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85
" 대비"으로 검색하여,
2,84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HD현대 본사 전경 [출처=HD현대]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조선 부문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대표이사 정기선, 김성준)이 2025년 7월31일(목) 공시발표한 2025년 연결 기준 2분기 매출액이 7조4284억 원을 기록했다.연결기준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3퍼센트(%)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953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3.3% 급증했다.HD한국조선해양은 △조업일수 확대와 생산성 향상 △고선가 선박 매출 비중 확대에 따른 수익성 개선 △엔진기계 부문의 매출 증가 등 전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나타냈다.사업 부문별로는 조선 부문이 건조 물량 증가와 선가 상승분 매출 반영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9.3%, 영업이익 104.5% 증가한 각각 6조2549억 원, 8056억 원을 기록했다.엔진기계 부문은 글로벌 친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 수요 확대와 인도 물량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29.6% 증가한 7740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 영업이익은 120.7% 증가한 2011억 원을 기록했다.해양플랜트 부문도 주요 프로젝트 매출 인식 확대와 수익성 개선 등이 반영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56.9% 증가한 2479억 원의 매출과 375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계열사 별로는 HD현대중공업이 매출 4조1471억 원, 영업이익 4715억 원을 기록하며 실적 성장을 주도했다. HD현대삼호와 HD현대미포도 각각 매출 2조1187억 원과 1조2345억 원, 영업이익 3717억 원과 894억 원을 기록했다.HD현대마린엔진은 고부가가치 엔진의 매출 비중 확대와 판매가격 상승, 생산 효율성 개선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6.7%, 영업이익 91.2% 증가한 각각 993억 원, 174억 원을 기록했다.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매출 1337억 원, 영업이익 151억 원을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국내외 시장에서의 태양광 모듈 판매 확대와 신규 고효율 모듈의 판매 호
-
2025-08-01▲ HD현대 본사 전경 [출처=HD현대]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2025년 7월31일(목) 발표한 공시 결과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17조211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퍼센트(%) 감소했다. 동 기간 영업이익은 1조138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4% 증가했다.조선 부문의 수익성이 확대되고 전력기기, 건설기계 등 주요 사업 전반에서 견조한 실적을 거둔 데 따른 결과다. HD현대는 상반기 누적으로 연결 기준 매출 34조2980억 원, 영업이익 2조4253억 원을 기록했다.2분기 실적을 주요 사업별로 살펴보면 조선·해양 부문의 HD한국조선해양은 △생산성 개선 △고선가 선박 매출 비중 확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2.3% 증가한 7조4284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53.3% 증가한 9536억 원을 거뒀다.HD현대마린솔루션은 신조 시장 호황세, 친환경 규제 강화 등으로 주력 사업인 AM(After Market) 사업과 디지털솔루션 부문이 성장세를 보였다.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6.8% 늘어난 4677억 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16.9% 증가한 830억 원을 올렸다.건설기계 부문의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신흥시장의 인프라 투자 및 자원개발 수요 확대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한 2조1400억 원을 기록했다.영업이익은 중국 생산법인 통합 등 일회성 비용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한 1514억 원을 기록했다.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시장 맞춤형 제품 공급과 채널 경쟁력 강화 전략을 통해 점유율과 수익성 확보에 힘쓸 계획이다.에너지·정유 부문의 HD현대오일뱅크는 매출 6조5417억 원, 영업손실 2413억 원을 기록했다. 유가와 환율이 하락하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6%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HD현대오일뱅크는 정유 시황 개선 흐름에 맞춰 안정적인 공장 운영과 공정 효율화에 집중하고 바이오연료 등 고부가 친
-
▲ BNK금융그룹 본사 전경 [출처=BNK금융그룹]BNK금융그룹(회장 빈대인)에 따르면 2025년 7월31일(목) 발표한 실적 공시 결과 2025년 상반기 그룹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이 475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퍼센트(%)인 165억 원 감소했다. 이자 이익과 비이자이익 감소 및 대손비용 증가로 전년 동기대비 당기순이익이 줄어들었다.은행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455억 원 감소한 4102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이중 부산은행은 3억 원 늘어났으나 경남은행은 458억 원 줄어들었다.비은행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27억 원 증가한 1088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캐피탈은 73억 원 감소했으나 투자 증권은 153억 원, 저축은행은 33억 원, 자산운용은 61억 원 각각 증가했다.한편 그룹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62%로 전 분기 대비 7베이시스포인트(bp) 개선됐고 연체율은 1.39%로 전 분기 대비 27bp 상승했다. 이는 경기둔화에 따른 부실 증가가 반영된 것으로 향후 지속적인 건전성 관리가 요구된다.또한 그룹 자본 적정성 지표인 보통주 자본 비율은 적정이익 실현과 적극적인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로 전 분기 대비 31bp 상승한 12.56%를 보였다. 보통주 자본 비율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향후 신용리스크 확대에 대한 대비와 주주환원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이날 이사회에서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분기 배당(주당 배당금 120원)과 하반기 6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결의했다.BNK금융그룹 CFO인 권재중 부사장은 “올해 상반기에 매입한 자사주(약 396만주)에 대해 전량 소각을 실시하고 이사회 결의에 따라 분기 배당 및 6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하반기에 추가로 실시할 예정이다”며 “앞으로도 개선된 자본 비율을 바탕으로 주주환원 정책이 확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 대한전선 건물 전경 [출처=대한전선]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에 따르면 2025년 7월31일(목) 발표한 잠정 실적 공시 결과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5년 상반기 매출액은 1조7718억 원으로 전년 동기 1조6529억 원 대비 7.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557억 원을 기록해 사상 최고 실적을 나타냈다.2분기 매출은 9164억 원, 영업이익은 286억 원을 달성했다. 직전 분기인 1분기 대비 매출은 7.1%, 영업이익은 5.4% 확대된 성과다.2024년 4분기를 기점으로 3개 분기 연속 매출 및 영업이익이 동시에 증가한 실적으로 실적 개선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분기 매출이 9000억 원을 돌파한 것은 2010년 3분기 이후 약 15년 만의 호실적이다.대한전선은 이번 실적의 배경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규 수주 확대 및 매출 실현을 꼽았다. 실제로 대한전선은 유럽, 미국, 아시아 등 주요 시장에서 초고압 케이블 프로젝트를 다수 수주했으며 상반기 말 기준으로 역대 최대 수준인 약 2조9000억 원의 수주 잔고를 기록하고 있다.해외에 거점을 두고 있는 생산 및 판매 법인도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 독일, 네덜란드 중심의 유럽 판매 법인과 남아공 엠텍(M-tec) 등의 생산 법인의 매출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영업이익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프로젝트가 일시적으로 집중된 점과 신규 제품 개발 등으로 인해 비경상 일회적 비용이 발생한 영향 등으로 2024년에 비해 다소 하락세를 보였다.다만 2024년 상반기에 사상 최고치의 영업이익(662억 원)을 달성한 것을 감안하면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이날 대한전선은 기관 투자자와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를 개최해 2분기 실적의 주요 내용과 주요 현안에 대해 설명했다.특히 글로벌 수준의 해저케이블 사업 경쟁력을 강조하며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등을 비롯한 국내외 주요 해저케이블 프로젝트 참여를 본격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 관세 부과에 대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
2025-08-01▲ 동원시스템즈 CI [출처=동원시스템즈]동원시스템즈(대표이사 조점근, 서범원, 정용욱)에 따르면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5년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4퍼센트(%) 증가한 3663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5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5% 감소했다.상반기 누적 실적의 경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6% 성장해 7031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385억 원으로 17.1% 감소했다.동원시스템즈는 연포장, 캔 등 주요 포장재의 매출이 고르게 성장했다. 특히 식품 캔·레토르트 파우치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수출이 실적을 이끌었다.동원시스템즈 소재 부문은 2024년 매출의 약 40%를 수출로 기록했다. 2025년 상반기에는 수출 비중을 약 45%까지 확대했다.다만 지속된 내수 시장 위축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유리병 등 일부 제품의 수요가 줄었고 알루미늄을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해 영업이익은 감소했다.동원시스템즈는 "내수 침체와 고환율 등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내실을 다지고 수출 전략을 펼친 덕분에 실적 회복세를 기록하고 있다"며 "잠재력이 높은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수출 지역을 다각화하고 고수익성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며 지속가능한 성장 구조를 만들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5-08-01▲ LG생활건강 로고 [출처=LG생활건강]LG생활건강(대표이사 이정애)에 따르면 2025년 2분기(이하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604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퍼센트(%) 감소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54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4% 급락했다. 북미와 일본 사업의 성장세는 지속됐지만 전반적으로 경기 회복이 더디어지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화장품(Beauty) 사업부는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원가 부담이 커진 데다 면세, 방판 등 전통 채널을 중심으로 국내 사업 구조를 재정비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Home care & Daily Beauty(HDB)·생활용품 사업부는 프리미엄 브랜드가 해외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보이면서 매출이 올랐지만, 고정 비용과 마케팅 투자가 늘면서 영업이익이 줄었다.음료(Refreshment) 사업부는 내수 소비 둔화에 비우호적인 날씨까지 겹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했다. 2분기 해외 시장 매출은 북미와 일본이 각각 6.4%, 12.9% 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중국은 8.0% 하락했다.2025년 상반기 전사 매출은 3조3027억 원, 영업이익은 197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3%, 36.3% 감소했다.◇ 2025년 2분기 사업별 실적Beauty 2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4% 줄어든 6046억 원, 영업이익은 -163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국내 헬스앤뷰티(H&B)숍과 북미 아마존, 일본 등 주력 채널은 고성장을 이어갔다.하지만 전반적으로 시장 경쟁이 심화되면서 원가 부담이 확대됐다. 여기에 면세, 방판 등 전통 채널들의 사업 구조를 재정비하면서 실적이 하락했다.반면 미래를 위한 마케팅 투자는 계속됐다. 궁중 피부과학 럭셔리 코스메틱 ‘더후’는 지난 5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세계적인 예술 박람회인 ‘프리즈 아트페어’에서 하이엔드 안티에이징 화장품 ‘환유’를 선보이며
-
2025-08-01▲ 인천항만공사 김순철 경영본부 부사장이 선내 화재진압 훈련을 점검하고 있다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7월31일 인천항 내항(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 376) 일대에서 인천항만공사의 항만안내선인 에코누리호가 운항 중 발생한 비상상황을 대응하는 소화, 퇴선 훈련을 실시했다.이번 훈련은 운항 중 비상상황 발생 시, 승객과 선박안전에 대한 초기대응이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대응태세를 점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실시됐다.훈련은 운항 중 승객의 흡연으로 인한 내부 화재 발생을 가정해 △초기 화재 진압 및 상황 전파 △비상방송 및 선원들의 승객 안전 대피 유도 △구명뗏목 모의 진수 및 탑승 안내 △종합상황 점검 및 평가 순으로 진행됐다.공사는 대응 절차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검증했으며 공사 항만안내선 선원들의 비상대응 훈련을 시행함으로써, 운항 중 발생할 수 있는 비상상황에 대한 대응능력을 확인했다.인천항만공사 김순철 경영부문 부사장은 “예측이 어려운 선박사고에 맞서기 위해서는 철저한 대비와 반복 훈련을 통한 대응태세 확립이 필수다”며 “앞으로도 정기적 모의 훈련을 통해 우리 공사 항만안내선에 탑승하는 모든 승객들의 안전을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인천항만공사 김순철 경영 본부 부사장이 화재대피훈련을 점검하고 있다 [출처=인천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 에코누리호 선원들이 해상 화재진압훈련을 하고 있다 [출처=인천항만공사]
-
▲ 롯데정밀화학 CI [출처=롯데정밀화학]롯데정밀화학(대표이사 정승원)에 따르면 2025년 7월30일(수) 발표한 2025년 2분기 잠정실적 매출액은 424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퍼센트(%) 증가했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8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1% 감소했다.2분기 실적은 울산공장 정기보수에 따른 생산량 감소에도 판가 개선으로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정기보수 관련 일회성 비용 발생 등으로 감소했다.한편 3분기에는 염소 계열 주요 제품 에폭시 수지 원료(ECH)의 국제가 상승과 ECH 경쟁사들의 원료인 글리세린 가격이 상승한 데 따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또한 롯데정밀화학은 790억 원 투자 규모의 식의약용 셀룰로스 증설 공장을 연말 준공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정부의 청정수소 발전 입찰 등 수요가 가시화되고 있는 청정 암모니아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포트폴리오 확대를 추진해 나가고 있다.롯데정밀화학 정승원 대표는 “2분기에는 정기보수에도 판가 상승을 통해 매출이 소폭 증가했다. 3분기에는 염소계열 ECH를 중심으로 회사의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또한 연말 식의약용 셀룰로스 공장 증설 완료 등 고부가 스페셜티 사업 강화를 추진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5-07-31▲ 삼성전자 본사 전경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74.6조 원, 영업이익은 4.7조 원을 기록했다. DS부문은 서버용 고부가 메모리 제품과 파운드리 주요 거래처에 대한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11퍼센트(%) 증가했다.영업이익은 매출 성장에도 메모리 사업의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과 비메모리 사업의 대중 제재 영향에 따른 재고 충당 발생으로 전분기 대비 0.8조 원 감소했다.DX부문은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효과 감소와 TV 시장의 경쟁 심화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6%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1.4조 원 축소됐다.환 영향은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서 달러 거래 비중이 높은 부품 사업을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약 0.5조 원 수준의 부정적 영향이 있었다.◇ 2분기 실적- DS(Device Solutions)부문 매출 27.9조 원, 영업이익 0.4조 원메모리는 HBM3E(High Bandwidth Memory 3E)와 고용량 DDR5(Double Data Rate 5) 제품 판매 비중 확대를 통해 서버 수요에 적극 대응했으며 데이터센터용 SSD(Solid State Drive) 판매도 증가했다. 하지만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면서 실적이 하락했다.시스템 LSI는 주요 플래그십 모델에 GAA(Gate All Around) 공정을 적용한 SoC(System on Chip)를 공급하며 견조한 매출을 달성했으나 첨단제품 개발 비용 상승으로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었다.파운드리는 전 분기 대비 큰 폭의 매출 개선을 이뤘으나 첨단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으로 재고 충당금이 발생했다. 또한 성숙(Mature) 공정 라인의 가동률 저하가 지속되면서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DX(Device eXperience)부문 매출 43.6조 원, 영업이익 3.3조 원MX(Mobile eXperience)는 신모델이 출시된 1분기 대비 판매량은 감소했으나 플래그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로고 [출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에어로스페이스(대표이사 김동관, 손재일)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6조2735억 원, 영업이익은 8644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9퍼센트(%), 156% 증가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상 방산의 수출 확대와 자회사인 한화오션의 고수익 선박 매출 비중이 늘면서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사업별로 보면 지상 방산 부문은 매출 1조7732억 원, 영업이익 5543억 원으로 2024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33%, 영업이익은 113% 각각 늘었다.특히 다연장로켓 천무의 신속한 공급으로 해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3%가 늘어난 1조834억 원을 차지했다. 항공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489억원으로 20%가 늘었으나 적자 전환됐다.자회사인 한화오션은 상선사업부 고수익 액화천연가스(LNG)선 판매가 확대되며 매출 3조2941억 원, 영업이익 3717억 원을 달성했다. 한화시스템은 매출 7682억 원, 영업이익 335억 원을 기록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분기는 지상 방산 부문 실적 호조와 한화오션의 안정적 실적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을 이어갔다"며 "하반기는 중동과 유럽 등을 중심으로 수주를 확대하고 누리호 4차 발사의 성공을 통해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