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개장"으로 검색하여,
1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31▲ ㈜오뚜기 X 죽장연 프리미엄 전통장 , ‘빠개장 된장찌개양념’ 출시[출처=오뚜기]㈜오뚜기(회장 함영준, 사장 황성만)에 따르면 프리미엄 전통장 브랜드 ‘죽장연’ 과 협업해 전통 방식의 빠개장으로 만들어 구수하고 깔끔한 맛이 일품인 ‘빠개장 된장찌개 양념’을 출시했다.‘죽장연’ 은 포항시 죽장면 마을 주민이 직접 재배한 지역 원료를 활용해 전통장을 담그는 프리미엄 된장 브랜드로 오뚜기는 전통 방식으로 만든 빠개장을 기반으로 활용해 더욱 깊고 진한 된장찌개양념을 선보였다.최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로코노미(로컬 + 이코노미)’ 트렌드가 확대되는 점과 전통 제조 방식에 대한 관심도 상승을 고려했다.2024년 10월 출시된 ‘죽장연 빠개장 된장국’ 과 2023년 첫 출시 이후 매년 봄 시즌마다 한정으로 ‘죽장연 빠개장면’을 선보였다. 이번에 출시한 ‘죽장연 빠개장 된장찌개양념’ 은 2차 숙성을 거치지 않고 메주를 빠갠 뒤 보리쌀과 고추씨 가루를 섞어 만든 된장(빠개장)으로 완성해 깊고 구수한 맛을 살렸다.여기에 표고버섯과 멸치육수로 시원한 감칠맛을 더해 더욱 깔끔하게 즐길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또한 죽장연 빠개장 된장찌개양념에 원하는 식재료만 추가하면 누구든 기호에 맞게 전통식 된장찌개를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간편한 조리법도 주목된다.오뚜기 관계자는 “지역 농가 상생에 기여하기 위해 재래식 전통 된장인 ‘죽장연 빠개장’ 을 활용한 신제품을 선보였다” 며 “앞으로도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고려해 다양한 전통 방식의 제품을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 오뚜기, 농업상생 봉사활동[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황성만)에 따르면 국내 농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역 농가와 협력 하에 ‘한국농업 상생발전 프로젝트’ 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한국농업 상생발전 프로젝트는 2022년 오뚜기가 국내 농가의 생산성 제고 및 상생 발전을 위해 기획한 것이다.다. 오뚜기를 중심으로 오뚜기라면, 오뚜기제유 등 관계사가 태스크포스팀(TFT)을 함께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특히 △국산 농산물 사용 확대 △계약재배 △국산 종자 사용 등을 핵심 과제로 선정해 농가 지원에 앞장서고 있다.우선 논산, 이천 등 국내 농가와 협력을 맺고 국산 농산물을 사용한 제품을 연이어 내놓고 있다. 2023년 김천 자두와 논산 딸기를 활용한 △ Light Sugar 2종 (자두쨈·딸기쨈), 창녕산 마늘을 활용한 △창녕갈릭 소이소스, △원물발효식초 2종 (이천쌀로 만든 막걸리식초, 청송사과로 만든 순사과 식초)을 출시했다.또한 제주산 비트를 원료로 사용한 △스리라차와 마요네스가 만난 매코매요, 국산 사과를 넣은 △애플시나몬쨈, 기존 수입 원료 대신 국산 생물대파로 원료를 국산화한 △대구식쇠고기육개장 등이다. 2024년에도 신제품 (7종) 에 연간 기준 국산 농산물 114 톤을 사용했다.청송 사과 과육을 사용한 △ Light Sugar 사과쨈, 청송사과와 논산딸기를 넣은 △달콤함에 빠진 붕어빵 2 종 (애플파이, 딸기크림), 울릉도 특산품 늙은 호박을 재료로 한 △오즈키친 울릉도 호박죽, 국산 대파를 넣은 △지역식 국물요리 2종(서울식 차돌대파육개장, 제주식 흑돼지김치찌개), 국산 양배추로 만든 △한컵 코울슬로 등이다.국내 농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계약재배도 매해 늘려가고 있다. 컵밥, 간편식류 등에 활용되는 쌀, 양파, 대파, 고추 등 농산물 계약재배 물량은 2022년 대비 2024년 약 847% 증가했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누계 계약 재배량이 2만8000여 톤(t)에 달한다.2024년 쌀 계약 물량이 1350톤 증가했으며 전북 농가에서 생강 약 30t을 신규로 계약재배하며 품목을 넓혀가고 있다.종자주권 확보를 위한 국산 종자 개발에도 나섰다. 2023년 3월 국립종자원의 맞춤형 종자 교육에 참여한 바 있으며 2023년부터 양파, 딸기 등 국산 품종을 시험 재배하고 2024년부터 양파 5개 품종에 대한 국산종자 가공 적성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오뚜기 관계자는 "2022년 국내 농업의 선진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개시한 프로젝트로, 지역 농가와의 상생을 통해 국산 농산물 사용 확대, 계약 재배 등을 매년 적극 실천하고 있다" 며 “ 앞으로도 농가, 소비자 등과 상생을 추구하며 미래 한국 농업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 고 강조했다.
-
2025-02-07▲ 오뚜기X죽장연, 봄의 맛과 향 담은 '죽장연 빠개장면' 시즌 한정 재출시[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황성만)에 따르면 2024년에 이어 프리미엄 전통장 브랜드 ‘죽장연’ 과 함께 전통 방식으로 만든 구수한 빠개장과 봄 냉이를 넣은 ‘죽장연 빠개장면’ 을 봄 시즌 한정 재출시했다.죽장연 빠개장면은 2023년 봄 처음 선보인 제품으로 2024년 재출시 당시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와디즈’ 에서 실시간 1위를 달성하는 등 높은 호응을 얻었다.특히 고기와 함께 즐기기 좋은 캠핑라면으로 캠핑 마니아 사이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동안 많은 소비자의 긍정적인 반응이 재출시 배경이 됐다는 설명이다.봄 시즌 한정으로 재출시한 죽장연 빠개장면은 청정지역 죽장연 마을 주민이 직접 만든 재래식 빠개장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발효시킨 메주를 빠갠 다음 보리쌀과 고추씨를 넣어 만든 프리미엄 된장인 빠개장을 사용해 구수하면서도 매콤한 국물 맛을 즐길 수 있다.봄 제철 재료로 쓰인 홍성산 햇냉이를 추가 적용해 향긋한 향 또한 이전보다 더해졌다. 각 취향에 따라 남은 국물에 원하는 재료로 밥을 볶아 된장 술밥 등 다양한 레시피로도 활용 가능하다.이번 제품은 '네이버 오뚜기몰'에 2월3일 입춘을 맞아 선공개됐다. 2월13 일부터 전국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에서도 구매 가능하다.한편 이번 협업을 함께 한 ‘죽장연’ 은 2010 년 설립된 프리미엄 된장 브랜드로 포항시 죽장면 상사리 주민이 해발 450미터(m) 청정 지역에서 재배한 콩, 고추 등 농작물과 깨끗한 물, 신안 천일염만을 사용해 전통 방식 그대로 만든 것이 특징이다오뚜기 관계자는 "첫 출시 이후 봄에 연이어 선보인 죽장연 빠개장면에 대한 높은 호응을 고려해 따뜻한 봄의 맛과 향을 진하게 즐길 수 있도록 올해도 봄 한정으로 선보이게 됐다" 며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제품으로 더욱 진하고 향긋해진 맛을 온전히 즐기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
▲ 싱가포르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수퍼맘(Supermom)은 그래나이트 아시아(Granite Asia)가 주도한 시리즈 B 펀딩 라운드에서 S$ 1800만 달러를 확보했다[출처=수퍼맘 홈페이지]2024년 10월29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 싱가포르 수퍼맘은 브랜드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암페놀 DC 전자 말레이시아는 새로운 페낭 제조시설을 통해 일자리 300개를 창출한다.◇ 싱가포르 수퍼맘(Supermom), 그래나이트 아시아(Granite Asia)가 주도한 시리즈 B 펀딩 라운드서 S$ 1800만 달러 확보싱가포르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수퍼맘(Supermom)은 그래나이트 아시아(Granite Asia)가 주도한 투자 라운드 시리즈 B 단계에서 S$ 1800만 달러를 확보했다.2022년 12월 쿠알그로(Qualgro)가 주도했던 시리즈 A 단계에서는 800만 달러를 확보한 바 있다. 수퍼맘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제품 및 서비스 박람회 등을 기획하는 등 이벤트 사업을 했다.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브랜드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인공지능(AI) 기반 플랫폼으로 전환했다.◇ 암페놀 DC 전자 말레이시아(Amphenol DC Electronics Malaysia Sdn Bhd), 페낭에 케이블 조립 및 박스 제작 시설 개장전자제품 제조업체 암페놀 DC 전자 말레이시아(Amphenol DC Electronics Malaysia Sdn Bhd)는 페낭에 케이블 조립 및 박스 제조시설을 완성했다.총 7만 제곱피트 규모의 시설은 국내 반도체 사업에 기여하며 3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
▲ 인도 스파이스제트(SpiceJet), 2026년 말까지 항공기 100대 소유 목표 밝혀[출처=스파이스제트 인스타그램]2024년 9월23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방글라데시를 포함한다. 인도 스파이스제트는 투자적격 프로젝트(QIP)를 통해 얻은 자금으로 신형 항공기를 인수한다.방글라데시 일렉트로 마트는 새로운 복합 센터에서 중국 그리 일렉트릭, 콘카 브랜드와 자사의 하이코 브랜드의 제품을 판매한다.◇ 인도 스파이스제트(SpiceJet), 2026년 말까지 항공기 100대 소유 목표 밝혀인도 항공사 스파이스제트(SpiceJet)는 2026년 말까지 항공기 100대를 소유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보잉 737 MAX의 운항 중단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목적이다.2024년 9월16일부터 9월18일까지 진행한 투자적격 프로젝트(QIP)를 통해 주식을 매각하며 Rs 300억 루피(약 US$ 3억6000만 달러)를 확보했다.이전 펀딩 라운드에서 확보한 Rs 73억 6000만 루피와 함께 항공기 인수 및 기술개발, 새로운 시장 진출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방글라데시 일렉트로 마트(EML), 현지 차토그램시에 복합 센터 개장방글라데시 가전제품 소매업체 일렉트로 마트(Electro Mart Limited, EML)가 차토그램(Chattogram)시에 복합 센터를 열었다. 제품 판매 및 전시, 고객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일렉트로 마트에 따르면 중국 그리 일렉트릭(Gree Electric)의 에어컨은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중국 콘카(Konka)의 제품 또한 유의미한 판매량을 보이며 자사 브랜드 하이코(Haiko)는 국내 전자 및 가전제품 시장에서 10%라는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개관 1달 동안 콘카의 냉장고와 발광다이오드(LED) 텔레비전, Gree 에어컨에 대한 할인 이벤트를 진행할 게획이다.
-
▲ 전기자동차(EV) 이미지[출처=BTR 신소재 그룹 홈페이지]2024년 8월 동남아시아 ICT산업 주요동향은 싱가포르 내 전기자동차(EV) 충전시설 설치 추이, 필리핀 라구나 호수에 부유형 태양광(FPV) 발전 시스템 설치, 인도네시아 국내 첫 인공지능(AI) 체험센터를 포함한다.○ 싱가포르 육상교통청(LTA)에 따르면 전기자동차(EV) 충전시설이 국내 공공아파트(HDB) 주차장에 약 1000개 설치됐다. 2023년 말 "700개를 조금 상회함"과 비교해 약 42% 증가한 수치이다.2024년 8월5일 기준으로 전국에는 약 1만3800개의 전기자동차 충전소가 있다. 2022년 말 3600개 이상으로 집계된 것과 비교해 4배 정도 확대됐다.2024년 말까지 토지가 없는 개인 주택이나 공공주택 주차장의 20%에 충전소를 마련할 방침이다. 싱가포르 그린 플랜에 근거해 2030년까지는 전국 단위로 약 6만 개의 충전소를 갖춘다.○ 싱가포르 교통부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동안 국내에서 판매된 자동차 3대 중 1대가 전기 자동차(EV)였다. 2023년 전체 판매량의 18%를 차지한 것과 비교해 약 2배 확대됐다.싱가포르는 EV 초기 도입 인센티브 정책을 2025년까지 시행한다. 새로 등록된 순수 EV와 택시에 대해서는 추가 등록 수수료의 45%를 환급받을 수 있다. 배기가스 할인 혜택 또한 제공한다.이에 근거해 교통부는 7월 EV 판매량이 크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2024년까지 EV를 마련하는 데 드는 초기비용을 S$ 4만 달러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현재는 7100개의 EV 충전소를 설치했으며 2030년까지 6만 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EV 브랜드가 싱가포르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이다.2024년 8월1일 중국 지리자동차의 고급 EV 브랜드이자 도시형 SUV '지커 X(Zeekr X)'가 싱가포르에 진출했다. EV로의 전환을 계속해온 싱가포르를 상대로 단순히 이동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넘어선 프리미엄 주행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2024년 7월25일 중국 EV 제조업체 샤오펑(XPeng)이 연 팝업 스토어에서 자사의 전기 SUV 샤오펑 G6(Xpeng G6)을 선보이기도 했다.이외에도 비야디(BYD), 광저우자동차그룹의 EV 자회사 GAC 아이온(GAC Aion), 체리자동차 등이 국내에 진출해있다.○ 말레이시아 경제부는 셀랑고르 주 푸총에 위피한 반도체 집적회로(IC) 설계 단지의 개장식에 참가했다. 6만 제곱피트가 넘는 규모로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5억에서 최대 10억 링깃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현지 인공지능(AI) 저장소 Maistorage, IP와 IC 설계업체 스카이칩(Skyechip)과 위록(Weeroc), 그리고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업체 앱아시아(AppAsia)뿐만 아니라 중국 칩스뱅크(ChipsBank)등이 입주했다.경제부는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집적회로(IC) 설계 허브를 구축하는 것보다도 더 큰 계획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단순히 "말레이시아에서 제조됐다(made in Malaysia)"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말레이시아가 제조했다(made by Malaysia)"여야만 한다고 밝혔다.○ 한국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사라왁주 사마자야 공업지대에 위치한 동박 제조시설의 확장을 위해 12억 링깃을 투자할 계획이다. 확장으로 하여금 2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한다.사마자야 시설은 롯데그룹에서 전기자동차(EV)나 에너지 저장 장치에 활용되는 동박을 만들기 위해 설립한 첫 해외 공장이다.○ 말레이시아 에이펙스 세큐러티즈(APEX Securities)는 태양광 시스템 설치업체 솔라베스트 홀딩스(Solarvest Holdings)의 800MW(메가와트) 규모 기업 녹색 에너지 협정(Corporate Green Power Agreement, CGPA) 부문에서 새로운 일자리 플로우를 기대한다.솔라베스트는 해당 수용력의 절반 이상에 대해 입찰을 준비하고 있으며 주문 대장에 10억 링깃이 추가될 잠재성을 지닌다.당사는 2024년 8월9일 사벨라이트 엔지니어링(Savelite Engineering Bhd)과 TNB 리뉴어블즈(TNB Renewables Bhd)와 공동 및 단독 파트너십을 맺어 다섯 개의 CGPA에 서명한 바 있다.프로젝트를 통해 말레이시아 서부에 위치한 페락주 루무트와 케다주 쿨림에 태양광 발전소 2곳을 소유하고 개발을 진행한다.○ 자동차 제조업체 닛산 필리핀은 슈퍼마켓 체인점 퓨어골드 프라이스 클럽(Puregold Price Club)과 함께 지속 가능한 기업이 되고자 파트너십을 체결했다.퓨어골드는 매장 전용 차량으로 닛산 킥스 e-파워 7대를 도입한다. 순수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시스템과 함께 레인지 익스텐더(Range Extender) 역할을 하는 가솔린 엔진이 특징이다.퓨어골드는 "플라스틱 없는"날 지정, 발광 다이오드 조명 교체, 태양광 발전 확장, 폐수 처리 및 물 관리 등 지속가능한 형태의 운영 정책을 실행해왔다.○ 글로벌 친환경 건설자재업체 홀심 필리핀즈(Holcim Philippines)는 로페즈 그룹의 재생 에너지 발전 자회사 퍼스트젠(First Gen)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이는 소매경쟁 및 공개진입(RCOA)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RCOA에 따르면 월 평균 최소 500킬로와트(kW)를 소비하는 전력 소비자는 전력공급업체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퍼스트젠은 홀심의 부나완, 다바오 시티, 루가이트, 미사미스 오리엔탈 생산시설 전력 22%를 재생 에너지 형태로 충당한다.이는 퍼스트젠의 자회사 에너지 디벨롭먼트(Energy Devlopment Corp.)가 소유한 북부 코타바토주 지열 에너지 발전소에서 공급할 방침이다.홀심은 해당 파트너십을 통해 탈탄소화를 지향하고 있다. 2030년까지 필요한 전력 중 65%를 재생 에너지로 전환하고자 한다.○ 필리핀 아얄라 그룹 에너지 부문 계열사 아센(ACEN)은 라구나 호수에 최대 용량 1120메가와트피크(MWp) 부유형 태양광(FPV) 발전 시스템을 설치한다. 478억9000만 페소 상당의 태양광 사업으로 루손 지방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이다.아센은 자회사 AC 수빅 솔라(AC Subic Solar)를 통해 라구나주 빅토리아와 산타크루즈 지역에 용량 280MWp를 설치한다. 호수 표면 200헥타르를 덮는 2개의 블럭으로 구성돼 있으며 1블럭당 62억5000만 페소다.이외 AC 라구나 솔라(AC Laguna Solar)가 빅토리아와 필라에 위치한 호수 표면에 용량 280MWp의 태양광 발전을 설치할 예정이다.그리고 솔라에이스4 에너지(SolarAce4 Energy)는 62억5000페소를 투입해 산타크루즈 지역에 용량 140MWp을 설치한다. 이상 3개의 프로젝트는 2025년 3분기부터 2027년까지 진행한다.○ 태국 인터치 홀딩스(Intouch Holdings)의 계열사이자 통신사 AIS(Advanced Info Service)가 국내 첫 사이버 면역(cyber immunity) 조정 프로그램 "디지털 건강검진(Digital Health Check)”를 공개했다.AIS에 따르면 "태국 사이버 건강 지수 2024(Thailand Cyber Wellness Index 2024)"에 근거해 자국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전반적으로 기본 수준에 도달했으나 두드러진 격차가 존재한다. 해당 지수는 톤부리 킹몽꿋기술대학교와의 협업으로 만들어졌다.디지털 건강검진은 개인의 디지털 습관과 관련 지식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하며 사이버 범죄로부터 사용자들을 보호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중국 음극재 생산업체 BTR 신소재 그룹(BTR New Material Group, 贝特瑞)과 싱가포르 스텔라인베스트먼트(Stellar Investment)가 공동으로 설립한 공장을 개시했다.US$ 4억7800만 달러를 투자한 공장에서는 전기자동차(EV) 배터리에 쓰이는 음극재를 제조한다. 1년 동안 8만 톤(t)을 생산할 수 있다.BTR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공장 2단계 건설을 시작해 연간 생산능력을 2배인 16만t으로 늘릴 방침이다. 2억9900만 달러를 추가적으로 투자한다.인도네시아는 배터리 주요 소재인 니켈을 비롯해 자국의 풍부한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국내 EV 산업을 활성화시키고자 한다.한국 현대자동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 또한 7월부터 인도네시아에서 배터리 셀 생산을 활용해 EV를 제조한 바 있다.○ 2024년 8월20일 인도네시아 네트워크 서비스업체 인도삿 우레두 허치슨(Indosat Ooredoo Hutchison, IOH)은 국내 첫 인공지능(AI) 체험센터를 선보였다.2024년 안에 수라카르타 지역 솔로 테크노파크(Solo Technopark) 단지 내에 함께 설립될 AI 전문센터(AI Center of Excellence)의 체험 공간이다.인도삿은 쇼케이스 전시실 뿐만 아니라 중국 화웨이 등의 파트너사 제휴를 통해 학생·공무원·일반 시민 대상으로 AI 교육을 제공한다.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
▲ 인도네시아 조코 위도도 대통령이 바탕 통합산업단지 개장식에 참석했다[출처=인도네시아 국가 사무처 홈페이지]2024년 7월 동남아시아 건설업 주요동향은 필리핀 민다나오 지역의 교각 프로젝트 및 루손섬 파이프라인 건설, 한국 LG에너지솔루션과 KCC글라스가 참여하는 인도네시아 자바의 공업단지를 포함한다.○ 싱가포르 노동부는 지난 10년 동안 발생한 크레인트럭 사고 중 63%가 안정성 제어 시스템이 있었더라면 예방이 가능했을 것이라고 밝혔다.초기 투자비용과 시간을 고려하더라도 시스템이 있는 경우가 장기적으로 유리하다. 2025년부터 안전한 리프팅 구역 내에서 크레인 트럭의 동작을 계산하고 제한하는 시스템을 의무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말레이시아 인프라 기업 YTL코퍼레이션(YTL Corp)의 계열사 YTL 시멘트(YTL Cement)는 싱가포르 상장기업 NSL의 지분 81.34%을 매수한다.S$ 2억2761만 달러를 현금으로 매수해 자사의 산업화된 건물 시스템(Industrialised Building System, IBS) 사업을 국내부터 두바이·핀란드·싱가포르까지 확장하고자 한다.NSL은 경영 및 투자 지주 회사로 건설자재와 석유 제품을 제조하고 환경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회사를 두고 있다. 해당 업체는 핀란드에서의 PBU(공장 제작 조립식 화장실 유닛) 생산량을 7000개에서 1만 개로 확장시킨 바 있다.2년 동안의 이익을 기록한 후 2023년 12월31일 마감된 회계연도에 순손실 6510만 링깃(S$ 1870만 달러)에 달해 적자를 기록했다.○ 말레이시아 부동산 개발사 IOI 프로퍼티즈(IOI Properties)는 프탈링자야에 위치한 트로피카나 가든 몰을 6억8000만 링깃에 획득했다. 소매 부문에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트로피카나 가든 몰이 추가됨에 따라 IOI 프로퍼티즈가 소유한 소매 매장의 임대가능면적은 540만 제곱피트로 확장될 예정이다. 인수를 통해 클랑밸리에서의 쇼핑몰 운영을 활성화하며 기존 IOI몰 푸총과 IOI 시티몰 사업을 보완하고자 한다.○ 필리핀 공공사업도로부(DPWH)는 7월8일 민다나오 북쪽 지역 두 곳을 연결하는 팡일만 교각 프로젝트(PBBP)이 달성률 93.3%를 기록했으며, 2024년 3분기 안에 완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교각을 건설하는 데 73억8000만 페소를 투자했다.총 3.17km에 달하는 PBBP는 민다나오에서 가장 긴 교량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탕굽에서 투보드까지의 이동시간을 기존의 2.5시간에서 7분으로 단축한다. 공공사업부는 이번 사업이 민다나오의 교류 및 관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필리핀 수자원 공급업체 마닐라워터(Manila Water)는 2025년까지 루손섬 메트로마닐라의 타기그시에 5억7700만 페소 상당의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를 완수한다.해당 서비스를 통해 하루당 2억 리터를 타기그, 파테로스, 파시그, 파라냐케에 공급하며 타기그시에 거주하고 있는 70만 명이 혜택을 받는다.○ 인도네시아 정부에 따르면 최근 중부 자바의 바탕에 4300헥타르에 달하는 공업 단지의 두 번째 단계를 개장했다. 인프라를 구축해 공급망을 다각화함으로써 중국의 투자자들을 유치하며 25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해당 통합산업단지에 20여 개 기업이 함께 한다. 대한민국 LG에너지솔루션과 유리 제조업체 KCC글라스를 포함한다. 현재까지 기업들로 하여금 총 US$ 8억5800만 달러(14조 루피아)의 투자를 받았다.LG에너지솔루션은 여기서 2024년 9월부터 전기자동차(EV) 배터리의 필수적인 부품인 양극재를 생산한다. 추가적으로 24억 달러를 투자해 1년 당 전구체 22만 톤(t)·양극재 4만2000t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신설할 계획이다.
-
2024-07-31▲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에 설립된 초대형 데이터 센터 JHB1의 모습[출처=에어트렁크(AirTrunk) 공식 홈페이지]2024년 7월31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을 포함한다. 싱가포르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3년 직업별 임금조사에서 미용사의 총임금이 월당 S$ 2770달러로 전년 대비 73% 이상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호주 에어트렁크(AirTrunk)는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지역에 초대규모 데이터 센터 JHB1을 개장했다. 직접 칩 액체 냉각 기술(DLC)를 처음으로 접목시켰다.필리핀 발라이 니 푸르타스(Balai ni Fruitas)는 D' Famous Red Box와 파트너십을 통해 중국 제과업체 폴란드호피아의 상품을 독점적으로 유통한다.◇ 싱가포르 고용노동부(MOM) 2023년 석유 및 연료 거래인 평균 총임금 월당 S$ 1만4911달러로 가장 많이 벌어싱가포르 고용노동부(Ministry of Manpower, MOM)의 2023년 직업별 임금 조사에 따르면 6월 기준으로 석유 및 연료 거래인의 평균 총임금이 월당 S$ 1만4911달러로 가장 많이 번다. 2023년 싱가포르 연료 판매량은 5180만 톤(t)으로 2017년 판매량 5060만 톤을 넘어 최고기록을 세운 바 있다.최고정보책임자·최고기술책임자·최고보안책임자의 평균 총임금은 월당 S$ 1만3840달러로 2위, 기업 및 솔루션 아키텍트는 S$ 1만3682달러로 3위를 차지했다.미용사의 평균 총임금은 월당 S$ 2770달러로 2022년 6월 S$ 1595달러와 비교해 73% 이상 상승했다. 웰빙센터 매니저의 평균 총임금은 월당 S$ 5628달러로 전년 대비 60%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며 텔레마케터와 가정 관련 상담사의 평균 총임금은 30% 이상 증가했다.해당 조사는 2023년 7월부터 12월 동안 2023년 6월에 국민연금(CPF)를 납부했던 약 28만8700명의 정규직 싱가포르인 혹은 영주권을 취득한 고용인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오스트레일리아 에어트렁크(AirTrunk),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지역에 초대규모 데이터 센터 개장7월30일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지역에 에어트렁크(AirTrunk)가 설립한 초대규모 데이터 센터 JHB1의 운영을 시작했다. 에어트렁크는 오스트레일라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아시아 태평양 및 일본(APJ) 데이터센터 전문기업이다.JHB1은 인공지능(AI) 설계를 통해 총 400만 시간을 투자했으며 150메가와트(MW) 규모·총용량 1.4기가와트(GW) 이상이다. 무사고로 진행된 점은 당사의 안전한 건설 현장에 대한 헌신을 나타낸다.에어트렁크는 기존의 증발 냉각 기술 및 고밀도 랙뿐만 아니라 직접 칩 액체 냉각 기술(DLC)을 처음으로 도입한 바 있다. 해당 기술은 에너지 소비를 최대 23%까지 줄여 효율적이다. 또한 업계 최저 설계 전력 사용 효율성 1.15를 기록했다.◇ 필리핀 발라이 니 푸르타스(Balai ni Fruitas) D' Famous Red Box와 파트너십 체결필리핀 식품제조업체 프루타스 홀딩스(Fruitas Holdings)는 자회사 발라이 니 푸르타스(Balai ni Fruitas)를 통해 제과업체 D’ Famous Red Box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현지 세부와 삼보앙가에 중국 제과업체 폴란드호피아 브랜드의 상품을 독점적으로 유통한다.프루타스는 2020년 4월 유제품을 취급하는 부키드논 밀크(Bukidnon Milk, BMC)와의 계약으로 하여금 독점적으로 신선한 직송 우유와 요거트를 유통한 바 있다. 부키드논 밀크는 민다나오의 유일한 목초 사육 낙농장이다.
-
2024-06-16지난 6월 2주차 스리랑카 경제는 정부가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서 말레이시아와 자유무역협정(FTA)를 협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어셋라인 재정 리미티드(AFL)은 전문 금융 시설 어셋라인 그린 대출을 출시해 태양광 에너지 관련 투자에 대한 개인 혹은 중소 기업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했다.○ 중국 에너지업체 시노펙(Sinopec), 나와가무와(Nawagamuwa)에서 첫 번째로 개조된 주유소 개장... 자동차 딜러와 동업자들의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 어셋라인 재정 리미티드(AFL), 전문 금융시설 어셋라인 그린 대출 출시... 개인 혹은 중소기업의 태양광 에너지 관련 투자 접근성 높여○ 정부, 인플레이션 해결위해 말레이시아와 자유무역협정(FTA) 협상할 예정... 2023년 말레이시아와 교역액 US$ 9억3400만 달러
-
▲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장 [출처 = iNIS]26일 중국 상하이 우루무치중루에서 시민 수천 명이 반정부 시위를 펼쳤고 계속 확산 중이다. 중앙 정부가 지난 3년 동안 펼친 제로 코로나정책으로 쌓인 분노가 폭발한 것이다.현재 주요 도시는 전면적인 도시 봉쇄와 무차별적인 유전자증폭(PCR)검사로 평온한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실정이다.시진핑 주석의 3연임은 상하이와 선전의 경제를 기반으로 정치세력을 형성했던 상하이방의 몰락으로 이어졌다.시 주석은 지난해 베이징증권거래소를 개장하며 상하이 금융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 중이지만 성공 가능성은 낮다. 해외 금융전문가는 금융산업은 인위적으로 육성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상하이의 금융산업은 중앙정부의 정치와 경제정책 실패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격적인 전랑외교와 무리하게 추진한 일대일로도 중국의 고립을 심화시키고 있다.특히 제로 코로나정책은 처음부터 단추를 잘못 끼우면서 핵폭탄급으로 커졌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못 막는 상황에 처해진 것이다.코로나19 감염병으로 제조업 가동률이 떨어지고 경제 활력이 위축되면서 국내총생산(GDP)의 30%를 담당하는 부동산시장도 냉각됐다.국내 경제 전반에 걸쳐 나타난 자금수요 감소와 부실채권 증가는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해쳐 시장의 신뢰를 떨어뜨렸다.13억 인민을 모두 부유하게 만들겠다는 공동부유정책과 외국 문화를 천시하는 대중화주의(Great China)도 상하이의 글로벌 금융허브 위상을 훼손시키는 요인으로 자리매김했다.국가보안법 시행과 민주화시위 탄압으로 아시아 최대 금융시장인 홍콩의 경쟁력을 훼손한 중국 정부의 정책이 상하이의 금융허브 경쟁력에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봤다.- 계속 -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