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exercise"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9-11▲ LIG넥스원의 무인수상정 해검2[출처=LIG넥스원]국내 방산업체인 LIG넥스원(대표이사 신익현)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이 공고한 ‘정찰용 무인수상정 체계개발사업’에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정찰용 무인수상정 체계개발은 해군 전진기지 및 주요 항만에 대한 감시정찰, 신속한 현장대응 능력을 보강하기 위해 12미터(m)급 무인수상정 2척을 2027년까지 업체주관으로 연구개발하는 사업이다.이번 사업은 대한민국 해군이 미래 핵심 전력으로 추진하는 해양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네이비 씨 고스트(Navy Sea GHOST)’를 향한 첫 걸음을 내딛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LIG넥스원은 정찰용 무인수상정 체계개발사업의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향후 방산수출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세계적으로 무인수상정 관련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LIG넥스원은 2015년부터 무인수상정 ‘해검(Sea Sword)’ 시리즈를 개발해왔다. 축적된 연구개발 경험을 통해 무인수상정 설계·건조 기술과 무인체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국내 최초로 전력화될 무인수상정의 개발이 완료되면 K방산의 해외시장 공략에 앞장설 대표 무기체계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LIG넥스원은 소형 무인수상정에 탑재 가능한 2.75인치 유도로켓(비궁) 발사대를 자체 개발해 해검 시리즈에서 테스트를 완료하기도 했다.축적된 기술력은 지난 7월 세계 최대 규모 해군 훈련인 림팩(RIMPAC, Rim of the Pacific Exercise)을 계기로 진행한 시험발사에서 비궁 6발 모두 100% 명중시키는 배경이 됐다.이를 통해 대한민국 최초로 유도무기 완제품의 미국시장 진출을 이뤄낼 계기를 마련했다. 무인수상정은 미래전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게임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다.무인수상정의 수출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고 다양한 임무장비를 탑재할 수 있도록 무장 및 탐지체계를 모듈화하는 연구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작전반경 확장을 위해 저궤도 상용위성까지 연동이 가능하도록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신익현 LIG넥스원 대표이사는 “이번 정찰용 무인수상정 체계개발을 통해 해군의 ‘네이비 씨 고스트(Navy Sea GHOST)’의 실체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또한 “향후 전투용 무인수상정과 기뢰전 무인수상정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무인체계의 표준화와 탑재무장 및 센서의 임무형 모듈화를 진행하는 등 대한민국 해군의 무인수상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
독일 유럽중앙은행(ECB)에 따르면 2022년 연초까지 국제은행들의 '데스크 맴핑 엑스사이즈(desk-mapping exercise)' 완료를 촉구했다.데스크 맴핑 엑스사이즈는 국제은행들이 고위 인력 및 직원과 자본의 위치를 어디로 배치했는지, 유럽연합(EU)에서의 사업 운영을 어떻게 설정했는지 등을 상세하게 검토한다. 만약 유럽중앙은행의 목표인 데스크 맴핑 엑스사이즈를 완료할 경우 국제은행들은 유로존과 영국 규제당국의 경쟁적인 요구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유럽중앙은행은 국제은행들이 2020년 3월까지 €1조2000억 유로 이상의 자산을 영국에서 유로존으로 이전하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자산 기준으로 2017년 말에 비해 4배나 큰 규모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중앙은행은 유럽 대륙에서 정상적으로 영업하기 위해 수백명의 추가 인력과 수십억 유로의 추가 자본을 투입할 것을 국제은행들에게 요구하고 있다.유럽중앙은행은 "유럽연합 고객들과 관련된 활동과 서비스들은 주로 유럽연합 내에서 수행돼야 한다" 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유럽중앙은행(European Central Bank, ECB) 홈페이지
-
2021-06-03영국 해군(The Royal Navy)에 따르면 스코틀랜드 해안에서 개최된 나토 미사일 방어훈련(Exercise Formidable Shield) 기간 동안 인공지능(AI) 기반 해상 방공 시스템을 테스트했다.테스트는 국방과학 기술연구소(Dstl) 과학자들이 이끄는 Above Water System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치명적인 위협의 조기 탐지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됐다.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국방과학기술연구소(Dstl)와 업계 파트너인 Roke(Startle App), CGI(Sycoiea App) 및 BAE Systems가 협업했다.또한 이번 테스트에는 2대의 함정인 Type 45 Destroyer(HMS Dragon) 및 Type 23 Frigate(HMS Lancaster)가 참여했다.초음속 미사일 위협의 조기 탐지와 교전 일정을 가속화해 사령관이 최적의 무기를 선택하여 목표물을 요격하기 위한 조치를 진행할수 있도록 한다.이번 테스트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해상 방공 시스템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군사 무기개발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해군(The Royal Navy)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