 가동하는 신공장에서 SUV 현지생산을 시작하고 올해 가을에 인도네시아를 시작으로 MPV를 투입할 방침이다. 신형 MPV는 중기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연간6만대 판매를 전망하고 있으며 필리핀과 태국 수출도 계획하고 있다.▲ 1▲SUV 파제로스포츠(출처 : 미쓰비시자동차)
-
일본 미쓰비시자동차(三菱自動車)는 2018년까지 인도네시아의 승용차 매장을 140곳으로 기존 대비 1.8배 확대한다고 발표했다.2017년 봄에 현지에서 신공장을 가동하는 시점에 맞물려 다목적스포츠차(SUV) 및 소형다목적차(MPV)의 판매를 강화할 계획이다. 연료부정문제로 일본 국내는 고전하고 있지만 수익의 중심이 되는 동남아시아의 기반을 굳히려는 것이다.
-
2016-07-27일본 토요타 인도네시아법인은 아세안시장용으로 개발하고 카라완공장에서 생산하는 다목적차량(MPV) '시엔타'의 판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차량의 개발은 2011년에 시작됐으며 인도네시아에 적합한 사양으로 개발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인 직원의 많은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냈다.인도네시아법인에 따르면 이번에 판매 개시한 시엔타는 내장 인테리어와 외관 모두 인도네시아에 적합한 제품으로 생산했다.가격은 2억3000만루피아 수준이며 현재까지 약 2800대를 수주했다. 향후 국내에서의 판매가 활발해지면 다른 아시아 지역에도 수출할 예정이다.인도네시아의 생산 거점은 월산 4000대를 목표하고 있으며 금형 제작 등의 설비투자액이 약 2조5000억루피아로 집계됐다. 현재 자동차 부품의 현지 조달 비율은 80% 수준이며 향후 100% 조달을 목표로 한다.▲토요타 로고
-
일본 토요타 인도네시아법인은 아세안시장용으로 개발하고 카라완공장에서 생산하는 다목적차량(MPV) '시엔타'의 판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회사측은 인도네시아에 적합한 차량으로 개발했으며 향후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부품 조달율 100%를 목표로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
한국 기아자동차 인도네시아법인(KMI)의 자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에서 다목적차량(MPV) '카렌스'의 판매를 중단했다. 현재 MPV시장은 각종 업체들의 인기 모델들이 많아 경쟁이 힘들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
[중국] 2016년 中 자동차시장 SUV와 MPV는 연간성장률 36%와 8%로 각각 842만 대와 228만 대 판매 예상... 승용차와 상용차는 각각 1100만 대와 328만 대 판매해 5%와 8% 마이너스 성장 지속할 것으로 전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