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5
" 클라우드"으로 검색하여,
14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0-31▲ 삼성SDS 본사 전경 [출처=삼성SDS]삼성SDS(대표이사 사장 이준희)에 따르면 2025년 10월30일(목) 발표한 2025년 3분기 잠정 매출액은 3조391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퍼센트(%) 감소했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232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줄어들었다.IT서비스 부문 매출액은 1조5957억 원으로 2024년 같은 기간 대비 2.1% 감소했다. 클라우드 사업 매출액은 5.9% 증가한 6746억 원을 달성해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클라우드 사업 중 CSP(Cloud Service Provider) 사업은 △공공 서비스를 위한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사용 증가 △제조 업종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 등으로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CSP는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서버 등 가상화한 물리 자원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업이다.MSP 사업은 금융 업종 클라우드 전환/구축/운영 사업, 공공 업종 생성형 인공지능(AI) 구축 서비스 등으로 2024년 같은 기간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MSP(Managed Service Provider)는 기업이 클라우드를 도입·운영할 때 컨설팅부터 네트워크 및 인프라 관리, 보안 및 모니터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물류 부문은 해상 운임 하락과 미국 관세 정책 영향에 따른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7.4% 하락한 1조7956억 원으로 집계됐다.▲ 삼성SDS 2025년 3분기 실적 [출처=삼성SDS]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Cello Square)는 전년 대비 가입 고객이 31% 증가했으며 현재 2만3451개 회사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한편 관세 정책과 기업들의 투자 감소로 불확실한 경제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삼성SDS는 클라우드 및 생성형 AI 서비스, 첼로스퀘어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공공사업에서는 삼성SDS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들의 후속 구축 사업에 집중하고 대구 민관협력형 클라우드센터
-
▲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히타치 밴타라-레드햇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 및 가상화 현대화 협력’ [출처=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인공지능(AI)·데이터 인프라 솔루션 전문기업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대표 양정규)에 따르면 히타치 밴타라(Hitachi Vantara)가 글로벌 오픈소스 솔루션 선도기업 레드햇(Red Hat)의 오픈시프트 가상화와 자사의 차세대 스토리지 플랫폼 ‘VSP(Virtual Storage Platform) One’을 결합한 새로운 솔루션을 발표했다.이번 솔루션은 기업의 비용 부담이 큰 독점 하이퍼바이저 의존도를 줄이고 통합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노후화된 가상화 인프라를 현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또한 100퍼센트(%) 데이터 가용성과 엔터프라이즈급 회복력을 제공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T 운영을 보장한다.글로벌 자바 플랫폼 기업 아줄(Azul)과 IT 자산관리 전문 기관 ITAM 포럼이 2025년 7월 발표한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73%가 지난 3년간 오라클 자바(Oracle Java) 라이선스 감사를 받았다.3분의 1 이상은 복잡한 라이선스 관리와 컴플라이언스를 조직의 주요 과제로 꼽았다. 이는 복잡한 라이선스 구조와 증가하는 비용이 기업 운영에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히타치 밴타라의 이번 솔루션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드햇 오픈시프트의 가상화 기능을 통합하고 사전 검증된 참조 아키텍처와 강력한 가상머신(VM) 마이그레이션 도구를 제공해 전환 과정을 단순화하고 속도를 높인다.특히 VSP One은 다중 사이트 회복력과 원활한 페일오버(failover) 기능을 갖춰 장애 발생 시에도 연속적인 운영을 보장한다.VM과 컨테이너를 동일한 플랫폼에서 함께 실행할 수 있어 중복 인프라를 줄이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를 아우르는 블록·파일·오브젝트 스토리지의 통합 관리 환경을 제공해 데이
-
2025-10-162025년도 국가정보원 경력경쟁채용(장애인 포함) 공고1. 선발분야 및 지원자격■ 선발분야○ 특정 6급 - 건축, 경제방첩, 변호사(장애인만 지원 가능 분야), 에너지, 프로파일러, 무전통신, 신호분석○ 특정 7급 - 그래픽, 러·CIS 지역, 보안 S/W 개발, 보안관제, 사이버 추적·분석, 사이버 취약점 진단·점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정보보호(장애인 별도 지원 포함 분야),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AI 신뢰성 검증, AI 정책, WEB 개발, Windows 보안■ 특정직 6급○ 건축 ▶ 필수요건 - 건축학·건축공학 관련 전공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로 - 건축 분야 시공·설계 관련 실무 경력 6년 이상이면서 - 건축기사 이상 자격증 소지자 ▶ 우대사항 ※. 신축공사(단위 사업 연면적 30,000㎡ 이상) 수행(설계·시공·감리) 경력자 ※. 건축사·건축시공기술사 소지자○ 경제방첩 ▶ 필수요건 - 경영·경제·금융·무역 등 상경계열 전공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 - 증권사·자산운용사·외국계 투자은행 등 금융·경제 관련 실무 경력 6년 이상인 자(석사 이상 학위 소지자는 4년 이상) ▶ 우대사항 ※. 공인회계사·세무사·관세사·CFA·AICPA·CIIA·FRM·CMA·CAIA·투자자산·운용사·ACAMS 자격증 소지자
-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과 샘 올트먼 OpenAI 대표(오른쪽)가 ‘글로벌 AI 핵심 인프라 구축을 위한 상호 협력 LOI(의향서) 체결식’에서 악수를 하고 있다 [출처=삼성전자]삼성그룹(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10월1일(수)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오픈AI(OpenAI, 샘 올트먼 CEO)와 글로벌 인공지능(AI) 핵심 인프라 구축을 위해 상호 협력하는 의향서(Letter of Intent, LOI) 체결식을 거행했다.OpenAI와 LOI를 체결한 삼성 관계사는 삼성전자, 삼성SDS,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등 4개 사다. 삼성은 OpenAI의 전략적 파트너사로서 반도체,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해양 기술 등 각 사의 핵심 역량을 결집시켜 전방위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LOI 체결식에는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최성안 삼성중공업 부회장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이준희 삼성SDS 사장이 참석했다.삼성전자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OpenAI가 고성능·저전력 메모리를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OpenAI가 글로벌 기술·투자 기업들과 함께 슈퍼컴퓨터와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삼성전자는 OpenAI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OpenAI가 메모리 솔루션 수급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지원할 방침이다.OpenAI는 웨이퍼 기준 월 90만 매 대량의 고성능 D램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 △시스템반도체 △파운드리 사업 역량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종합 반도체 회사로 AI 학습과 추론 전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다. 또한 삼성전자는 패키징 기술, 메모리·시스템반도체 융복합 기술 측면에도 OpenAI에 차별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삼성SDS는 OpenAI와 AI 데이터센터 공동 개발, 기업용 AI 서비스 제공에 대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삼성SDS는 첨단 데이터센터 기술을 기반으로
-
2025-09-30▲ 국가 망 보안체계 보안 가이드라인 1.0 표지 [출처=국가사이버안보센터]국가정보원(원장 이종석, 이하 국정원)에 따르면 2025년 9월30일(화) 「국가 망 보안체계(N2SF) 보안가이드라인」 정식판(1.0 버전)을 국가사이버안보센터 홈페이지(www.ncsc.go.kr)에 공개했다.‘국가 망 보안체계(N2SF : National Network Security Framework)’는 정부 핵심 추진전략인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 지원을 위해 기존 공공부문의 경직된 망 분리 정책 대신, AI·클라우드 등 신기술을 안정성 확보하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新보안체계다.이를 통해 업무 PC에서 생성형 AI와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고 무선랜(WiFi)을 통해서도 편리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될 수 있다.이번에 공개된 가이드라인은 국정원이 2025년 1월 초안을 공개한 이후 정부ㆍ산업계ㆍ학계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보완한 정식 버전이다. 본 책자와 부록1(보안통제 항목 해설서)·부록2(정보서비스 모델 해설서) 등 3권으로 구성됐다.특히 본 책자는 각 기관에서 N2SF를 적용한 정보화 사업을 원활하게 준비ㆍ진행할 수 있도록 기존 초안보다 ‘적용 단계별 활동 사항’을 자세히 설명하고 세부 개념 소개도 한층 보강됐다.부록1은 기관이 보유한 업무정보의 중요도(기밀 ‘Classfied’ / 민감 ‘Sensitive’ / 공개 ‘Open’)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보안통제 항목 설명을 담았다. 6개 영역(권한 / 인증 / 분리ㆍ격리 / 통제 / 데이터 / 정보자산) 아래 280여 개 보안 통제항목을 제시한다.부록2는 각급기관이 N2SF를 통해 무선랜ㆍ외부 클라우드서비스ㆍ생성형AI 등을 활용할 수 있게 돕는 ‘정보서비스 모델’ 11종을 담았다. 해당 내용은 기존 공공부문에만 공
-
▲ SK AX CI [출처=SK AX]SK AX(사장 윤풍영)에 따르면 2025년 9월25일(목) 글로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전환(AX) 기반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MSP, 이하 MSP)’를 전면 확대한다.이번 서비스는 단순한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을 넘어 생산성과 품질, 비용까지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중심 운영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실제 제조 현장에서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과거와 달리 최근 글로벌 제조기업은 신규 산업군 고객 유입과 지역 확장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능력을 빠르고 유연하게 확대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동시에 노동력 고령화, 복잡한 설비와 시스템, 높은 IT 인프라 비용 같은 과제도 여전히 해결해야 한다.SK AX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물론 다양한 퍼블릭 클라우드까지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멀티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엠씨엠피(MCMP)’를 중심으로 AI 기반 운영 체계를 제공한다.자원과 비용을 실시간 분석해 최적화하는 ‘AI 핀옵스(FinOps)’, 문제를 감지해 자동 복구하는 ‘AI 옵스(AIOps)’, 안정적 운영을 지원하는 ‘AI 에이전트’가 핵심이다.이 체계를 통해 고객사는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클라우드 전환을 기반으로 생산능력을 유연하게 확장하는 한편 AI 기반 데이터 분석 환경도 빠르게 구축할 수 있다.클라우드 전환과 AI 운영 체계 도입은 제조 현장에서 눈에 보이는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미국 반도체 장비 제조기업과 글로벌 물류·운송 기업은 SK AX의 AX 기반 클라우드 MSP를 도입해 인프라 구축 기간을 크게 줄였고 운영 비용도 약 30퍼센트(%) 절감했다. 관리 효율성 역시 개선됐다.AI 핀옵스는 사용률이 낮은 자원을 자동 축소·정지하고 필요한 시점에만 확장하도록 해 자원 낭비를 최소화했다. 여기
-
2025-09-03▲ GC녹십자 본사 전경 [출처=GC녹십자]GC녹십자(대표 허은철)에 따르면 메가존클라우드(대표 염동훈)와 품질문서 작성 효율화를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시스템을 구축했다.GC녹십자는 이번 품질문서 작성 지원 시스템 구축을 통해 연간 제품 평가 보고서(Annual Product Quality Review, APQR) 및 제품 경향 분석 보고서(Data Trend Analysis, DTA)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높이고 문서 작성 시간을 80퍼센트(%) 이상 단축해 품질 혁신과 업무 효율화를 달성했다.이번 프로젝트는 메가존클라우드의 AI 서비스인 ‘Megazone AIR(AI-Ready)’를 활용해 구축됐다. 구축된 AIR에는 생성형 AI인 아마존클라우드서비스(AWS)의 ‘Amazon Bedrock’과 앤스로픽의 대형언어모델(LLM)인 ‘Claude 3.7’ 및 검색증강생성(RAG) 기술이 적용됐다.RAG는 LLM이 단순 사전 학습한 데이터를 넘어서 실시간으로 내부 데이터베이스 및 외부 정보를 검색해 응답에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이다.기존에는 SAP, 품질경영시스템(QMS), 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LIMS) 등 각각의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취합해 문서를 작성해야 했다.따라서 단순 반복 업무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됐고 담당자에 따라 문서의 구성이나 포맷이 달라지는 등 일관성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었다.이번 시스템은 유럽연합(EU)의 GMP 가이드라인(Annex 22)에 맞춰 작업자의 작업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초안 작성을 지원하되 현업 담당자가 최종적으로 검토해 보고서를 작성하는 절차를 필수로 진행한다.GMP 가이드라인(Annex 22)은 제품 품질과 환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의약품 제조 과정에서 AI와 머신러닝 활용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규정한 내용이다.한편 GC녹십자는 AI 도입을 통한 업무 혁신 및 디지털 인프라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특정 보고서 유형에
-
2025-08-29▲ ‘리얼 서밋(REAL Summit) 2025’ 키노트 연사 소개 [출처=삼성SDS]삼성SDS(대표이사 사장 이준희)에 따르면 2025년 9월11일(목) 서울 코엑스에서 ‘리얼 서밋(REAL Summit) 2025’를 개최하고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기술이 이끄는 기업 혁신 전략을 선보인다.2025년 7회차를 맞이한 리얼 서밋은 삼성SDS의 솔루션과 서비스 발전 방향을 소개하고 업종별 고객 적용 사례를 공유하는 행사다.빠르게 변화하는 AI 시대에 기업들이 직면한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고 비즈니스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는 생성형 AI, 클라우드, 데이터, 기업용 솔루션 등 최신 기술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삼성SDS는 이번 리얼 서밋의 주제를 ‘내일의 기술을 내 일의 기술로’로 정하고 생성형 AI로 변화하는 기업 업무의 미래 모습을 소개할 예정이다.이번 행사에서 삼성SDS 이준희 대표이사는 ‘삼성SDS와 함께하는 AI 트랜스포메이션 여정’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한다.이어서 SAP 피터 플루임(Peter Pluim)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서비스 총괄과 델 테크놀로지스 마이클 델(Michael Dell) 회장이 삼성SDS와의 파트너십과 협업 사례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또한 KB금융그룹, 원익그룹, 업스테이지 등 주요 고객들이 직접 발표자로 나서 삼성SDS 솔루션 도입 사례와 효과에 대해 소개한다. 이어지는 특별 세션에는 이세돌 UNIST 특임교수가 발표자로 나서 ‘AI 시대, 인간만의 경쟁력’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오후 세션에는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 ‘패브릭스(FabriX)’, 생성형 AI 기반 협업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Brity Copilot)’, 업무 자동화 솔루션 ‘브리티 오토메이션(Brity Automation)’ 등 삼성SDS 대표 서비스의 기업 고객
-
2025-07-29▲ LS ELECTRIC–네이버클라우드, AI 기반 전력·데이터센터 솔루션 맞손 [출처=LS일렉트릭]LS ELECTRIC(구자균 회장, 사장 김종우, 일렉트릭)에 따르면 2025년 7월25일(금) 경기도 성남시 네이버 사옥에서 네이버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클라우드 기반 전력·데이터센터 솔루션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네이버클라우드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술 협력을 통해 전력 시스템과 데이터센터 사업의 인공지능 전환(AX, AI Transformation)을 앞당기고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 이날 체결식에는 채대석 LS일렉트릭 대표와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등 양사 경영진 10여 명이 참석했다.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전력, 데이터센터 특화 AI솔루션 실증 및 개발 협력 △제조기업 대상 클라우드 기반 제조실행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공장 에너지관리시스템(FEMS,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솔루션 협력 △제조업 특화 클라우드 전환 및 솔루션 공동 개발 등을 추진한다.특히 LS일렉트릭의 전력 설비 진단 솔루션에 네이버클라우드의 AI 모델을 적용한 AI 에이전트(Agent)를 도입해 비숙련자도 쉽게 전력 설비를 관리할 수 있도록 고객 편의를 제고할 계획이다.또한 LS일렉트릭이 보유한 MES, FEMS 등 스마트팩토리 핵심 솔루션에 AI·클라우드 기술을 접목해 솔루션을 고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규 사업 기회를 적극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네이버클라우드의 AI와 클라우드 및 엣지 컴퓨팅 인프라 역량을 바탕으로 전력, 스마트공장, 데이터센터 솔루션 전반에 걸친 기술적 협력을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을 함께 도모할 계획이다.채대석 LS일렉트릭 대표는 “전력 및 자동화 분야에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LS일렉트릭의 전력 설비 및 스마트공장 노하우에 하이
-
2025-07-26▲ 삼성SDS 잠실 캠퍼스 전경 [출처=삼성SDS]삼성SDS(대표이사 사장 이준희)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잠정 매출액이 3조51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퍼센트(%)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30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늘어났다.정보기술(IT) 서비스 부문 매출액은 1조6784억 원으로 2024년 같은 기간 대비 5.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클라우드 사업 매출액은 6652억 원을 기록해 약 20% 성장했다.클라우드 사업 중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기반 CSP 사업은 △고성능 컴퓨팅(HPC) 서비스 증가 △클라우드 네트워크 서비스 확대 △공공 클라우드 사업 본격화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26% 성장했다.MSP 사업은 공공 기관의 클라우드 전환/구축 확대,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사업 수주, 글로벌 SCM·CRM 사업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물류 부문은 미국 관세 정책 영향에 따른 1분기 조기 선적으로 물동량이 감소했으나 창고 물류 신규 고객을 확보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약 3% 증가한 1조8336억 원으로 집계됐다.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Cello Square) 매출액은 2701억 원을 기록했으며 가입 고객은 지난해 2분기 대비 48% 증가해 2만1900개사를 넘어섰다.한편 불확실한 경제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삼성SDS는 경쟁력을 강화하고 성장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클라우드, 생성형 AI 서비스 사업은 금융 및 공공 업종을 중심으로 대외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디지털 물류 사업은 대외 신규 사업을 적극 수주하는 한편 선사/항공사 등 실행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