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4
" 3분기"으로 검색하여,
23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년 10월30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 에너지 규제기관이 자료에 따르면 전기와 가스 가격이 상승하면서 이를 제때 납부하지 못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프랑스 항공기 제조업체는 엔진공급이 원활해지며 2025년 3분기 매출액이 증가했다. 고객에게 인도한 항공기는 전년 동월 대비 크게 늘어났다.아일랜드는 미국 정부가 유럽을 대상으로 관세전쟁을 벌이고 있어 외국인 관광객의 유입이 크게 줄어들었다. 관광객이 국내에 머무를 일수도 감소했지만 지출액은 더 축소됐다.▲ 프랑스 항공기 제조업체인 에어버스그룹(Airbus Group)가 제조한 항공기 [출처=홈페이지]◇ 영국 오프젬(Ofgem), 에너지 가격의 상승에 따라 미납 요금 £44억 파운드 집계영국 정부 산하 에너지규제기관인 오프젬(Ofgem)은 에너지 가격의 상승에 따라 미납 요금이 £44억 파운드에 달한다고 밝혔다. 일부 국민이 납부하지 못한 에너지 요금을 면제해줄 방침이다.만약 정부가 2026년부터 미납 요금 5억 파운드를 탕감해줄 경우에 약 20만 명의 이상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모든 가구에 부과되는 가스와 전기요금에 5파운드를 추가로 부과해야 한다.혜택을 받을 가구는 2022년 4월부터 2024년 3월까지 100파운드의 요금을 연체한 경우에 해당된다. 에너지 공급사는 부채를 탕감해주거나 추가로 내야 하는 에너지 소비 비용으로 대체하게 된다.◇ 프랑스 에어버스그룹(Airbus Group), 2025년 3분기 매출액 €178억3000만 유로프랑스 항공기 제조업체인 에어버스그룹(Airbus Group)은 2025년 3분기 매출액이 €178억3000만 유로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민간항공기 사업부는 130억5000만 유로의 매출액을 올려 전년 동기 대비 12%확대됐다. 2025년 3분기에만 201대의 항공기를 고객에게 인도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174대와
-
2025년 10월31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은 정부가 부동산에 각종 세금을 도입하려고 시도하고 있지만 낮은 대출 금리로 평균 주택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프랑스 대형 유통업체는 혼란한 정치 상황, 경기 침체에도 매출액이 소폭 오름세를 기록했다, 업체는 점포의 리뉴얼과 취급 상품을 늘려 영업 부진을 극복할 방침이다.아일랜드는 자동차 사고에 대한 수리비가 상승해 자동차 보험료가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로 상해를 입어 청구하는 보험료는 2019년보다 낮았지만 보험사의 영업이익을 하락했다.▲ 영국 금융기관인 네이션와이드(Nationwide) 점포 전경 [출처=홈페이지]◇ 영국 네이션와이드(Nationwide), 2025년 10월 주택 평균가격 전월 대비 0.3% 상승영국 금융기관인 네이션와이드(Nationwide)은 2025년 10월 주택 평균가격은 전월 대비 0.3%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9월 £27만1995파운드가 10월 27만2226으로 올랐다.10월 주택 평균가격은 연간 기준으로 보면 전년 동월 대비 2.4% 확대됐다. 9월과 비교하면 2.2% 상승했다. 고가 주택의 판매가 하락하고 있음에도 주택 가격의 상승세는 유지됐다.정부는 50만 파운드 이상의 주택을 판매할 때 새로운 세금을 부과할 계획이지만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리면서 대출 이자가 하락한 것도 주택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카지노(Casino), 2025년 9월 기준 3분기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0.2% 상승프랑스 최대 유통업체 중 하나인 카지노(Casino)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0.2%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다.2023년 영업 실적이 하락한 이후 2028년까지 회복할 계획을 추진 중이었지만 2030년까지 연장했다. 브랜드 현대화, 프랜차이즈 개발 등으로 통해 새로운 사업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유통매장인 모노
-
▲ 삼성전자 본사 전경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86조1000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15퍼센트(%) 증가해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12.2조 원을 달성했다.DS부문은 HBM3E와 서버 SSD 판매 확대로 분기 최대 메모리 매출을 달성하며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9% 증가했다. 특히 HBM3E는 전 고객 대상으로 양산 판매 중이고 HBM4도 샘플을 요청한 모든 고객사에게 샘플을 출하했다.DX부문도 폴더블 신모델 출시 효과와 견조한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등으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1% 성장했다.삼성전자는 미래 성장을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며 3분기 누계 기준 역대 최대 26.9조 원의 연구개발비를 집행했다.환율의 경우 전 분기 대비 원화 강세로 달러 거래 비중이 높은 DS부문에서 소폭 부정적 영향이 있었으나 DX부문에서 일부 긍정적 영향이 발생해 전사 전체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3분기 실적▶ DS(Device Solutions)부문 매출 33.1조원, 영업이익 7조원메모리는 HBM3E(High Bandwidth Memory 3E) 판매 확대와 DDR5(Double Data Rate 5), 서버용 SSD(Solid State Drive) 등의 수요 강세로 사상 최고의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영업이익은 제품 가격 상승과 전 분기 발생했던 재고 관련 일회성 비용이 감소하면서 큰 폭으로 개선됐다.시스템LSI는 주요 고객사의 프리미엄 라인업에 SoC(System on Chip)를 안정적으로 공급했으나 시장 전반의 재고 조정과 계절적 수요 둔화로 실적은 정체됐다.파운드리는 첨단공정 중심으로 분기 최대 수주 실적을 달성했으며 일회성 비용이 감소하고 라인 가동률이 개선되면서 전 분기 대비 실적이 큰 폭 개선됐다.▶ DX(Device eXperience)부문 매출 48.4조원, 영업이익 3.5조원MX(Mobile eXperience)는 갤럭시 Z 폴드7 판매
-
2025-10-31▲ 삼성SDS 본사 전경 [출처=삼성SDS]삼성SDS(대표이사 사장 이준희)에 따르면 2025년 10월30일(목) 발표한 2025년 3분기 잠정 매출액은 3조391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퍼센트(%) 감소했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232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줄어들었다.IT서비스 부문 매출액은 1조5957억 원으로 2024년 같은 기간 대비 2.1% 감소했다. 클라우드 사업 매출액은 5.9% 증가한 6746억 원을 달성해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클라우드 사업 중 CSP(Cloud Service Provider) 사업은 △공공 서비스를 위한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사용 증가 △제조 업종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 등으로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CSP는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서버 등 가상화한 물리 자원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업이다.MSP 사업은 금융 업종 클라우드 전환/구축/운영 사업, 공공 업종 생성형 인공지능(AI) 구축 서비스 등으로 2024년 같은 기간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MSP(Managed Service Provider)는 기업이 클라우드를 도입·운영할 때 컨설팅부터 네트워크 및 인프라 관리, 보안 및 모니터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물류 부문은 해상 운임 하락과 미국 관세 정책 영향에 따른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7.4% 하락한 1조7956억 원으로 집계됐다.▲ 삼성SDS 2025년 3분기 실적 [출처=삼성SDS]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Cello Square)는 전년 대비 가입 고객이 31% 증가했으며 현재 2만3451개 회사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한편 관세 정책과 기업들의 투자 감소로 불확실한 경제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삼성SDS는 클라우드 및 생성형 AI 서비스, 첼로스퀘어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공공사업에서는 삼성SDS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들의 후속 구축 사업에 집중하고 대구 민관협력형 클라우드센터
-
▲ 기아 본사 전경 [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 최준영)에 따르면 2025년 10월31일(금) 2025년 3분기 도매기준 78만5137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2.8퍼센트(%) 증가했다. 컨퍼런스콜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2025년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이에 따른 IFRS 연결기준 경영실적은 △매출액 28조6861억 원(8.2%↑) △영업이익 1조4622억 원(49.2%↓) △경상이익 1조8868억 원(41.6%↓) △당기순이익(비지배 지분 포함) 1조4225억 원(-37.3%↓)을 기록했다.기아는 3분기 실적과 관련해 글로벌 하이브리드 수요의 지속적 증가와 전기차 판매 확대 등으로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판매 및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다만 미국 관세 영향 본격화 및 글로벌 인센티브 증가, 기말 환율 급등에 따른 충당부채의 평가손 등으로 손익이 둔화됐다.◇ 2025년 3분기(7~9월) 국내 실적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한 13만8009대2025년 3분기 기아 판매는 △국내에서 전년 대비 10.2% 증가한 13만8009대 △해외에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64만7128대 등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78만5137대를 기록했다(도매 기준).국내 시장에서는 쏘렌토, 카니발을 중심으로 한 고수익 RV 차종 판매 증가와 EV4 신차 효과가 이어지며 전년 동기 대비 성장세를 보였다.해외의 경우 미국의 견조한 HEV 수요 강세를 중심으로 북미 권역의 수요 증가세가 이어졌고 아태, 중남미 등 신흥 시장에 판매 물량을 확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서유럽 시장에서는 EV3의 판매 호조에도 불구하고 슬로바키아 공장의 전동화 전환에 따른 일부 모델 단산 및 한시적 생산 조정으로 판매가 감소했다. 인도 시장에서는 9월 말 시행된 상품서비스세 인하를 앞두고 발생한 대기수요에 따라 판매가 줄었다.2025년 3분기 매출액은 친환경차 판매 확대와 상품 부가가치 기반 가격
-
▲ LG 트윈타워 전경 [출처=LG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사장 정철동)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6조957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퍼센트(%), 전분기 대비 25% 각각 증가했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4310억 원으로 전년 동기 806억 원, 전분기 1160억 원 각각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3분기까지 누적 매출 18조6092억 원, 누적 영업이익 3485억을 기록했다. 이로써 4년 만에 연간 흑자 전환이 확실시된다.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액정디스플레이(LCD) TV 사업 종료로 인해 1퍼센트(%) 감소했음에도 누적 영업실적은 약 1조 원 개선하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중심의 사업 체질 개선이 성과로 가시화되는 셈이다.▲ LG디스플레이 3분기 실적 발표 [출처=LG디스플레이]3분기 매출은 전 제품군에서 OLED 패널 출하가 확대되며 전분기 대비 25% 증가했다. 전체 매출 내 OLED 제품 비중은 계절적 성수기에 더해 중소형 OLED 패널의 신제품 출시 효과로 역대 최고 수준인 65%를 기록했다.제품별 판매 비중(매출 기준)은 TV용 패널 16%, IT용 패널(모니터, 노트북 PC, 태블릿 등) 37%, 모바일용 패널 및 기타 제품 39%, 차량용 패널 8%이다.손익 측면에서는 OLED 제품군 전반의 출하 확대와 함께 강도 높은 원가 혁신 활동을 지속한 결과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5000억 원 이상 개선하며 흑자 전환했다.상각 전 영업이익(EBITDA)는 1조4239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35%,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으며 EBITDA 이익률도 20.5%를 기록했다.LG디스플레이는 OLED의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프리미엄 제품 매출 비중을 확대하고 효율적 운영 체계를 통해 고객 가치를 제고하고 수익성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중소형 사업은 기술 리더십과 안정적인 공급 역량을 기반으로 고객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아울러 미래 기술에 대한 체계적
-
▲ LG에너지솔루션 2025년 3분기 실적발표 [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2025년 10월30일(목) 2025년 3분기 매출 5조6999억 원으로 전년 동기 6조8778억원 대비 17.1퍼센트(%) 감소했다.전분기 5조5654억 원 대비 2.4% 증가했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6013억 원으로 전년 동기 4483억 원 대비 34.1%, 전분기 4922억 원 대비 22.2% 각각 늘어났다.3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북미 생산 보조금 (IRA Tax Credit) 금액은 3655억 원이다. 이를 제외한 3분기 영업이익은 2358억 원이다.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 이창실 부사장은 “매출은 9월 말 미국 전기차 구매 보조금 영향 등으로 EV향 파우치 사업의 매출은 감소하였으나 ESS사업의 큰 폭의 매출 성장, 소형 사업의 견조한 매출이 이를 상쇄하며 전 분기 대비 2.4% 증가했다”며 “손익의 경우 ESS와 소형 사업 출하량 증가와 전사 차원의 비용 절감 노력 등이 반영되어 북미 생산 보조금 감소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ESS 120GWh, 원통형 46시리즈 300GWh 이상 수주 잔고 달성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 3분기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도 △신규 수주 △운영·기술·공급망 등의 면에서 다양한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지역별 안정적인 현지 생산 역량 및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전 사업 부문에서 다수의 수주를 체결한 것이 대표적이다.ESS전지사업부의 경우 미국 내 탈중국 기조와 현지 LFP(리튬·인산·철) 제품 생산 역량 등을 바탕으로 3분기 미국 주택용 ESS 기업과 6년간 총 13기가와트시(GWh)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현재 ESS 사업 수주 잔고는 120GWh이며 이는 전 분기 대비 ㅈ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현재 고객사와 논의를 진행 중인 프로젝트
-
▲ LG사이언스파크 전경 [출처=LG이노텍]LG이노텍(대표 문혁수)에 따르면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2025년 3분기 매출은 5조369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퍼센트(%) 감소했으나 전분기 대비 36.5%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203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2%, 전분기 대비 1689% 각각 확대됐다.회사 관계자는 “계절적 성수기 진입으로 고부가 카메라 모듈 및 RF-SiP(Radio Frequency-System in Package) 등 통신용 반도체 기판의 공급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우호적 환율에 더해 광학, 전장 등 사업부별 수익성 제고 활동 성과가 가시화되며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크게 늘었다”고 덧붙였다.이어 “4분기는 모바일 신모델 공급 성수기로, 카메라 모듈을 비롯해 RF-SiP 등 통신용 반도체 기판의 매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또한 글로벌 고객사향 FC-BGA(Flip Chip Ball Grid Array)제품 라인업 확대, 전장부품 원가 혁신을 통한 수익성 개선이 예상된다”고 말했다.LG이노텍은 확장성 높은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신사업을 적극 육성하며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LG이노텍은 차량 센싱·통신·조명 등 AD/ADAS용 부품 및 고부가 반도체 기판 사업, 그리고 로봇·드론·우주산업용 부품 사업 등을 미래 육성사업으로 지정했다.2030년까지 이들 사업의 매출을 8조 원 이상, 매출 비중을 전체의 25%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수익성 개선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박지환 CFO(전무)는 “베트남, 멕시코 신공장 증설을 바탕으로 전략적 글로벌 생산지 운영을 가속화하는 한편, AX(AI Transformation) 도입 확대, 핵심 부품 내재화 등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빠르게 높여 나갈 것이다&rd
-
2025-10-31▲ 현대제철 인천공장(본사) 전경 [출처=현대제철]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에 따르면 2025년 10월30일(목) 발표한 공시 결과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조7344억 원, 영업이익 932억 원, 당기순이익 178억 원을 기록했다.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3.6퍼센트(%) 감소했다. 하지만 원재료가 하락 및 자동차강판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비중 확대로 전분기 수준의 영업 이익을 유지했다.현대제철은 "건설경기 둔화가 지속되면서 매출액은 감소했으나 4분기부터 저가 수입재에 대한 통상 대응 효과가 본격 반영돼 실적이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다"고 전망했다.또한 안정적인 수익성 확보를 위해 글로벌 판매 역량을 강화하고 주요 기업과의 협력을 확대하는 한편, 고부가 신제품 개발과 성장산업 수요 선점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먼저 인도 푸네 완성차 클러스터 내 스틸서비스센터(SSC)를 준공하고 상업 생산을 개시해 글로벌 자동차강판 판매 기반을 강화했다. 호주 지역의 지속가능성 인증을 취득해 현지 건설시장 내 판매 경쟁력도 높였다.아울러 글로벌 클라우드 선도기업인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국내 전 사업장에 클라우드 인프라를 도입하고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했다. 동시에 저탄소 인증 철강재를 AWS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에 공급하는 성과도 거뒀다.이와 함께 현대제철은 더 가볍고 단단한 철강 수요 증가에 대응해 MS강과 3세대 자동차강판 신제품의 양산·공급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완성차사와 부품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적용 범위 확대를 검토 중이다.더불어 차세대 모빌리티용 냉연 초고장력강 개발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현재 자율주행차 구조용 고장력강을 고객사 테스트용 소재로 공급해 인증을 진행 중이며 개발 완료한 일반 차량 시트레일용 초고장력강은 2026년 초도 공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건설 부문에서는 모듈러 주택시장 성장에 맞춰 바닥 충격음 저감기술과 H형강 구조 시스템 등 핵심 기술을 개발해 시장 선점에 적극 나서고 있
-
▲ 동아쏘시오홀딩스 본사 전경 [출처=동아쏘시오홀딩스]동아쏘시오홀딩스(회장 강정석, 대표이사 사장 김민영)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382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퍼센트(%) 증가했다.또한 동기간 영업이익은 333억 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47.7% 늘어났다. 주요 사업회사의 매출 성장 뿐 아니라 동아제약, 에스티젠바이오를 비롯한 연결 자회사들의 영업 이익이 각각 증가했기 때문이다.◇ 3분기 실적 개요(7~9월)·매출 : 3826억 원, 전년 동분기 3569억 원 대비 257억 원 증가(+7.2%)·영업이익 : 333억 원, 전년 동분기 225억 원 대비 108억 원 증가(+47.7%)◇ 주요 자회사별 세부 내용헬스케어 전문회사인 동아제약은 박카스, 일반의약품 사업부문 성장 주도로 매출이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 및 판관비 효율적 집행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28.9% 늘었다.·매출 : 2001억 원, 전년 동분기 1795억 원 대비 206억 원 증가(+11.5%)·영업이익 : 285억 원, 전년 동분기 221억 원 대비 64억 원 증가(+28.9%)◇ 동아제약 주요 사업부문별 매출·박카스 사업부문 : 867억 원, 전년 동분기 776억 원 대비 91억 원 증가(+11.7%)·일반약(OTC) 사업부문 : 575억 원, 전년 동분기 448억 원 대비 127억 원 증가(+28.4%)·생활건강 사업부문 : 480억 원, 전년 동분기 511억 원 대비 31억 원 감소(-6.1%)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전문회사인 에스티젠바이오는 신규 수주 및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상업화 물량에 따른 매출 증가,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 및 생산 효율화로 전년 동분기 대비 114.5% 늘었다.·매출 : 315억 원, 전년 동분기 168억 원 대비 147억 원 증가(+87.7%)·영업이익 : 18억 원, 전년 동분기 9억
1
2
3
4
5
6
7
8
9
10
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