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Kent"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한국전력 본사 전경 [출처=한국전력]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한국에너지공대(이하 KENTECH), 전라남도와 협력해 추진한 영암군의 ‘한전 - KENTECH 청정수소 프로젝트’가 ‘국토교통부 수소 도시 조성 사업’으로 최종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이번 사업은 한전의 지능형 디지털 발전 기술(IDPP)[1]과 KENTECH의 바이오 수소 생산 기술(ADOS)을 결합한 기술 사업화 모델로 한전과 KENTECH의 첫 사업화 사례다.IDPP(Intelligent Digital Power Plant)는 실시간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 분석을 통해 설비 운영 효율을 향상시키는 플랫폼이다. ADOS는 Anaerobic Digestion of Organic Solid의 약어로 바이오 수소 생산기술을 의미한다.KENTECH의 ADOS는 농업 부산물로부터 재생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악취·폐수가 없는 무공해 기술이다. 기존 바이오가스화 대비 고효율, 저면적, 설비 확장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경제적인 청정수소 생산이 가능하다.현재 국내외 25개 발전소에 적용 중인 한전의 IDPP 기술도 수소 생산 전 주기에 걸쳐 탄소배출을 정밀 추적해 청정수소 인증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적 해법을 제시했다.또한 전남도와 영암군의 자금 투자와 인허가 지원 및 영암 지역 기업인 MC 에너지의 민간투자 등 한전, KENTECH를 비롯한 민·관·산·학·연 10개 기관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의 역량과 노하우로 영암군이 최종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영암군 수소 도시 조성 사업은 2026년부터 2028년까지 3년간 총 35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삼포지구 내 약 3000평 부지에 구축된다.볏짚, 왕겨 등 농업부산물(50톤/일)을 원료로 청정수소(2.1톤/일)를 생산하고 교통·발전·생활 등 도시 전반에 수소를 공급해 지역 순
-
미국 켄터키주 루이빌대학교(University of Louisville, UofL)에 따르면 제조기업들이 더 좋은 제품 개발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비지니스에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시작했다.UofL와 켄터키주에서 공동으로 추진하는 제조 확장 파트너십 'Advantage Kentucky Alliance'는 AIM-3DP(Accelerated Innovative Manufacturing with 3D Printing) 프로그램으로 불린다. AIM-3DP는 자동차, 항공우주 분야 중소 제조업체들에게 교육, 멘토쉽, UofL 지원연구·개발·컨설팅 등을 제공하게 된다. UofL의 첨단 제조 분야 연구 및 혁신을 통해 켄티키주 기업들이 첨단 미래 지향 기술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또한 미 상무부의 물리학 연구소이자 비규제기관인 NIST(National Institutes of Standards and Technology)로 부터 받은 APLU(Association of Public and Land-Grant Universities)에 의해 9만달러의 지원금을 받는다.▲ 루이빌대(University of Louisville) 홈페이지
-
2021-02-01영국 잉글랜드 남동쪽에 위치한 도시인 켄트(Kent)의 경찰서에 따르면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지난 12개월 동안 투자 사기 피해액이 £900만파운드 이상으로 집계됐다.동기간 470건의 투자 사기 피해가 발생했는데 가짜 투자회사에 투자한 사건이다. 정교한 투자 사기극을 벌인 범죄자들은 금융감독원(FCA)이 허가한 실제 투자기업들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을 사용했다.실제 투자기업들의 웹사이트의 정확한 복제본을 설정해 놓은 것이다. 투자 사기범들은 사람들이 허위 웹사이트에 대한 링크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나 인터넷 검색 엔진에 광고를 게재함으로써 투자하도록 유인했다.금융감독원(FCA)은 웹사이트에 'scam or smart' 퀴즈를 통해 투자 사기를 발견 및 인지할 수 있는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조언했다. 투자 사기를 예방하기 위함이다.▲금융감독원(FCA) 홈페이지
-
2018-01-24우즈베키스탄 정부에 따르면 향후 양잠분야와 관련된 5개의 프로젝트를 실시할 계획이다. 실크 관련 완제품의 생산을 확대하기 위한 프로젝트들로 총 비용은 US$ 2600만달러로 추산된다.Bukhara Brilliant Silk는 아랍에미리트 Karoma Investment Limited와 협력해 타슈켄트시에서 실크제품 생산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규모는 500만달러이다.Andijan Silk Co는 중국 Tongxiang Juncheng과 600만달러 규모의 안디잔주 실크직물 생산 프로젝트를 시행할 예정이다.지자흐주에서는 Silk Expert Processing Ltd와 영국 Abnmb그룹이 500만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Agro global LLC는 시르다리야주에서 500만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각각 시행할 계획이다.호레즘주에서는 Khiva Silk Fabric이 500만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시행할 예정이다. 정부의 실크 관련 산업 발전 촉진정책에 따른 프로젝트이다.▲정부청사(출처 : 정부 홈페이지)
-
우즈베키스탄 섬유산업협회 Uzbekengilsanoat에 따르면 2017년 섬유산업의 현대화, 기술 개발, 신규기업 설립 등에 관한 34개의 투자프로젝트가 진행됐다.전체 프로젝트의 비용은 US$ 3억5690만달러에 달했으며 수출잠재력은 1억5170만달러 수준까지 확대됐다. 또한 5870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했다.34개 프로젝트 중 가장 큰 프로젝트는 안디잔에 Marjan Investment Group의 섬유복합단지 건설이었다. 1단계의 부지만 3700만평방미터에 달했다.▲Uzbekengilsanoat 로고
-
중국 섬유회사 Jiujiu Silk에 따르면 향후 우즈베키스탄에 최대 US$ 1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당사는 2013년부터 지자흐자유경제구역에서 실크제품을 생산하 고있다.Jiujiu Silk는 우즈베키스탄과 장쑤성에 산업에 필요한 뽕나무 재배지를 보유하고 있다. 누에고치 및 실크의 생산을 위한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현재 우즈베키스탄에서 실크 제품을 생산하면서 수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향후 투자로 인해 일자리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지자흐주 위치(출처 : 구글맵)
-
우즈베키스탄 정부에 따르면 제 13회 우즈베키스탄 국제 면화 및 섬유 박람회 기간동안 US$ 10억달러 규모의 완성품 및 반제품 수출계약이 체결됐다.다른 나라에서 박람회에 참가한 전문가의 숫자는 1500명이 넘었다. 또한 주요 계약 상대국가는 러시아, 터키, 한국, 싱가포르, 몰도바 등이다.이 박람회는 2017년 10월 23일부터 24일까지 타슈켄트에서 개최됐다. 2016년 동 박람회 기간동안 체결한 계약금액은 13억2000만달러를 기록했다.우즈베키스탄은 2017~19년동안 섬유 및 의류와 니트산업의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을 채택했다. 22억달러 규모의 130개 이상 투자 프로젝트를 계획 중이다.▲우즈베키스탄 국제 면화 및 섬유 박람회 로고
-
2017-10-30우즈베키스탄 농업수자원부에 따르면 2017년 10월 23일 타슈켄트에서 5일간 제13회 국제 면화 및 섬유 박람회를 개최했다.세계 44개국에서 약 1500명의 전문가가 5일간 박람회에 참여했다. 각국의 면화 및 섬유 부문 개발, 세계 면화시장 동향, 무역, 물류, 보험 등에 대한 세션을 개최했다.목화재배, 해충 및 질병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농업기계의 선택, 좋은 품종 생산을 위한 유전학 및 생물공학과 관련된 주제가 논의됐다.이 박람회는 농업수자원부뿐만 아니라 Uzpahtasanoatexport, Academy of Sciences, Uzbekengilsanoat, 대외무역부, 상품거래소, Uzbek Center Sifat, 타기관 등이 후원했다.▲농업수자원부 로고
-
카자흐스탄 정부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과 2021년까지 연간 500만 톤 규모의 석유 수송이 가능한 'Shymkent-Jizzak' 파이프라인의 건설 및 시운전에 합의했다.양국은 카자흐스탄 영토를 통해 우즈베키스탄으로 수송되는 석유의 양을 합의했다. 2017년에는 최대 20만 톤, 2018~20년에는 연 100만 톤, 2021년부터는 최대 500만 톤을 계획 중이다.파이프라인의 설계, 자금조달, 건설, 운영 등은 각국의 권한이 있는 관련 기관들이 양측의 규정에 따라 추진할 예정이다.▲Shymkent(상)와 Jizzak(하)의 위치(출처 : 구글맵)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