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면세품"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7-03▲ 동아시아·오세아니아 주요 국가[출처=iNIS]2024년 6월 유통·서비스업 분야 중국의 주요 동향은 1분기 해외 전자상거래 수출입 규모 5776억 위안으로 9.6% 증가했으며 1~5월 온라인 소매 매출은 5조7700억 위안을 기록했다.5월 일본의 전국백화점 매출액은 4692억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4% 늘어났으며 2014년 상반기 홍콩에서 10개 브랜드가 철수한다고 밝혔다.[중국] 상무부(商务部), 2024년 1분기 해외 전자상거래 수출입 규모 5776억 위안으로 9.6% 증가... 이 중 수출규모 4480억 위안으로 14% 증가, 지난 10년간 국경 간 전자상거래 규모 10배 이상 확대됐으며 전자상거래 주체 12만개, 전자상거래 산업단지 1000개 이상, 해외창고 2500개 등[중국] 상무부(商务部), 1~5월 온라인 소매 매출 5조77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 상무부의 더블 상품 쇼핑 페시티벌 개최 주도, 618행사를 통한 매출 증대[일본] 정부, 쿨 재팬(クールジャパン) 전략 5년만에 재가동해 2033년까지 현재 대비 4배인 20조 엔 목표… 애니메이션과 만화 등 콘텐츠의 해외 판매 강화[일본] 일본백화점협회(日本百貨店協会), 5월 전국백화점 매출액 4692억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4% 증가, 면세품 매출액 718억 엔으로 약 33배 성장… 시계, 보석품, 브랜드 제품 등의 판매 증가 및 외출 기회, 기온 상승 등으로 여름 의류 판매 확대[홍콩] 2024년 상반기 홍콩에서 철수하는 10개 브랜드... Bershka(6월16일), PAUL & JOE(6월30일), Café de JarGor(6월12), Tsuen Fung Lo Mein(1월말에서 2025년 7월로 연기), Yuen Long Liangkou Snacks(5월) 등[대만] 장롱(長榮)·양밍(陽明)·완하이(萬海) 등 컨테이너 3사, 5월 매출 전년 동기 대비 연간 증가율 40% 증가… 5월 연결수익 장롱 321억6000만 위안, 양밍 169억2500만 위안, 완하이 114억5400만 위안, 1~5월 장롱 1526억1200만 위안, 양밍 756억7100만 위안, 완하이 491억7900만 위안[대만] 츠이화공구(Tsui Wah Holdings), 3월 말기준 연간 이익 NT$ 4200만 달러 전망… 중국, 마카오 사업이 전염병 이전으로 회복 영향, 전년 동기 이익 6060만 달러 대비 낮으나 부동산 매각 이익 제외한 2360만 달러 손실 대비 큰폭 회복[마카오] 통계국, 1~4월 총 방문자 1147만6474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9% 증가해 2019년 코로나19 이전 대비 83.2% 회복... 1~3월 총 지출액은 203.5억 파타카로 전년 동기 대비 35.9% 증가[뉴질랜드] TVNZ(Television New Zealand), 6월30일 회계 기준 NZ$ 2800만~3300만 달러 재정손실 예상… 1560만 달러 예측 대비 최대 2배 이상 손실 확대[뉴질랜드] 노동법원(Employment Court), TVNZ가 단체협약을 위반했다고 판결 및 근무일 기준 20일 내 단체 협약 준수 명령, 따라서 TVNZ 임원은 노조원들에게 사과 및 책임 인정… TVNZ, 3월 광고 수익 감소로 NZ$ 1000만 달러 절약 목적으로 Sunday와 Fair Go 포함 프로그램 취소 및 약 70명 직원 정리해고 통보, 직원과 협의 못해 외부 법적 비용 27만5800달러 지출▲ 박재희 기자[출처=iNIS]
-
▲ 일본백화점협회(日本百貨店協会)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일본백화점협회(日本百貨店協会)에 따르면 2024년 3월 전국백화점 매출액은 5109억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9.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3월은 기온이 낮은 날이 많아 봄 상품의 판매가 고전했지만 브랜드 상품, 시계 등 고액 상품, 졸업과 입학 등에 관련된 상품의 판매가 호조를 보였다.3월 면세품 매출액은 495억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240% 확대됐다. 단월 매출로 보면 조사를 시작한 2014년 이후 최고치로 기록됐다.엔화의 약세로 해외 여행객의 일본 여행 수요가 확대된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봄철에는 다양한 봄꽃 축제가 벌어지므로 여행 수요가 높은 편이다.일본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이 시작되기 이전인 2019년보다 더 많은 관광객 5000만 시대를 열기 위해 다양한 진흥책을 펼치고 있다.
-
▲ 일본백화점협회(日本百貨店協会)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일본 일반사단법인인 일본백화점협회(日本百貨店協会)에 따르면 2023년 전국 백화점의 전체 매출액은 5조4211억 엔으로 전년 대비 9.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하지만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3% 적은 금액이다. 도쿄 등 수도권 뿐 아니라 지방의 점포도 매출이 점점 회복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2023년 전국 백화점의 면세품 판매액은 3484억 엔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외국인 방문객수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 비해 줄어들었지만 고가 품목의 판매가 증가한 것이 주요인이다.백화점 고객을 국가별로 분석하면 중국인의 비중은 2019년까지 약 70에 달했지만 2023년에는 약 50%까지 축소됐다. 반면에 동남아시아, 한국, 미국, 유럽 등의 방문객이 늘어났다.2024년 백화점의 매출액은 외국인 여행객이 들어오는 인바운드 수요가 강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긍정적으로 전망된다. 엔저의 영향도 해외 여행객의 유입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
중국 해관총서(General Administration of Customs, GAC)에 따르면 2020년 7월 하이난성 면세품 판매액이 $US 3억178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34.19% 급증했다.지난 7월 1일 면세 쇼핑 쿼트량 확대 시행 첫 달에 약 2억8100만명이 하이난성을 방문해 면세품을 구해했기 때문이다. 전년 동월 대비 방문객이 42.71% 늘어났다.하이난 지역에 면세점은 싼야 하이탕 베이 면세점(Sanya Haitang Bay Duty Free Shops), 하이커우 메이란 공항 면세점(Haikou Meilan Airport Duty Free Shops), 선문프라자 면세점(Sun Moon Plaza Duty Free Shops), 충하이 보아오 동규 아이슬랜드 면세점(Qionghai Boao Dongyu Island Duty Free Shops) 등 4곳이 있다.참고로 중국 정부는 체제에 반발하는 홍콩 대신에 하이난섬을 경제특구로 개발할 계획이다. 하지만 홍콩 소재 글로벌 기업들은 싱가포르 등으로 이전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GAC♦ 해관총서(General Administration of Customs, GAC) 홈페이지
-
인도 사전승인국(AAR)에 따르면 2018년 4월 30일 국내 16개 국제공항 내의 면세점 물품가격 인상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예정이다.국제승객에 대한 우려로 인해 적어도 즉시 가격이 급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이다. 국제공항의 면세점 물품은 물품서비스세(GST) 영향을 아직까지는 받지 않고 있다.면세점 내의 주류, 제과, 향수, 담배 등 브랜드 물품의 가격은 시세와 대비해 30~40% 낮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사전승인국의 결정이 시행될 경우 물품가격은 9~14% 정도 오를 수 있다.가격인상으로 인한 면세점의 경쟁력이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국내 면세점 시장 규모는 US$ 2억달러 혹은 130억루피에 달한다.▲재정부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