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인프라 사업"으로 검색하여,
1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28▲ BC카드 로고 [출처=BC카드]BC카드(대표이사 사장 최원석)에 따르면 통합결제 비즈니스 전문 기업 다날(사업 부문 대표 진창용)과 결제 인프라 협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BC카드는 다날의 선불전자지급수단 기반 결제 서비스에 필요한 가맹점 네트워크와 결제 프로세싱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날은 BC카드의 결제 인프라를 활용해 자체 선불전자지급 수단 기반의 통합결제 비즈니스를 확장한다.먼저 다날이 조만간 출시할 화이트 라벨링 서비스 기반의 선불카드 상품에 BC카드의 결제 인프라가 적용된다. 화이트 라벨링은 중·소 규모 핀테크사 등을 대상으로 다날이 직접 선불전자지급수단의 발행과 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다.이번 파트너십을 토대로 화이트 라벨링 이용 기업은 안정적인 선불 사업 운영과 함께 BC카드의 348만 가맹점 네트워크를 활용한 범용 결제 서비스를 자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화이트 라벨링 선불카드를 이용하는 고객은 BC카드의 ‘페이북’을 비롯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페이 등 주요 간편결제 서비스에 탑재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나아가 양사는 최근 국내 거주 외국인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2025년 3분기 내로 외국인 특화 선불카드를 선보일 예정이다.국내 대학 등 교육시설과 주요 상권에 전용 키오스크를 설치해 편리하고 신속하게 발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설명이다.이 외에도 다날의 자체 선불 서비스 리뉴얼 및 고도화에도 BC카드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는 등 양사 간 시너지를 적극 도모할 예정이다.한편 다날이 BC카드를 새로운 결제 파트너로 선정하게 된 배경에는 BC카드가 40여 년간 축적한 결제 인프라와 프로세싱 노하우가 있었다는 설명이다.BC카드는 국내 유일의 지급결제 프로세싱 전문 기업으로서 업계 최대 규모의 결제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카드사별 금융감독원 공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BC카드의 가맹점 수는 348만 개로 국내 카드사 중 가장 많았다.연간 3000만 장 이상 수용 가능한 카드 발급 인프라도 갖추고 있다. 자체 공정 및 재고관리시스템을 통해 고객사 맞춤형 카드 플레이트 제작부터 고객 발송까지 실물 카드 발급과 관리에 필요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또한 글로벌 브랜드 네트워크와 제휴 업무 노하우를 토대로 고객사를 대신해 해외겸용 카드 발급에 필요한 업무도 대신 수행하고 있다. 고객사는 BC카드와 협력을 통해 오프라인 사용처를 해외로도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고객사는 업종과 규모에 관계없이 BC카드의 개방형 API를 통해 카드 발급 및 결제 서비스에 필요한 인프라를 비용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실제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한패스 △지머니트랜스 등 국내 주요 핀테크 기업들도 BC카드와 손잡고 자사 선불전자지급수단 기반의 카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김호정 BC카드 상무(영업 그룹장)는 “BC카드가 보유한 국내 최대 규모의 결제 인프라는 선불전자지급수단 활성화가 필요한 핀테크사에게 최적의 솔루션이다”며 “앞으로도 BC카드는 차별화된 프로세싱 기술력과 노하우로 고객사의 결제 비즈니스를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
2025-04-08▲ SK일렉링크 급속 충전기[출처=SK일렉링크]SK일렉링크(대표 조형기)에 따르면 2025년 서울특별시 전기차 급속충전시설 보급 및 설치·관리 운영을 위한 사업자로 선정됐다.전기차 충전업계를 선도하는 SK일렉링크가 5년 연속 서울시 전기차 급속 충전시설 구축 사업을 맡게 됐다. 이달 초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된 것이다.기업 신용도와 충전 서비스 운영 실적, 보유 충전기 사양, 고객 지원 및 운영 관리 현황 등 평가항목에 따라 SK일렉링크 등 6개사가 정해졌다.특히 SK일렉링크는 선정 기업 중 유일하게 2021년부터 5년 연속 서울시 전기차 충전시설 구축 사업자 자리를 유지하는 성과를 거뒀다.서울시의 전기차 충전시설 구축 사업자로 선정되면 서울시가 제안하는 충전기 설치 입지에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시 일정 비율의 보조금을 지원받는다.SK일렉링크는 충전기 구축 이후 운영까지 맡아 전기차 고객의 서울시 관내 주행에 충전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2025년 3월 한국환경공단의 전기차 급속 및 완속 충전시설 구축 사업자로도 선정된 바 있는 SK일렉링크는 이번 서울시 전기차 인프라 구축 사업까지 담당하게 되며 업계를 대표하는 기업으로서의 우수한 기술 및 서비스 경쟁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아울러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 시행 이후 전기차 충전업계 최초로 전자금융업 등록에 성공하는 등 독보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앞으로도 SK일렉링크는 고객 신뢰를 바탕으로 전기차 운행 편의를 제고하는 서비스와 우수한 기술력으로 전기차 충전업계를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
2025-04-08▲ 싱가포르 에어월렉스는 미국 상장을 목표로 해 뱅킹 라이센스 취득 이전 은행을 인수할 계획이다[출처:에어월렉스 홈페이지]2025년 4월8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 싱가포르 에어월렉스는 미국 상장을 목표로 해 뱅킹 라이센스 취득 이전 은행을 인수할 계획이다.말레이시아 유모바일은 엣지포인트 인프라스트럭처와 5G네트워크를 위한 인빌딩 솔루션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스마트시티, 자동화 시스템 등의 분야에 투자한다.◇ 싱가포르 에어월렉스(Airwallex), 뱅킹 라이센스 신청함으로써 영국·미국으로 사업 확장 노려2025년 4월7일 싱가포르 지불플랫폼 에어월렉스(Airwallex)가 영국 뱅킹 라이센스를 신청함으로써 사업 확장을 밝혔다.에어월렉스는 영국이 핀테크 시장에 가장 친화적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사업의 경우 라이센스를 취득하기 이전 은행을 인수할 계획이며 미국 상장을 목표로 한다.에어월렉스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설립돼 싱가포르에 기반을 두고 있다. 2022년 론 파인 캐피탈(Lone Pine Capital)이 포함된 펀딩 라운드 이후 회사 가치는 US$ 56억 달러에 달했다.◇ 말레이시아 유모바일(U Mobile), 엣지포인트 인프라스트럭처와 5G네트워크 사업위해 양해각서(MoU) 체결말레이시아 이동통신사 유모바일(U Mobile)에 따르면 셀타워 기업 엣지포인트 인프라스트럭처(EdgePoint Infrastructure Sdn Bhd)와 양해각서(MoU) 체결해 국내에서 두 번째로 5G네트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2020년 설립된 엣지포인트는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에서 1만5800개의 기지국을 운영하고 있다. 유모바일은 엣지포인트와 인빌딩 솔루션 뿐 아니라 인공지능(AI), 스마트시티, 자동화 시스템 등의 분야에도 투자한다.참고로 유모바일은 5G 인프라 사업에 대해 중국 ZTE Coporation과 화웨이 말레이시아, China Mobile International 등과 협업 중이다.
-
▲ 싱가포르항만공사(PSA)에 따르면 투아스 메가 포트(Tuas Mega Port)에서 2022년 9월부터 공식적으로 연 이래 누적 1000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가 처리됐다[출처=PSA 홈페이지]2025년 2월25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 싱가포르의 투아스 메가 포트는 총 4단계의 절차로 개발해 2040년 완전자동화 항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말레이시아 YTL 커뮤니케이션즈는 불리쉬 에임 그룹과의 합작투자사업을 통해 광섬유 인프라를 개발하며 국내 디지털 혁신을 이끈다.◇ 싱가포르항만공사(PSA), 투아스 메가 포트(Tuas Mega Port)에서 누적 1000만TEU가 처리돼싱가포르항만공사(PSA)에 따르면 투아스 메가 포트(Tuas Mega Port)에서 2022년 9월부터 공식적으로 연 이래 누적 1000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가 처리됐다.현재는 11개의 침상이 운영되고 있다. 총 4단계의 절차로 개발되고 있으며 2027년 1단계가 완료됐을 때 21개의 침상과 연간 2000만TEU를 처리할 수 있다. 2040년까지 완전자동화 항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2024년 싱가포르 내 항구에서의 선박 수송량은 31억1000만 톤(t)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 30억9000만t과 비교해 0.65% 증가해 상하이 다음으로 가장 활발한 컨테이너항으로 거듭났다.◇ 말레이시아 YTL 커뮤니케이션즈, 불리쉬 에임 그룹과 광섬유 인프라 개발 합작 투자 사업 실시말레이시아 YTL Power International Bhd의 자회사 YTL 커뮤니케이션즈(YTL Communications Sdn Bhd)는 불리쉬 에임 그룹(Bullish Aim Group)과 조호르 주에서 광섬유 인프라를 개발하고자 합작 투자 사업을 실시한다.2025년 1분기부터 조호르 주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해 인프라 중복 투자를 줄인다. 저렴하지만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 기승으로 하여금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5G 서비스 등 다양한 기술을 이바지한다.참고로 YTL 커뮤니케이션즈는 모바일 및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 '예스(Yes)'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5G 서비스의 선두주자다.
-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로고[출처=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사장 송병억)에 따르면 2025년 1월7일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사장 김복환, 이하 KIND)와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을 포함한 투자개발형 해외사업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번 업무협약은 갈수록 심해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공공 협력체계를 구축해 향후 해외 환경사업을 개발하고, 사업 추진 기반을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이번 협약으로 각 기관은 △정보공유 및 활용 △국제감축사업 기반 확보 지원 △유망 해외사업에 대한 기관 간 출자·투자 우선 검토 등의 협력을 이어간다.공사는 국가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전담기관으로서 해외 매립시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최적 해결책을 모색 중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시설 설치‧운영 등 해외 투자개발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공사 송병억 사장은 “환경부와 국토부 산하의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전담기관 간 협약을 통해 국가적으로 내실 있는 해외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근간이 마련됐다”고 전했다.
-
▲ Facility E 위치도[출처=삼성물산]삼성물산 건설부문(대표이사 오세철, 이하 삼성물산)에 따르면 카타르 수전력청 카라마(KAHRAMAA)가 발주한 카타르 Facility E 담수복합발전 프로젝트를 수주해 건설 설계, 구매, 시공(EPC)을 수행하게 된다.EPC 금액만 US$ 28억4000만 달러, 기준 환율 (1398.2원) 적용시 3조9709억 원에 이르는 프로젝트로 삼성물산이 단독으로 수행한다.삼성물산이 수주한 카타르 Facility E 담수복합발전 프로젝트는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한국남부발전, 일본 스미토모상사 등이 컨소시엄 사업자로 선정됐다.이번 프로젝트는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남동쪽으로 약 18킬로미터(km) 떨어진 라스 아부 폰타스 지역에 최대 2400메가와트(MW) 규모의 전력을 생산하는 복합화력발전소와 1일 평균 50만 톤(t)의 물을 생산하는 대규모 담수복합발전을 건설하는 사업이다.총 사업비만 37억 달러에 이르며 2029년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카타르 전체 전력량의 약 16%와 담수량의 17%를 담당하게 된다.이번 Facility E를 건설하는 지역 인근에 유사한 규모의 담수복합발전과 담수화 플랜트 확장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발주처와 확고한 파트너십과 신뢰 관계를 구축했다.카타르 최대 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비롯해 2조8000억 원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공사를 수행하면서 카타르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특히 카타르 정부가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 설비 용량을 확대할 계획이어서 향후 추가 수주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삼성물산은 현재 아랍에미리트(UAE) 푸자이라 F3 복합화력발전을 비롯해 사우디 아라비아에서도 아미랄과 타나집 복합화력 등 다수의 발전플랜트를 수행하고 있다.최근에도 미국 자치령인 괌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등 글로벌 발전분야 리딩플레이어로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삼성물산 이병수 에너지솔루션사업부장(부사장)은 “카타르 국가 인프라 사업이다 보니 기존 수행 경험과 이를 통한 확고한 신뢰구축이 프로젝트 수주에 큰 역할을 했다.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마무리해 안정적인 전력과 담수 공급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
2024-09-19▲ 중국 레노버(Lenovo), 인도 벵갈루루에 연구개발(R&D) 센터 열어[출처=레노버 홈페이지]2024년 9월19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인도 TPREL(Tata Power Renewable Energy)은 MSEDL과 함께 총용량 400메가와트(MW)를 차지하는 하이브리드형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파키스탄 펀잡 주정부는 라호르에서 진행할 공립 학교 개편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중국 레노버(Lenovo), 2025년부터 인도에서 연간 인공지능(AI) 기반 GPU 서버 5만 대 생산 계획인도 타타 파워(Tata Power)의 자회사 TPREL(Tata Power Renewable Energy)은 전기개발업체 MSEDL(Maharashtra State Electricity Distribution)과 함께 총 400메가와트(MW)에 달하는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를 2년 내로 완수한다.태양광과 풍력 발전을 합친 하이브리드형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전기는 MSEDCL에게로 공급된다. 이를 통해 연간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약 8억9500만 킬로그램(kg)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중국 PC 제조업체 레노버(Lenovo) 인도 법인에 따르면 연구개발(R&D) 센터를 벵갈루루에 설립한다. 시스템의 설계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맡는다.2025년부터 기존 푸두체리 지역 시설에서 매년 인공지능(AI) 기반 그래픽 처리장치(GPU) 서버 5만 대·고급 GPU 2400대를 생산한다. 이중 60%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수출한다.◇ 파키스탄 정부, 아시아개발은행(ADB)과 인프라 개발 사업위해 총 US$ 7억2000만 달러 계약 체결파키스탄 정부는 아시아개발은행(ADB)과 신드 주 주택 재건축 프로젝트 및 농촌 도로 개발 프로젝트를 위해 US$ 7억2000만 달러 상당의 계약을 체결했다. ADB는 파키스탄 홍수 피해에 대한 복구 및 지원을 약속한 바 있다.펀잡 주정부는 라호르에서 공립 학교 개편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Rs 400억 루피를 절약하고 7만 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스포츠 영재 교실을 도입하고 여자아이들의 교육적인 접근을 위해 교통시설을 마련한다. 프로그램에 대한 라이센스를 배포해 타 지역에서도 유치원을 개교할 계획이다.
-
2024-07-19▲ 한국수자원공사 홈페이지'물이 여는 미래, 물로 나누는 행복'을 추구하는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2024년 7월18일 캄보디아와 물·에너지·도시 분야 협력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주한 캄보디아대사관에서 찌링 보퉁 랑세이(Chring Botumrangsay) 대사를 만나 양국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2024년 5월 한국에 국빈 방문했던 훈 마넷(Hun manet) 캄보디아 총리와 면담의 후속 조치다. K-water는 지난 총리 면담에서 캄보디아의 물 문제 해소 및 전략적 도시개발 방향인 ‘국가 통합 물관리와 새로운 번영’ 사업을 제안했다.캄보디아는 ‘K-water의 Water-Energy-City’ 패키지 사업을 통해 홍수 예방 및 유량조절 등 유역 간 연결 수로 인프라 구축사업을 시작으로 오스라 소수력 개발사업, 프놈펜 도시개발 사업 등을 추진하길 희망한다.양국의 협력은 현재 추진 중인 캄보디아 전역 수자원 인프라 구축 마스터플랜, 프놈펜 스마트물관리 시스템 구축사업 등으로 확장될 가능성도 높다.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한국수자원공사는 통합물관리부터 수변도시 조성까지 그간 축적한 다양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중점협력국인 캄보디아의 물 안보 증진과 국가 경제 성장 목표에 기여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참고로 K-water는 1999년부터 메콩강 수자원조사 사업을 시작으로 2024년 프놈펜 지역 스마트물관리 시스템 구축사업에 착수했다.
-
나이지리아 제분 및 식품 제조사인 BUA 푸드(BUA Foods)에 따르면 2022년 하반기 쌀 생산 및 쌀 식품 사업을 다시 시작할 계획이다. 쌀 식품 사업은 1일 480MT 규모로 재개될 예정이며 향후 1일 총 2700MT 규모로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BUA 푸드의 사업 구조에서 회사 전체 사업부 5곳 중 설탕, 밀가루, 파스타 등 3곳이 운영되고 있다. 2022년 연말 새로운 밀가루 쌀, 파스타 제조를 위한 공장이 완공될 예정이다. 쌀 식품 사업부는 2022년 연말 전에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식용유 사업부도 가동을 재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2021년 11월 마감 기준 지난 11개월 동안 BUA 푸드는 58%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생산원가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29.5%의 이윤 마진을 달성했다. 2020년 세전이익은 496억나이라에서 2021년 788억나이라로 증가했다. BUA 푸드는 식품, 인프라, 광업, 제조 대기업인 BUA 그룹(BUA Group)의 자회사이다.▲BUA 푸드(BUA Foods) 홈페이지
-
2021-07-08미국 상업용 드론 시장조사업체 드론애널리스트(DroneAnalyst, 이하 DA)에 따르면 드론 사업자의 약 70%가 연매출 US$ 5만달러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지난해 DA 분석팀은 468개의 드론 서비스 제공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참여기업 중 50%는 개인사업자였으며, 20%는 부가 직업으로서만 사업을 유지하고 있었다.조사결과, 전체 응답자 중 70.4%가 연매출 5만달러 미만인 것으로 드러났다. 5만~10만달러는 12.8%, 10만~50만달러는 11.8%, 50만달러 이상은 5.0%로 각각 집계됐다.설문조사에 참여한 대형기업이 전체 중 10%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도 드론 사업으로 큰 수익을 보는 업체는 적었다. 가장 많은 구간인 5만달러는 미국의 평균 가구소득인 6만8000달러에 못미쳤다.분석팀은 이번 조사 결과를 두 가지 측면으로 해석했다. 상업용 드론의 기술 발전으로 인한 제품의 가격 상승과, 청년 사업가의 시장 진입과 퇴출이 단기간에 이뤄졌을 것으로 분석했다.또한, 이러한 상업용 드론의 시장 동향을 토대로 향후 연매출 10만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할 주요 3가지 부문을 제시했다. 바로 측량 및 매핑, 항공사진·영상, 유틸리티 인프라 검사다.2016년부터 수집한 드론 사업 데이터를 종합해보면 측량 및 매핑 분야가 가장 높은 성장성을 갖춘 사업으로 지목된다. 현재 정부, 기업, 대학에서도 측량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글로벌 드론 산업을 연구하는 국가정보전략연구소는 "현재의 매출 기준만 놓고 드론 사업을 평가할 수는 없다“면서 “지금은 성장 산업으로 가기 위한 준비단계로 시장 상황은 물론 글로벌 국가의 제도적 동향도 살펴야 한다”고 주장했다.▲2020년 기준 드론 서비스 제공업체의 연매출 그래프(출처 : 드론애널리스트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