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철도전력"으로 검색하여,
		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03▲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관련 업무 프로세스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에 따르면 철도전력의 급전, 단전을 위한 작업과정을 표준화해 효율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인적오류를 최소화하는 등 안전을 제고하는 ‘스마트 급단전 운영시스템’을 개발했다.철도연은 이 기술의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철도공사 철도교통관제센터에 시험 설치했다. 그동안 전국 약 5000킬로미터(km)에 육박하는 전철화 구간의 유지보수를 위한 철도 전기의 급전과 단전을 위한 급단전 계획, 취합, 승인, 지시 등 일련의 작업이 인력과 유선 통화에 의존하고 있어 자동화가 시급했다.▲ 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시스템은 급전, 단전의 지시․조작 작업과정을 표준화해 재설계했다. 작업 단계별 상세한 절차와 확인 사항을 명확히 하고 작업현장의 안전 조치사항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했다.각 작업 담당자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장치들은 작업자를 식별하는 기능과 함께 인증서를 통해 데이터 보안도 확보했다.▲ 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 구성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스마트 급단전 운영시스템’은 철도연이 한국철도공사 및 구스텍㈜과 함께 개발했으며 철도 급전, 단전 작업과정을 담당하는 철도교통관제센터의 관제사가 사용하는 ‘관제사용 운영단말장치’, 유지보수 작업 현장의 전기안전관리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도 포함하고 있다.▲ 스마트 급단전 작업과정(지시·조작) 운영시스템 중 관제사용 운영단말장치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시스템은 철도 전력관제 업무의 절차 및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했으며 모의시험을 통한 성능 확인과 보완 과정을 거쳐 철도교통관제센터와 경인선 유지보수 작업구간에 시험 설치해 운영하고있다.이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NST, 이사장 김영식) 산하 철도연의 중소기업지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