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디지털 미디어"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25▲ 하만 인터내셔널 로고[출처=하만 인터내셔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전액 출자 자회사로 커넥티드 기술에 주력하고 있는 하만 인터내셔널(HARMAN International)이 KT 알티미디어(KT altimedia)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KT 알티미디어는 미들웨어, 콘텐츠 보안, 사용자 경험 및 클라우드 기반 UI를 전문으로 하는 국내 최고의 페이TV(PayTV) 사업자 대상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 솔루션 제공업체다.하만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 사업부가 주도하는 이번 파트너십은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의 혁신을 주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페이TV 솔루션의 확장을 가속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하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은 글로벌 미디어 기술 분야에서 수십 년간 쌓아온 전문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디어 트렌드와 최첨단 솔루션을 소개하기 위해 업계와 긴밀한 관계를 활용하고 있다.하만은 페이TV 경험을 향상하고 콘텐츠 보안을 개선하며 미디어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하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 총괄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인 비카스 굽타(Vikas Gupta)는 “KT 알티미디어와의 파트너십은 페이TV 경험을 재정의하고 미디어 혁신을 가속화하는 데 있어 흥미로운 진전이다”며 “하만의 기술 전문성과 KT 알티미디어의 업계 선도적인 미디어 서비스를 결합하여 디지털 미디어의 미래를 만들어갈 최첨단 확장형 솔루션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KT 알티미디어 최고경영자 박도사는 “하만과 전략적 협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차세대 페이TV 솔루션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그는 “KT 알티미디어는 미디어 플랫폼 기술 및 서비스 혁신에 대한 다년간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하만과 함께 유연한 첨단 솔루션을 제공해 고객의 기대를 뛰어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을 창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번 파트너십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선도하려는 하만의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한다. 하만과 KT 알티미디어는 양사의 강점을 활용하여 발전하는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차세대 페이TV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하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은 물리적인 것과 디지털을 결합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인간의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을 더욱 역동적으로 만드는 일에 전념하고 있다.전 세계 45개 이상의 지역에서 7000명 이상의 직원이 일상의 경험을 혁신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하만은 국제 표준/경영 시스템 EN 9100:2018 / AS9100D, ISO 9001:2015, ISO 27001:2013, ISO 13485:2016을 준수하고 인증을 받았으며 CMMI-DEV 2.0 ML5의 평가를 받았다.고객과 협력해 총체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크로스 채널 사용자 경험, 클라우드, 모빌리티, 인사이트 데이터 및 확장 가능한 기본 IT 플랫폼으로 뒷받침되는 사물 인터넷의 융합을 추진하고 있다.우리의 글로벌 제공 방식, IP, 플랫폼 및 인력을 통해 차세대 플랫폼을 배포하는 한편 비용 효율성과 혁신적인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해 뛰어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999년 설립된 KT 알티미디어(KT altimedia)는 전 세계 페이TV 사업자를 대상으로 엔드투엔드 멀티미디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한민국 대표 미디어 플랫폼 기업이다.셋톱박스 및 모바일용 디바이스 플랫폼부터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기반 UI/UX, 보안 콘텐츠 보호 시스템(CAS/DRM)에 이르기까지 독자적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통합 서비스를 공급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위한 강력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아시아 및 유럽 전역의 주요 방송 및 통신 사업자들이 KT 알티미디어의 솔루션을 도입해 사업 확장과 운영 효율화를 실현하고 있다.KT 알티미디어의 첨단 보안 시스템, UI 관리 시스템, 원격 관리 솔루션을 통해 사업자들은 변화하는 시장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동시에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성, 유연성, 비용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앞으로도 KT 알티미디어는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미디어 혁신을 선도하며 미디어 서비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하는 페이TV 사업자의 전략적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이다.하만(harman.com)은 커넥티드 카 시스템, 오디오 및 비주얼 제품, 기업 자동화 솔루션, 사물 인터넷 지원 서비스 등 전 세계 자동차 제조업체, 소비자, 기업을 위한 커넥티드 제품 및 솔루션을 설계 및 엔지니어링한다.AKG®, Harman Kardon®, Infinity®, JBL®, Lexicon®, Mark Levinson®, Revel® 등 주요 브랜드를 보유한 하만은 전 세계 오디오 애호가, 뮤지션 및 이들이 공연하는 엔터테인먼트 공연장으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다.현재 도로 위를 달리는 5000만 대 이상의 자동차에 하만 오디오 및 커넥티드 카 시스템이 장착돼 있다. 하만의 소프트웨어 서비스는 직장과 가정, 자동차, 모바일 등 모든 플랫폼에 걸쳐 연결 및 통합되어 있다.안전한 수십억 개의 모바일 장치와 시스템을 지원한다. 하만은 미주, 유럽, 아시아 전역에 약 3만 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2017년 하만은 삼성전자의 완전 자회사로 전환됐다.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
인도 시장조사업체인 자이언 마켓 리서치(Zion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2020년 세계 디지털 전환 시장 규모는 US$ 3748억달러에 도달했다.2021년부터 2028년까지 세계 디지털 전환 시장 규모는 연평균 성장률(CAGR) 11.3%로 성장해 2028년 8898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전환 시장은 정부, 은행 및 금융 서비스, 정보통신, 의료, 제조, 소매, 기타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빅 데이터, 모빌리티, 소셜 미디어 등이다. 솔루션 측면에서 디지털 전환 시장은 클라우드 컴퓨팅, 빅 데이터, 모빌리티, 소셜 미디어로 분류된다. 전개 및 배치 등의 구축을 기반으로 디지털 전환 시장은 기관 내부 및 사내 시스템으로 분리되고 호스팅된다.세계 디지털 전환 시장은 응용 분야에 따라 정부·공공 부문, 교통·물류, 통신·정보통신, 은행·금융서비스·보험(BFSI), 자동차·소매·제조 등으로 분류된다.지역 세분화는 아시아 태평양, 중동 및 아프리카, 북미, 유럽, 라틴 아메리카 등으로 디지털 전환 시장에서의 현재 수요와 예측 수요로 구성된다.2022년 현재까지 소매 디지털 전환 시장은 북미 지역이 장악해왔다. 증가하는 온라인 결제 옵션, 높은 인터넷 보급률 등은 소매 디지털 정보에 대한 지역 내 디지털 전환 시장의 수요를 증가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아시아 태평양 전역에서 중소기업의 수요 증가와 급증하는 서비스 부문이 디지털 전환 시장의 미래 순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자이언 마켓 리서치(Zion Market Research) 로고
-
2021-12-14미국 매스 미디어 기업인 복스 미디어(Vox Media)에 따르면 또 다른 동종 미디어 기업인 그룹 나인 미디어(Group Nine Media)와 합병 계약에 서명했다.재무사항 등 자세한 내용은 공개 되지 않았으며 2022년 초에 합병을 완료할 계획이다. 합병회사의 주식 75%는 복스 미디어 주주들이 소유하게 되며 복스 미디어 CEO Jim Bankoff가 운영을 총괄한다.그룹 나인 미디어의 CEO Ben Lerer는 합병회사의 이사회에 합류할 예정이다. 참고로 복스 미디어는 New York magazine, Vox.com, Eater, The Verge, SB Nation 등을 소유하고 있다.그룹 나인 미디어는 Thrillist, The Dodo, NowThis, PopSugar 등을 소유하고 있다. 양사의 합병으로 거대한 미디어 그룹이 탄생한 셈이다.▲ 복스 미디어(Vox Media) 홈페이지
-
미국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메타(Meta)에 따르면 나이지리아에서 최대 US$ 3만달러의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크리에이터'를 선발할 계획이다.지원자는 아프리카 혈통인 18세 이상으로 현재 아프리카 대륙에 거주하고 있어야 한다. 확장현실(XR) 콘텐츠 제작 실적이 있고 창의성과 혁신을 보여주는 업무 포트폴리오를 갖춰야 한다.참가 신청은 2021년 12월 6일에 시작해 2022년 1월 7일에 마감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2022년 2월 13일부터 8월 13일까지 운영된다. 제안된 프로젝트는 6개월 이내에 완료돼야 한다.확장현실(XR)은 스토리텔링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메타버스(Metaverse)에서는 관객이 단지 이야기가 전개되는 것을 보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은 그 안에서 살게 된다.이것은 아프리카 콘텐츠 제작자들이 그들의 창의성과 혁신의 경계를 허물 수 있는 기회이다. 확장현실(XR)은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등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가상과 현실이 밀접하게 연결된 환경을 의미한다. 새로운 캠페인은 나이지리아에서 여러 산업에 걸쳐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고 영향력있는 일을 하기 위해 메타의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 이면에 있는 사람들의 고무적인 이야기를 조명하려고 한다. 이러한 캠페인은 개인화된 광고가 페이스북(Facebook)과 인스타그램(Instagram) 등에서 소규모 기업을 발견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강조한다. 이러한 광고들을 활용해 소기업들은 디지털 방식으로 그들의 사업을 아이디어에서 생업으로 성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메타(Meta) 홈페이지
-
2021-11-16홍콩 게임 소프트웨어 및 벤처 캐피탈업체 애니모카(Animoca Brands)에 따르면 한국 음반사 큐브 엔터테인먼트(Cube Entertainment)와 'K-Pop 메타버스(K-Pop Metaverse)'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 인기 배우와 K-Pop 뮤지션을 기념하는 멀티미디어 NFT를 만들 계획이다. 아티스트 초상화, 앨범 아트, 정규앨범과 같은 디지털 음원 등도 포함된다.이번 협업을 통해 큐브엔터테인먼트의 아티스트와 팬 모두에게 진정한 디지털 재산권, 기타 블록체인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애니모카는 2020년 포뮬라 1(Formula 1)과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해 F1 델타 타임(F1 Delta Time) 게임을 출시했다.2020년 말 바이낸스(Binace)가 주최한 초기 거래소에서 메타버스 자회사 샌드박스(Sandbox)의 가상 토지 NFT를 US$ 300만달러 규모로 판매했다.2021년 11월 초 샌드박스는 NFT 메타버스 확장을 위해 9300만달러를 추가로 모금하기도 했다. 또한 2020년 포뮬라 1과 계약해 F1 델타 타임 게임을 론칭했다.▲ 애니모카(Animoca Brands) 홈페이지
-
영국 입법위원회인 디지털문화미디어스포츠위원회(Digital, Culture, Media and Sport Committee)에 따르면 정부가 약속한 '2025년까지 광대역 및 5G 목표' 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한다.정부는 2025년까지 전국의 85%에 기가비트가 지원되는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약속된 £50억파운드의 자금 중 25%만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목표치를 축소했다.정부의 이번 목표치 감축이 효과적인 계획의 부족을 인지하는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내의 이동통신사들은 2020년 12월 31일 이후 중국 화웨이(Huawei) 5G 장비의 사용이 금지됐다.또한 2027년까지 모든 중국 기업들의 5G 키트를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네트워크에서 제거해야 한다. 상기 법안으로 인해 최소 2년 이상 5G 출시가 지연되고 추가 비용은 최대 20억파운드로 전망된다.▲디지털문화미디어스포츠위원회(Digital, Culture, Media and Sport Committee) 홈페이지
-
2013-07-08태광그룹(이하 태광)은 창업자인 이임용 회장이 1950년 동양실업을 인수해 1954년 설립한 태광산업사가 모태로 1961년 태광산업으로 사명을 바꿨다. 1970년대 섬유업체로 급성장 했으며, 금융업 진출을 위해 흥국생명을 인수했다.1996년 3남 이호진 회장이 경영을 맡아 태광을 이끌어 왔으나, 2012년 무자료 거래, 회계 부정처리, 임금 허위지급 등 횡령과 배임혐의로 구속되면서 회장직에서 물러 났다.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사회공헌활동을 강화하고 있지만 간판기업인 태광산업이 적자를 내는 등 경영악화가 심화되고 있어 그룹의 미래를 낙관하기 어렵다. ◇ 태광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태광은 국내 47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계열사는 표1와 같이 석유화학/섬유, 금융, 방송통신, 레저/서비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태광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석유화학/섬유부문 계열사는 태광산업, 대한화섬 등이 있다. 태광산업은 석유화학, 섬유, 임대업 등을 한다. 석유화학 사업은 PTA, AN등을 생산하고, 섬유사업은 화섬사 및 직물 등을 생산한다. 대한화섬은 1963년 대한합성섬유로 설립되어 1968년 상호가 변경되었다. 주요사업은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 및 판매다. 기업의 규모∙매출∙이익 등을 고려해 태광산업을 평가 대상으로 했다.금융 계열부문 계열사는 흥국생명보험, 흥국화재해상보험, 흥국자산운용, 흥국증권, 고려저축은행, 예가람저축은행 등이 있다. 인보험 및 재보험 계약 등의 사업을 하는 흥국생명보험은 1950년에 설립되어 1973년 태광그룹에 인수됐다.흥국화재해상보험은 1948년 설립된 고려화재해상보험이 모태다. 1959년 쌍용그룹 편입, 2002년 쌍용 계열 분리, 2006년 태광 편입 및 같은 해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다. 주요사업은 화재보험, 해상보험, 자동차보험, 보증보험, 해외원보험, 장기보험, 개인연금 등 손해보험 상품의 개발, 판매 등이다.흥국자산운용은 1999년 설립되어 투자자문 및 투자일임업을 한다. 흥국증권은 유가증권 위탁매매, 유가증권매매의 중개 및 대리업을 목적으로 2000년 피데스증권중개로 설립되어 2009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다. 매출 및 종업원 수 등을 고려해 흥국생명보험, 흥국화재해상보험을 평가했다.방송통신부문 계열사는 티브로드홀딩스, 큐릭스홀딩스, 티캐스트, 한국케이블텔레콤, 한국디지털케이블미디어센터 등이 있다. 경영 효율화를 위해 2003년 9월 30일자로 티브로드한빛방송, 티브로드기남방송, 티브로드전주방송, 티브로드낙동방송, 티브로드새롬방송, 티브로드강서방송, 대평유선 등 7개사를 흡수∙합병하기로 결정했다.유선방송 서비스 업체인 큐릭스 인수 당시 로비 및 심의 과정의 문제 등 의혹이 일어났지만 규명되지는 않았다. 방송통신계열은 시장의 지배적 사업자이지만 매출이나 직원 수가 적어 평가대상에서 제외했다.레저/서비스부문 계열사는 태광관광개발, 한국도서보급, 티시스 등이 있다. 티시스는 그룹의 IT서비스업을 전담하고 있다. 골프장을 운영하는 동림관광개발, 자산관리회사 TRM의 합병절차를 진행하고 있어 유동적이라 평가대상으로 선정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레저/서비스 부문의 계열사는 매출이나 직원 수가 적고 그룹에 기여도도 낮은 편이라 평가를 하지 않았다. ◇ 창업정신에 기반해 5C를 핵심가치로 제시태광은 창업정신의 계승∙발전, 기업문화의 조성을 위한 핵심가치로 5C를 두고 있다. 5C는 Challenge(포기하지 않는 도전정신), Creativity(유연한 사고방식), Cooperation & Synergy(목표를 위한 단결), Communication(자유로운 의사소통), Customer Satisfaction(고객을 위한 마음가짐) 등이다. 태광은 핵심가치를 통해 긍지와 자부심, 변화와 혁신 문화를 전 계열사에 전파하고 있다.태광은 중견그룹이지만 그룹차원의 명확한 인재상과 인재육성전략을 갖고 있지 않아 그룹차원에서 인사제도를 평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평가대상 기업으로 선정된 흥국화재해상보험의 인사제도를 통해 유추해 볼 수 밖에 없다.흥국화재의 인재상은 지식인, 도덕인, 행동인, 사회인이다. 지식인은 끊임없이 자기계발하는 사람, 도덕인은 기본에 충실한 사람, 행동인은 창의성과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사람, 사회인은 고객에게 감동을 주는 사람을 말한다.인재육성전략으로 개인의 자아실현 및 조직 목표달성을 위해 계층별 교육, 직무교육, 각종 자격증 취득 교육 과정 등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종합금융 전문가를 육성하는 FC인재양성과정은 FTC I과정, FTC II과정, ACT I과정, ACT II과정, PRO SALES 과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재육성전략은 다른 보험사와 차별화되지 않는다.흥국화재보험은 요즘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좋은 직장 만들기, ‘Great Work Place’ 의 일환으로 ‘좋은 회사 만들기’를 통해 개인과 조직이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좋은 회사란 ‘출근할 때 기분 좋은 회사’, ‘일할 때 기분 좋은 회사’, ‘월급 탈 때 기분 좋은 회사’, ‘회사 이야기 할 때 기분 좋은 회사’를 말한다. 흥국화재보험이 태광에 인수되지 오래되지 않은 계열사이지만 역사와 전통이 있어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 간판기업인 태광산업은 성장성과 수익성에서 낮은 점수▲ [표2. 평가대상기업의 점수비교]태광은 창업자인 이임용 회장 사후 3남인 이호진이 회장을 승계하고 부인인 이선애 상무가 그룹의 고문역할을 수행했지만 두 사람 모두 횡령과 배임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섬유사업에서 출발해 금융, 방송, 레저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면서 내실 있게 성장했지만 회장이 연루된 사건으로 인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얻게 되었다.간판기업인 태광산업도 지난해에 영업적자를 기록하는 등 그룹 전반적으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다만 금융계열사인 흥국생명과 흥국화재보험이 매출이 늘어나고 영업이익을 꾸준히 내고 있어 위안이 된다.평가대상으로 선정된 3개 기업 중 흥국화재해상보험이 급여와 성장성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 구직자의 입장에서 가장 우수한 기업으로 선정됐다. 흥국생명보험도 흥국화재해상보험보다는 급여가 낮지만 급여와 성장성 측면에서 간판기업인 태광산업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태광산업은 흥국생명보험, 흥국화재해상보험보다는 자기계발 가능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성장성, 수익성에서 낮은 점수를 획득했다. 구직자는 흥국생명, 흥국화재 등 보험관련 금융기업의 경우 상품개발과 같은 특수직무를 제외하고는 자기계발가능성이 낮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구직자가 관심이 높은 평균근속연구와 급여를 보면 태광산업은 평균근속여수는 6.3년이고, 평균연봉은 3,700 만원이다. 본사와 석유사업부의 평균연봉은 높지만 여성근로자가 많은 섬유와 근속연수가 짧은 연구소가 연봉이 낮아 평균연봉을 떨어뜨렸다.흥국생명에 2012년 기준으로 대졸초임이 3,600만 원으로 금융기업으로서는 높은 편은 아니다. 흥국화재해상보험에 평균근속연수는 5.8년, 평균급여액은 4,800만원으로 낮지만 연봉이 낮은 계약직원이 전체인원의 60%에 육박하기 때문이다.- 계속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