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technical"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한국수자원공사, AI 정수장 국제표준 주도 [출처=한국수자원공사]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에 따르면 2024년 11월27일(수요일) 중국 난징대학교에서 열린 국제표준화기구 상하수도서비스 분야 스마트물관리 워킹그룹(ISO/TC224/WG15) 국제회의에서 우리나라 신규 제안(New work item Proposal)이 승인됐다.한국수자원공사가 보유한 3대 초격차 기술 중 하나인 ‘인공지능(AI) 정수장’ 기술이 신규제안으로 승인되면서 인공지능(AI) 정수장에 대한 국제표준 개발 뿐 아니라 글로벌 물시장 선두주자로서 입지를 강화했다.AI 정수장은 수돗물 생산과 공급 전 과정에 AI를 융합해 자율 운영을 통해 자원과 에너지의 최적화를 가능케 만드는 디지털 물관리 기술이다.2024년 1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글로벌 등대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스마트물관리 워킹그룹(ISO/TC224)은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산하 상하수도서비스 분야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다.2001년 설립 이후 스마트물관리 워킹그룹(Working Group) 등을 운영하며 식수 및 폐수 등의 서비스 지침 제공을 위한 국제표준 개발을 주관하고 있다.한국수자원공사는 2023년부터 AI 정수장의 글로벌 물시장 선도 기반을 마련하고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의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을 통해 국제 표준화를 주도해오고 있다.또한 미국수도협회(AWWA) 등 주요 회원과 긴밀히 협력하며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 호주, 미국, 중국 등 정회원 35개국이 참여하는 ISO/TC224에서 투표 참여국의 3분의 2 이상 표결로 이번 승인이 의결됐다.▲ 한국수자원공사, AI 정수장 국제표준 주도 [출처=한국수자원공사]앞으로 2027년 최종 제정을 목표로 약 3년간 표준화 작업에 매진할 계획이다. 이번 신규 표준안인 ‘AI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식수 서비스관리 가이드라인’은 공공 및 민간 수도서비스 업체가 서비스 제공 시 AI 활용을 위한 일반적인 사양, 규격 등을 정의하는 지침이다.표준화 작업이 완료되면, ISO에 참여 중인 172개 회원국을 포함해 해당 기술 도입을 희망하는 국가는 해당 표준을 따르게 된다.기후변화 시대 정수 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AI 정수장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계기인 만큼 이번 승인은 많은 주목이 예상된다.특히 한국수자원공사는 현재 인도네시아 신수도에 추진 중인 누산타라 탄소중립 정수장에 우선적으로 AI 정수장 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다.더 나아가 표준제정을 통해 물관리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인 국가를 대상으로 기술 진단과 함께 해당 국가 실정에 맞는 표준 도입을 자문하는 등 글로벌 사업을 확대하고, 해외 진출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또한 AI 정수장 기술개발 시 한국수자원공사가 보유한 물관리 전문성뿐만 아니라 AI 기반 예측 분석 등에 특화된 디지털 분야 강소기업과 협업이 주효했던 만큼, 국내기업의 해외 동반 진출도 기대된다.문숙주 한국수자원공사 수도부문장은 “이번 ISO 신규 제안 승인은 AI 정수장에 대한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괄목할만한 성과다. 한국수자원공사의 초격차 물관리 기술을 통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물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 제정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
-
▲ 인도 RITES, DMRC와의 파트너십 통해 국내외 도심 지역의 메트로 사업 착수[출처=RITES 홈페이지]2024년 10월3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RITES는 DMRC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국내외 도심 지역의 메트로 사업에 착수한다.파키스탄 AGTL이 현대식 농업에 특화된 트랙터 NH-580을 공개했다.◇ 인도 타타일렉트로닉스(Tata Electronics), 타밀나두 공장 일부서 생산 재개인도 전기자동차 제조업체 타타일렉트로닉스(Tata Electronics)는 화재 피해가 발생했던 타밀나두 공장 일부에서 생산을 재개한다.화재는 2024년 9월29일 아이폰의 백패널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화학약품을 보관하던 구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부터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타타일렉트로닉스는 애플과 계약한 첫 국내업체이며 대만 폭스콘(Foxconn)과 페가트론(Pegatron)에 이어 타밀나두에서 아이폰을 제조하는 세 번째 기업이다.인도 교통 인프라 자문회사 RITES(Rail India Technical and Economic Service)는 DMRC(Delhi Metro Rail Corporation)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국내외 지하철 프로젝트에 대한 기회를 모색한다.일반 컨설팅부터 실현 가능성 조사, 세부 설계, 프로젝트 관리 등을 통해 도시 교통 시스템 분야에 대한 글로벌 영향력을 넓힐 계획이다. 이는 당사의 "RITES 해외(RITES Videsh)" 이니셔티브와 일치한다.2024년 10월1일 RITES는 치코 아프리카 로지스틱스(Tsiko Africa Logistics)로부터 ₹ 3억5800만 루피(US$ 428만 달러) 상당의 주문을 받았다. 향후 6개월간 3100마력 디젤 기관차의 공급 및 시운전을 담당한다.◇ 파키스탄 AGTL(Al-Ghazi Tractors Limited), 트랙터 NH-580 출시파키스탄 농기계 제조업체 AGTL(Al-Ghazi Tractors Limited)는 뉴 홀랜드(New Holland) 트랙터 NH-850을 출시했다고 밝혔다.AGTL에 따르면 85마력의 출력을 내는 고효율 엔진과 함께 현대식 농업에 특화돼 현지뿐 아니라 해외 시장의 요구에도 대응할 수 있는 제품이다.AGTL은 아랍에미리트(UAE) Al-Futtaim Industries Company LLC의 자회사로 농업용 트랙터, 발전기, 농기구 등을 제조하고 관개농업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
2022-01-25싱가포르 교육기관인 ITE(Institute of Technical Education)에 따르면 미국 기술기업인 엔비디아(Nvidia)와 공동으로 인공지능(AI) 훈련시설을 론칭했다.엔비디아의 슈퍼컴퓨팅 플랫폼을 구축해 인공지능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 엔비디아는 메타버스에 필수적인 그래픽 컴퓨팅 기술로 유명한 기업이다.ITE는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약 400명의 학생들을 교육시킬 방침이다. 엔비디아는 학생들에게 인공지능 커리큘럼을 가르칠 인증된 강사를 훈련시킬 예정이다. 싱가포르 정부는 2030년까지 싱가포르를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과 응용 분야의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ITE(Institute of Technical Education) 빌딩(출처 : 홈페이지)
-
2020-02-13일본 글로벌 기술기업인 소프트뱅크(SoftBank)에 따르면 2019년 4분기 투자의 위험에 대한 우려로 이익이 감소했다. 이익은 ¥55억엔으로 2018년의 3개월 동안 벌어들인 ¥698억엔의 10분의 1로 줄었다.또한, 미국 이동통신사인 티모바일(T-Mobile)은 $267억 달러의 스프린트(Sprint) 인수에 대해 연방법원으로 조건부로 승인을 받았다.계약은 이미 미국 당국의 승인을 받았으며 공공 유틸리티위원회(public utility commissions)로부터 사전 승인을 받은 것이다.합병 후 합병 회사의 지분 42%를 도이치텔레콤이 확보하여 최대 주주가 되고 소프트뱅크는 합병회사의 지분 27%를 갖게 된다. 이번 승인을 통해 소프트뱅크의 주가는 도쿄증시에서 급등했다.한편 소프트뱅크는 페퍼휴머노이드(Pepper humanoid) 로봇과 같은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Japan-Softbank-AI▲ 소프트뱅크(SoftBank)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