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28
" AI"으로 검색하여,
2,28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0-31▲ 삼성SDS 본사 전경 [출처=삼성SDS]삼성SDS(대표이사 사장 이준희)에 따르면 2025년 10월30일(목) 발표한 2025년 3분기 잠정 매출액은 3조391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퍼센트(%) 감소했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232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줄어들었다.IT서비스 부문 매출액은 1조5957억 원으로 2024년 같은 기간 대비 2.1% 감소했다. 클라우드 사업 매출액은 5.9% 증가한 6746억 원을 달성해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클라우드 사업 중 CSP(Cloud Service Provider) 사업은 △공공 서비스를 위한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사용 증가 △제조 업종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 등으로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CSP는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서버 등 가상화한 물리 자원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업이다.MSP 사업은 금융 업종 클라우드 전환/구축/운영 사업, 공공 업종 생성형 인공지능(AI) 구축 서비스 등으로 2024년 같은 기간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MSP(Managed Service Provider)는 기업이 클라우드를 도입·운영할 때 컨설팅부터 네트워크 및 인프라 관리, 보안 및 모니터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물류 부문은 해상 운임 하락과 미국 관세 정책 영향에 따른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7.4% 하락한 1조7956억 원으로 집계됐다.▲ 삼성SDS 2025년 3분기 실적 [출처=삼성SDS]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Cello Square)는 전년 대비 가입 고객이 31% 증가했으며 현재 2만3451개 회사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한편 관세 정책과 기업들의 투자 감소로 불확실한 경제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삼성SDS는 클라우드 및 생성형 AI 서비스, 첼로스퀘어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공공사업에서는 삼성SDS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들의 후속 구축 사업에 집중하고 대구 민관협력형 클라우드센터
-
2025-10-31▲ 10월 31일 삼성전자 수원 디지털시티에서 열린 삼성전자 창립 56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는 전영현 대표이사 부회장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10월31일(금) 경기도 수원 디지털시티에서 전영현 대표이사 부회장을 비롯한 경영진과 임직원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56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기념식은 근속상 및 모범상 시상, 축하공연, 창립기념사, 기념영상 시청 순으로 진행됐다. 전영현 부회장은 이날 창립기념사를 통해 근원적 경쟁력 회복 및 인공지능(AI) 시대 선도 의지를 강조하며 이를 위한 협업과 도전을 당부했다.전 부회장은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삼성전자는 지금 중대한 변곡점에 서 있다”며 “초심으로 돌아가 기술의 본질과 품질의 완성도에 집중해 근원적 경쟁력을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AI는 이미 산업의 경계를 허물어 세상을 새롭게 만들어가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그 변화를 뒤따르는 기업이 아니라 AI 혁신을 이끌어가는 기업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특히 전 부회장은 “삼성전자 고유의 기술력과 AI 역량을 본격 융합할 것이다”며 “AI를 적극 활용해 고객들의 니즈와 관련 생태계를 혁신하는 ‘AI 드리븐 컴퍼니(Driven Company)’로 도약하자”고 밝혔다.또한 “지금 회사는 더 큰 도약을 위한 새로운 출발선에 섰다”면서 “서로에 대한 믿음과 함께라는 저력으로 새롭고 담대한 도전을 함께하자”고 임직원들에게 격려의 메시지를 전했다.전 부회장은 끝으로 “모든 업무 과정에서 준법 문화를 확립하고 사회와 상생을 실현하며 ‘최고의 기술로 존경받는 기업’이 되자”고 당부하며 기념사를 마무리했다.
-
2025-10-30▲ 폴 르윈(Paul Lwin) 해벅AI(HavocAI) CEO(맨 오른쪽 발표자)가 한화 임직원들에게 하와이 앞 바다에 대기중인 해벅AI의 무인수상정을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원격통제하는 기술 시연 [출처=한화시스템]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에 따르면 2025년 10월28일(화) 미국 해벅AI(HavocAI와 해양무인체계의 자율운항 및 원격 운용 기술에 대한 전략적 협력을 앞두고 양사 기술력을 확인하는 자리를 가졌다.최고경영자(CEO)인 폴 르윈(Paul Lwin)과 연구진들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 방문해 한화의 함정건조 및 해양시스템 역량을 확인했다.이어 하와이 앞 바다에 대기 중인 해벅AI의 무인수상정(USV)을 한국 거제에서 원격 통제하는 기술 시연을 성공적으로 선보였다.한화는 이번 해벅AI와 만남이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해양무인체계 시장으로 선제적 진입과 실효적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초석으로 보고 있다.한화그룹(회장 김승연)의 해양방산 사업을 맡고 있는 한화시스템과 한화오션은 2024년 필리조선소 인수를 통해 미국 진출의 포문을 연 바 있다.앞으로 실질적인 협력을 통해 한화오션의 함정 건조 역량, 한화시스템의 함정전투체계(CMS)·통합기관제어체계(ECS)·함정 추진체계 상태기반진단체계(CBMS) 등 독보적인 시스템 통합 역량과 해벅AI의 수준급 자율운항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실제 제품 및 솔루션까지 도출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또한 방산 및 민수 영역 모두 적용 가능한 확장성 있는 자율운항 솔루션을 제공하고, 유지비 절감 등 운용 효율성까지 향상시킬 계획이다.함정전투체계(CMS, Combat Management System)는 함정의 ‘두뇌’로 센서를 통해 다가오는 위협체를 탐지·식별하고 이를 무장체계와 연동해 교전 명령을 내리는 함정의 핵심 시스템이다.한화시스템은 지난 40년 간 대한민국 해군 함정에 전투체계를 공급해 온 국내 유일 기업으로 순수 국내 기술 기반의 독자
-
2025-10-30▲ 신한카드, SK텔레콤과 보이스피싱 예방 업무 협약식(왼쪽부터 SK텔레콤 박준 AI인텔리전스 사업본부장과 신한카드 조문일 소비자보호본부 상무) [출처=신한카드]신한카드(사장 박창훈)에 따르면 카드업계 최초로 통신·금융 데이터를 결합한 인공지능(AI) 기반의 금융사기 예방 체계를 구축했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금융사기 근절 종합대책’에 발맞추기 위한 목적이다.금융사기 방어 체계는 SK텔레콤의 AI 보안 플랫폼 ‘FAME(Fraud Detection AI for MNO & Enterprise)’을 신한카드의 자체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과 연동한 것이 특징이다.‘FAME’은 통신망에서 탐지된 의심 통화, 비정상 URL 및 악성 앱 접근 정보와 카드 거래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한다. 통화·거래·결제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의심 징후가 포착되면 결제를 즉시 제한하고 고객에게 경고 메시지를 발송한다.이 외에도 AI 모델이 통신 패턴과 거래 이력을 결합해 학습함으로써 최근 급증하는 가스라이팅형 피싱 수법까지 선제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FAME’ 도입을 통해 신한카드는 다변화하는 보이스피싱 유형을 선제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물론 보이스피싱 의심 통화 직후 발생할 수 있는 금융거래를 실시간으로 차단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한편 신한카드는 △악성 앱 탐지 솔루션(피싱아이즈) △위치 정보 기반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KCB 휴대폰 개통 정보를 활용한 정보 도용 예방 서비스 등 다양한 AI 데이터 기반 보호 체계를 지속적으로 확장해왔다.신한카드는 이후 정부 및 금융당국이 강조하는 ‘선제적 소비자 보호’ 및 ‘민관 협력 기반 금융사기 대응 체계’를 더욱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신한카드는 "금융사기 근절 기조에 발맞춰 통신사 및 신용평가사와 협업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며
-
▲ 쿠팡 CLS, 경남도지사 표창 수상(김명주 경상남도 경제부지사(오른쪽)가 쿠팡 CLS 곽형주 상무에게 표창 수여) [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박대준)에 따르면 2025년 10월28일(화) 웨스틴조선 서울 호텔에서 열린 ‘2025 경상남도 투자유치 설명회’ 시상식에서 자회사 쿠팡로지스틱스(CLS)가 경남도지사 표창을 수상했다.경상남도 김해시 지역 일자리 창출,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CLS는 경상남도 투자 우수기업으로 선정됐으며 자사 홍용준 대표이사의 표창 수상은 홍 대표를 대신해 곽형주 상무가 받았다.CLS는 경남에서 신규고용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두각을 보인 주요 기업 10곳 중 하나로 선정됐다. 2025년 2월 쿠팡이 경남도 및 김해시와 투자협약을 맺고 최첨단 인공지능(AI)기술이 적용된 스마트물류센터를 구축했다.총 1930억 원을 투자해 김해 안동 일대에 연면적 약 3만7000평 규모로 조성됐다. 김해 스마트물류센터(지하 1층~지상 8층)는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고객 주문 수요를 예측해 주문량이 많은 상품을 즉시 로켓배송하며 일자리 1400여개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했다. 저온 냉동·냉장 시설을 구축해 내년부터 신선식품 새벽배송이 가능해진다.▲ 쿠팡 CLS, 경남도지사 표창 수상(쿠팡 CLS 곽형주 상무(왼쪽에서 네번째)를 비롯한 경상남도 투자 우수기업 참석자 모습) [출처=쿠팡]경남도는 “홍 대표는 CLS의 대표이사로 2023년 취임한 이후 새벽배송, 당일배송 등 쿠팡의 최고 고객 서비스를 대한민국 전역에 확장하며 혁신 물류 기술과 인프라 구축 투자를 주도했다”며 “대규모 투자를 통해 도민에게 수도권과 동일한 양질의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경남도에 따르면 CLS는 김해 스마트물류센터에 2025년 9월까지 이미 1350여명을 채용했다. 업무 협약 기준 고용 목표치인 1450명의 93퍼센트(%)에 도달한 것이다
-
▲ 서울공대 화학생물공학부 남재욱 교수 ‘양승만 이동현상부문상’ 초대 수상자 선정(왼쪽부터 김방희 한국화학공학회장, 남재욱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출처=서울대학교 공과대학]서울대(총장 유홍림) 공과대학(학장 김영호, 이하 서울공대)에 따르면 남재욱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가 한국화학공학회가 제정한 ‘양승만 이동현상부문상’의 제1회 수상자로 선정됐다.시상식은 2025년 10월15일(수)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화학공학회 2025년도 가을 총회 및 국제학술대회에서 진행됐다.‘양승만 이동현상부문상’은 고(故) 양승만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명예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교육적 헌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했다.그가 평생을 바쳐 발전시킨 이동현상 분야의 학문적 전통을 이어가기 위해 양 교수의 제자들과 부인 홍의정 여사의 기부금으로 제정된 상이다. 이동현상(Transport Phenomena) 분야의 연구 및 교육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둔 연구자에게 앞으로 매년 수여된다.양 교수는 1976년 서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Caltech)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해 KAIST 생명화학공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했다.2013년 9월 26일 향년 63세로 별세해 학계에 큰 안타까움을 안긴 바 있다. 유체역학, 콜로이드 자기조립, 광학 소재 등 미시적 이동현상 연구에서 선구자적 업적을 남겼으며 200편에 이르는 논문 출판과 다수의 국내외 수상 경력으로 그 우수성을 공인받았다.제1회 수상자인 남재욱 교수는 이동현상, 유변학, 용액 공정 분야의 권위자로 기초학문과 산업 응용을 융합한 공정 해석 연구를 선도해왔다.특히 배터리 전극 및 디스플레이 광학층의 고속 생산을 위한 슬롯 다이 코팅 공정의 해석과 개발을 통해 실험과 수치 해석을 결합한 공정 이해 체계를 구축했다.이 연구는 연속 코팅, 박막 형성, 점탄성 유동 제어 등 첨단 제조 기술의 기반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현재 에너지·환
-
2025년 10월28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대형 보험사는 2024년 손실을 회복하기 위해 인수합병을 가속화하고 있다.캐나다는 미국과 관세전쟁으로 주요 품목의 수출이 감소세를 보여 경제 전반에 걸쳐 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다. 고용도 늘어나지 않아 정부의 고심이 깊어졌다.브라질은 중앙은행의 기준 금리 인상으로 주택에 대한 구매의욕이 하락해 건설업이 침체됐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전에 비해서는 성장했지만 2024년과 비교하면 감소했다. ▲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 빌딩 [출처=위키피디아]◇ 미국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그룹(AIG ), 에버레스트 그룹(Everest Group)의 글로벌 소매 보험 사업의 갱신권리 인수미국 글로벌 보험회사인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그룹(American International Group, Inc., AIG)은 에버레스트 그룹(Everest Group)의 글로벌 소매 보험 사업의 갱신권리를 인수한다고 밝혔다.인수 금액은 US$ 20억 달러이며 이전 부채 위험을 회피하면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 목적이다. AIG는 2024년 손실을 전환하기 위해 운영 효율성과 인공지능(AI) 주도의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2024년 기준 AIG의 보험 프리미엄은 239억 달러로 전년 대비 6% 증가했다. 신규 사업의 매출액은 45억 달러로 전년 대비 9% 확대됐다. ◇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 2025년 2분기 수출액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했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기간을 제외하고 2009년 이후 2분기 감소폭으로 최대치다.캐나다산 주요 제품인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기타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 부과가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수출 감소는 제조업, 도매업, 고용 등 모든 분야에서
-
2025년 10월28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두고 있는 엔지니어링 기업은 북해에서 사업이 부진하며 법정관리를 신청했다.중국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는 미국 아마존과 경쟁하기 위해 프랑스에서 온라인 사이트를 오픈했다. 영국을 포함해 유럽 6개 국가에서 접근이 가능하다.아일랜드는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여름 관광객이 감소해 관광산업 전반에서 경영상 어려움을 겪었다. 호텔의 매출액은 증가했지만 장기 투숙자는 줄어들었다.▲ 중국 글로벌 전자상거래 업체인 징둥닷컴(JD.com)의 조이바이(Joybuy 로고◇ 영국 페트로팩(Petrofac), 2025년 10월 28일 법정관리 신청영국 글로벌 에너지기업인 페트로팩(Petrofac)은 2025년 10월 28일 법정관리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북해에서 석유 사업은 지속할 방침이다.네덜란드 발전사업자인 테넷(TenneT)이 대규모 심해 풍력발전소 건설 계약을 종료한 이후 발표된 내용이다. 이 프로젝트는 페트로펙의 재무구조조정에 핵심이었다.1981년 미국 텍사스에서 창업한 페트로펙은 엔지니어링, 프로젝트 관리, 물류 서비스뿐만 아니라 석유, 가스, 신재생에너지 등의 프로젝트에 필요한 시설의 설계하고 건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중국 징둥닷컴(JD.com), 프랑스에서 전자상거래 플랫폼 조이바이(Joybuy) 사이트 론칭중국 글로벌 전자상거래 업체인 징둥닷컴(JD.com)은 프랑스에서 전자상거래 플랫폼 조이바이(Joybuy) 사이트를 론칭했다고 밝혔다. 미국 경쟁사인 아마존과 대결하기 위한 목적이다.프랑스를 포함해 독일,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등 유럽 6개 국가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2025년 4월 이후 영국 서비스를 진행 중이다.다른 중국 기업인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와 달리 다양하고 비싼 가격대의 제품을 판매할 방침이다. €1유로 제품부터 시작해 1930유로의 아이폰 18 프로 맥스까지 취급한다. 가정용품, 가구, 디
-
2025-10-28▲ SK AX CI [출처=SK AX]SK AX(사장:윤풍영, skax.co.kr)에 따르면 2025년 10월28일(화) ‘우리투자증권 AX 기반 디지털 시스템 구축 사업’에 착수했다.이번 사업은 고객이 체감하는 금융 서비스를 비롯해 내부 업무 프로세스, 상품 구성, 고객 데이터 활용, 시스템 개발 체계까지 증권 비즈니스 전반을 아우르는 AX 혁신을 목표로 한다.SK AX는 그동안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주요 증권사와 협업을 통해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실전형 AX 역량을 입증했다.고객 접점부터 상품 운영, 내부 시스템 효율화까지 전 영역에서 운영 체계를 고도화하고 24시간 안정적인 운영과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해 왔다.SK AX는 먼저 다양한 채널을 한 플랫폼에서 일관되게 운영할 수 있는 ‘원 플랫폼(One Platform)’ 체계를 구현한다.디지털 창구와 외부 영업 채널인 아웃도어세일즈(ODS, Out Door Sales)를 단일 플랫폼으로 통합해 고객이 지점에서든 외부에서든 동일한 상품을 같은 방식으로 안내받고 가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주식, 해외 주식, 채권, 펀드 등 다양한 금융 투자상품을 한 계좌에서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는 ‘통합 계좌 기반 상품 운용 체계’도 구현한다.별도 계좌 개설 없이 다양한 상품 간 자산 이동과 운용이 가능해지면서, 증권 서비스 유연성과 확장성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객 데이터 분석 활용· 체계도 한층 고도화된다. SK AX는 고객정보·거래 이력·투자성향·보유 자산구성 등을 한 화면에 통합 제공하는 ‘싱글 뷰(Single View)’ 기반 고객 관리 체계를 구축한다.고객별 니즈에 최적화된 상품 추천과 상담을 지원함으로써 초개인화된 자산관리 서비스와 마케팅을 가능하게 한다. 고객 포트폴리오 위험도도 실시간 모니터링되기 때문에 보다 정
-
▲ HD현대 본사 전경 [출처=HD현대]HD현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2025년 10월24일(금) HD현대로보틱스(대표이사 사장 김완수)가 KDB산업은행 및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KY PE와 18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계약을 체결했다.로봇전문기업 HD현대로보틱스가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산업은행과 KY PE는 9.1퍼센트(%)에 해당하는 HD현대로보틱스 지분을 확보하게 됐다. 앞서 HD현대로보틱스는 2020년 KT로부터 500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한 바 있다. 당시 5000억 원으로 평가받았던 기업가치는 이번 투자 유치 과정에서 1조8000억 원으로 증가, 5년 만에 약 4배 상승했다. HD현대로보틱스는 이번 투자 유치의 성공 요인을 40년간 유지해 온 국내 로봇 시장 매출 1위 기업으로서의 위상과 회사가 보유한 우수한 인공지능(AI) 기술 역량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KDB산업은행은 국내 로봇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자 이번 투자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KDB산업은행은 현재 ‘국민성장펀드’ 조성 등을 통해 국가 첨단 전략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로봇 시장의 미래 전망도 밝은 편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2030년 84조 원에 이르고 연평균 성장률은 9.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HD현대로보틱스는 투자 유치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피지컬(Physical) AI 기반 차세대 핵심 기술 개발 △해외 시장 확대 △미래 투자를 위한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피지컬 AI 기술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 무엇보다 스스로 인지·판단·행동하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을 확보하는데 집중, 사람의 개입이나 조작 없이 작업환경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로봇 기
1
2
3
4
5
6
7
8
9
10
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