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블랙박스"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전기전자 대기업인 NEC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전기전자 대기업인 NEC에 따르면 2023년 12월4일 생성 인공지능(AI)으로 동영상을 인식해 문장으로 표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AI가 동영상의 내용을 보지 않고 인식해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생성형 AI는 말이나 이미지와 달리 정보량이 많은 동영상을 인식해야 하므로 기술적 난이도가 높다.100개가 넘는 AI가 협력해 동영상에서 인물, 물건 등을 인식한다. 인식 결과는 생성 AI가 정리해 문장에 정돈하는 방식을 적용했다.NEC가 개발한 생성 AI 기술을 활용하면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 동영상에서 교통사고의 원인도 분석할 수 있다.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로 보고서를 작성해 제공한다.건설 현장에서 작업 내용이나 과정을 모두 동영상으로 촬영한 후에 문서로 만드는 것도 가능해진다. 기존에 동양상을 분석하는 기술과는 차별화돼 활용 분야가 대폭 넓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2021-12-30영국 정부에 따르면 2022년부터 교통 및 운전 법규 등에 대한 새로운 규제들이 전국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운전 중에는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으며 문자 읽기도 금지된다.휴대폰으로 셀카 및 동영상 촬영, 노래 및 음악 바꾸기 등도 허용되지 않는다. 신호 대기를 위해 잠시 운전을 하지 않고 있는 동안에도 휴대폰에 대한 상기 사항들은 금지된다. 2022년 1월 중순부터 시행된다.흔히 도로세로 불리는 차량 배출세(VED)도 인상된다. 2022년 4월 중순에 시행될 예정이다. 1km당 0g의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하는 사람은 제로(0)파운드를 납부한다. 1km당 1g에서 50g 사이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대부분의 디젤 운전자(하이브리드 포함)는 첫 12개월 동안 10파운드를 납부할 것으로 예상된다.2021년 예산안은 휘발유나 경유 1리터당 내는 연료세를 동결하기로 확정했다. 연료세는 지난 10년 동안 그랬던 것처럼 1리터당 57.95펜스를 유지할 것이다.그러나 휘발유 가격은 기록적인 수준으로 계속 상승하고 있다. 새해에도 역시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돼 운전자들의 부담이 커질 것이다.2022년 7월 6일부터 신차에는 도로안전 향상을 위해 차량의 속도제한장치가 설치된다. 지능형속도지원(ISA) 블랙박스는 GPS를 이용해 제한속도를 알아낸 뒤 차량이 이를 어기지 않도록 통제한다.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가 2019년 유럽 의회에서 승인한 일반 안전 규정에 새로운 규정을 도입할 예정이다.2022년 7월 6일부터 '형식승인'을 받으면 모든 신모델에 지능형속도지원(ISA) 블랙박스 설치가 의무화된다. 이는 이미 생산 중인 신차가 아닌, 해당 날짜부터 출시되는 신차를 의미한다.▲정부 홈페이지
-
2018-08-26미국 MIT대학에 따르면 잠수함에서 비행기로 이메일을 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로선 비행기가 수중에서 보내는 소나(sonar) 신호를 잡을 수 없다.잠수함에서 보내는 신호는 물의 표면에 반사되면서 표면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때문에 MIT대학의 과학자들은 물속의 작은 파장도 탐지할 수 있는 초고주파 레이더를 개발했다.현재 잠수함은 소나 파장을 통해 다른 잠수함과 통신을 할 수 있다. 수중에서는 통신이 자유롭지만 공중에 있는 항공기와는 통신이 어려운 실정이다.또한 잠수함은 메시지를 외부로 보내기 위해서 표면으로 부상해야 하는데 위치를 노출시킬 수 있어 위험하다. 따라서 잠수함은 통상적으로 부표를 이용해 소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무선신호로 전환하도록 한다.MIT대학의 과학자들은 수영장에서 이러한 아이디어를 테스트한 결과 물속에서 보낸 메시지를 공중에서 수신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까지는 기술적 난제가 아직 남아 있다.또한 표면의 파도가 16센티미터(6인치) 이상이면 신호를 감지할 수 없다. 파도가 없거나 표면이 잔잔한 시기에만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파도를 제외하면 다른 날씨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다른 기술적 제약점은 잠수함은 비행기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는 성립하지 않는다. 즉 비행기는 잠수함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과학자들은 바다의 파도가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중이다. 미래에는 비행기나 드론(drone)이 바다에 추락한 항공기의 블랙박스(black box)를 찾는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IT대학 전경(출처 : 홈페이지)
-
2016-11-14러시아 정부에 따르면 차량에 블랙박스를 장착해 교통 흐름을 관리하기로 결정했다. 지능형 텔리매틱스시스템(ITS) 설치해 차량의 위치나 이동을 관리하는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다.현재 모스크바, 상테페테르부르크, 카잔 등지에서 ITS를 설치하고 있는 중이다. 러시아는 미국의 GPS와는 별도로 '글로나스(GLONASS)' 위성항법시스템을 구축해 운용하고 있다.
-
일본 손해보험재팬(損保ジャパン日本興亜)은 2016년 8월10일 자동차 블랙박스에서 위험운전영상을 자동으로 추출가능한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해당 서비스는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기 때문에 직접 보는 것에 비해 작업시간을 1/6 단축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가격은 기록매체 1장당 1만 엔이며 연간 200개사의 수주를 목표로 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