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6
" 확장"으로 검색하여,
25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LG사이언스파크 전경 [출처=LG이노텍]LG이노텍(대표 문혁수)에 따르면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2025년 3분기 매출은 5조369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퍼센트(%) 감소했으나 전분기 대비 36.5%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203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2%, 전분기 대비 1689% 각각 확대됐다.회사 관계자는 “계절적 성수기 진입으로 고부가 카메라 모듈 및 RF-SiP(Radio Frequency-System in Package) 등 통신용 반도체 기판의 공급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우호적 환율에 더해 광학, 전장 등 사업부별 수익성 제고 활동 성과가 가시화되며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크게 늘었다”고 덧붙였다.이어 “4분기는 모바일 신모델 공급 성수기로, 카메라 모듈을 비롯해 RF-SiP 등 통신용 반도체 기판의 매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또한 글로벌 고객사향 FC-BGA(Flip Chip Ball Grid Array)제품 라인업 확대, 전장부품 원가 혁신을 통한 수익성 개선이 예상된다”고 말했다.LG이노텍은 확장성 높은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신사업을 적극 육성하며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LG이노텍은 차량 센싱·통신·조명 등 AD/ADAS용 부품 및 고부가 반도체 기판 사업, 그리고 로봇·드론·우주산업용 부품 사업 등을 미래 육성사업으로 지정했다.2030년까지 이들 사업의 매출을 8조 원 이상, 매출 비중을 전체의 25%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수익성 개선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박지환 CFO(전무)는 “베트남, 멕시코 신공장 증설을 바탕으로 전략적 글로벌 생산지 운영을 가속화하는 한편, AX(AI Transformation) 도입 확대, 핵심 부품 내재화 등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빠르게 높여 나갈 것이다&rd
-
2025-10-30▲ 엔씨(NC) 길드워2, 여섯 번째 확장팩 ‘비전 오브 이터니티’ [출처=엔씨소프트]엔씨소프트(공동대표 김택진, 박병무 이하 엔씨(NC))에 따르면 2025년 10월28일(현지 기준) 북미·유럽 지역에 길드워2(Guild Wars 2®)의 확장팩 ‘비전 오브 이터니티(Visions of Eternity™)’를 출시했다.길드워2는 엔씨(NC)의 북미 개발 스튜디오인 아레나넷(ArenaNet)이 개발한 PC 온라인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다. 비전 오브 이터니티는 2024년 출시된 ‘잔티르 와일즈(Janthir Wilds™)’에 이은 여섯 번째 확장팩이다.길드워2는 이번 확장팩을 통해 ‘엘리트 스페셜라이제이션(Elite Specialization)’을 선보인다. 기존 9개의 클래스(Class, 직업)에 새로운 특성과 스킬들을 추가해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캐릭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육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2025년 8월20일부터 27일까지 진행한 베타 테스트(Beta Test) 결과와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완성했다. 이번 확장팩의 배경인 카스토라(Castora) 섬에는 신규 지역 2종이 추가됐다.하우징 시스템 ‘홈스테드(Homesteads)’에도 카스토라 섬 테마가 더해지고 자신이 꾸민 공간을 다른 이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홈스테드 레이아웃(Homestead Layout)’ 기능이 도입됐다.또한 탈 것 ‘스키머(Skimmer)’의 전투 및 이동 능력이 강화돼 이용자는 육지와 바다를 오가며 카스토라 섬 지역을 자유롭게 탐험할 수 있다.엔씨(NC)는 2026년 대규모 업데이트를 통해 다양한 추가 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다. △신규 지역 2종 △10인 단위로 진행 가능한 레이드 콘텐츠 △신규 전설 등급 장비 △편의성 기능 등이 순차적으로 더해질 예정이다
-
2025-10-27▲ 엔씨소프트의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THRONE AND LIBERTY’가 글로벌 콘솔 서비스를 확장한다 [출처=엔씨소프트]엔씨소프트(공동대표 김택진, 박병무, 이하 엔씨(NC))에 따르면 2025년 10월28일(화)부터 아마존게임즈와 함께 TL 콘솔 서비스를 한국, 대만을 포함한 아시아 권역(이하 1권역)에 오픈한다.엔씨소프트의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THRONE AND LIBERTY(개발사 퍼스트스파크 게임즈, 대표 최문영)’가 글로벌 콘솔 서비스를 확장한다. 엔씨(NC)와 1권역 이용자는 플레이스테이션 5(PlayStation 5, PS5)와 엑스박스 시리즈 S|X(Xbox Series S|X)를 통해 아마존게임즈가 서비스 중인 TL 글로벌 버전을 플레이할 수 있다. ‘퍼플(PURPLE)’을 통한 TL의 1권역 서비스는 기존과 동일하게 독립적으로 운영한다.TL은 △2023년 12월, 자사 플랫폼 ‘퍼플’ 통해 1권역 선출시 △2024년 10월, 글로벌 퍼블리셔인 아마존게임즈와 북·중·남미, 유럽, 오세아니아, 일본 등 지역에서 스팀·콘솔 글로벌 서비스를 오픈한다.2025년 9월, 1권역에 스팀 글로벌 버전 확장 등 안정적인 서비스를 이어 오고 있다. 글로벌 콘솔 서비스 확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TL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문영 퍼스트스파크 게임즈 대표는 “1권역 이용자들에게도 콘솔에서의 TL 플레이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이용자분들의 목소리에 늘 귀 기울이며 TL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
2025-10-24▲ 대한전선 남아공 생산 법인 엠텍, 전력케이블 공장 확장 준공(좌부터 주남아공 양동한 한국 대사, 에스콤(Eskom) 연구개발실장, 엠텍 신영수 법인장, 대한전선 김준석 부사장, 호반그룹 김대헌 기획총괄사장, 남아공 통상산업경쟁부(DTIC) 에너지부문장, CIH 회장, CIH 대표이사) [출처=대한전선]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에 따르면 2025년 10월22일(수, 현지시각)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생산법인인 ‘엠텍(M-TEC)’의 전력케이블 공장 확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대한전선이 아프리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생산 역량을 확대했다.남아공 지중 전력 시장의 9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는 중저압(MV/LV) 케이블의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공장을 확장 건설한 것이다.최첨단 절연 설비인 CCV(Catenary Continuous Vulcanization, 현수식 연속 압출) 라인을 추가 도입했다. 이번 투자로 엠텍의 중저압 케이블 생산 능력(CAPA)은 기존 대비 2배 이상 증가하고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이 강화될 예정이다.이날 공장에서 열린 준공식에는 남아공의 통상산업경쟁부(DTIC, Department of Trade, Industry and Competition)의 레스터 바우어(Lester Bouah) 에너지 부문장을 비롯해 국영전력공사 에스콤(Eskom), 파트너사인 CIH, 주남아공 양동한 한국 대사와 호반그룹 김대헌 기획 총괄사장, 대한전선 김준석 부사장, 엠텍 신영수 법인장 등이 참석했다.엠텍은 대한전선이 2000년 아프리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투자 및 설립한 남아공 합작법인이다. 중저압 케이블, 가공선, 전차선, 통신케이블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공급하며 현지 시장에서 신뢰를 쌓아왔다. 이를 기반으로 2024년 매출 1239억 원을 달성했다. 2023년 대비 약 33% 성장한 성과다.남아공 통상산업경쟁부 레스터 바우어(Lester Bouah) 에너지 부문장은 축사를 통해 “남아공은 정부
-
2025-10-24▲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의왕 연구소’ 확장 이전(의왕 연구소 연구원들) [출처=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대표이사 김연섭)에 따르면 2025년 10월24일(금) 오전 경기도 의왕시 소재 ‘의왕연구소’를 확장 이전했다. 기존 면적 대비 약 2배인 약 2385평방미터(㎡)(약 721평)로 확장했다.이날 개소식에는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김연섭 대표이사와 롯데케미칼 첨단소재 사업 황민재 대표이사 등 임직원들이 참여해 연구동과 사무동 이전 오픈을 축하했다. 최신 시설 확충을 통해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제품 경쟁력 강화에 연구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회사의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하고 차세대 배터리 소재 기술의 상용화와 효율적 수행을 위해 최신 드라이룸을 3개로 확충했다.또한 소재·분석·프로세스 전문 연구 인력을 배치해 고객 대응의 신속성과 제품 개발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롯데그룹 내 화학사인 롯데케미칼, 롯데인프라셀 등과의 협력으로 개발/품질 고도화 및 기술개발 시너지를 가져올 수 있게 됐다.한편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2024년 말 연산 1000톤(t) 규모의 3세대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파일럿을 완공하고 국내/외 고객사에 샘플 제공 및 공장 안정화를 추진하고 있다.2024년 9월 전라북도 익산 2공장에 완공한 연산 70t 규모의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파일럿은 국내 최고 수준의 에너지밀도와 안정성, 양산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사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김연섭 대표이사는 “전지의 성능과 신뢰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인 배터리 소재 기술의 독보적인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 연구소 확장 이전을 추진했다”며 “의왕연구소에서 창출될 혁신적인 연구 성과들은 우리 회사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돼 산업 생태계 전반의 기술 경쟁력 향상과 지속 가능한 ESG 가치 창출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다”고 소감을 밝혔다.
-
2025-10-16▲ ㈜오뚜기, 얼큰하고 시원한 추억의 맛 ‘가락생우동’ 출시 [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회장 함영준, 대표이사 사장 황성만)에 따르면 얼큰하고 시원한 국물 맛을 살린 냉장면 신제품'가락생우동'을 출시했다.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면류 수요에 맞춰, 겨울철 우동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이번 신제품을 선보였다. 소비자의 취향을 반영해 기존 가쓰오 사누끼 우동·유부우동 등 일본식 메뉴 외에 깔끔한 '한식 우동'을 추가하며 라인업을 확장했다.신제품 '가락생우동'은 얇고 부드러운 생면을 사용해 갓 뽑은 듯 쫄깃한 식감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유부, 쑥갓, 대파, 김, 고춧가루 등 다채로운 고명을 더해 푸짐하게 구성했다.별첨 고춧가루로 매운맛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취향에 따라 담백하거나 얼큰하게 즐길 수 있다. 시원하면서도 칼칼한 국물 맛은 식사 메뉴는 물론 안주나 해장용으로도 잘 어울린다.해당 제품은 현재 공식 자사몰 ‘오뚜기몰’을 비롯해 각종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을 통해 구매 가능하다.오뚜기 관계자는 "가락생우동은 부드럽고 쫄깃한 생면의 식감과 얼큰하고 시원한 국물 맛을 더해, 추억 속 한식 우동맛을 그대로 구현한 제품이다"며 "앞으로도 계절별 수요와 소비자 입맛을 반영한 다양한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고 밝혔다.
-
2025-10-08▲ HD현대로보틱스가 출시한 차세대 산업용 AI 로봇 제어기 ‘Hi7’ [출처=HD현대]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2025년 10월1일(수) HD현대로보틱스(대표이사 김완수)가 차세대 산업용 AI 로봇 제어기 ‘Hi7’을 공식 출시했다.‘Hi7’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안전 제어 솔루션 ‘세이프스페이스(SafeSpace)2.0’을 탑재했다. 로봇에 AI를 접목해 작업의 안전성과 확장성을 제고했다. 제어기는 고도화된 안전 시뮬레이션과 움직임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센서가 수집한 상황 정보를 AI가 분석해 운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며 움직임과 충격을 감지해 즉각적으로 로봇의 동작을 멈추는 등 현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한다.또한 업계 최초로 충돌 예방 기능에 라이다(LiDAR) 센서를 연동, 사물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돼 보다 정밀한 안전 제어가 가능해졌다.‘Hi7’은 협동 로봇과 산업용 로봇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특히 협동 로봇의 경우 공정별 전용 소프트웨어와 다양한 통신 규격을 통해 작업 범위의 확대 및 외부 장비와의 연동이 가능해져 산업용 로봇과 동일한 수준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Hi7’에는 로봇의 두뇌와 신경을 하나로 엮는 ‘AI 모듈’이 탑재돼 있다. 이 모듈은 로봇이 가진 다양한 기능과 외부의 AI·비전 솔루션을 하나로 융합해 주는 핵심 장치다.이를 통해 로봇은 주변 환경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 상황에 따라 스스로 판단해 움직일 수 있는 ‘스마트 작업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아울러 ‘Hi7’은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을 받은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적용해 누구나 손쉽게 로봇을 세팅하고 운용할
-
2025년 9월16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인공지능 기업은 생성형 AI(인공지능)의 사용자 중 여성의 비율이 점점 증가해 성차별이 사라진다고 밝혔다.캐나다는 지역별로 주택 판매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통적으로 9월에 접어들면 신규 매물이 증가하는 편이다.중국계 음식물 배달업체는 브라질의 배송망을 확장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결정했다. 현재 2곳에 불과한 서비스 지역을 20여개 도시로 확장할 방침이다.▲ 미국 인공지능(AI) 전문업체인 오픈AI(Open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울트먼 [출처=홈페이지]◇ 미국 오픈AI(OpenAI), 챗GPT(ChatGPT) 사용에 대한 성별 격차가 점점 사라지고 있어미국 인공지능(AI) 전문업체인 오픈AI(OpenAI)에 따르면 챗GPT(ChatGPT) 사용에 대한 성별 격차가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주간 사용자 약 7억 명으로부터 150만 건의 대화를 분석한 결과다.서비스를 시작한 초기에는 챗GPT 사용자의 80%가 남자였다. 하지만 현재는 여자 이름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챗GPT를 사용하는 목적의 80%는 실용적인 가이드, 정보 검색, 글쓰기 도움 등 3가지로 귀결됐다. 친구를 찾거나 가상 치료의 목적으로 챗GPT를 사용하는 비율은 2% 미만으로 나타났다.◇ 캐나다부동산협회(CREA), 2205년 8월 주택 판매 건수는 4만257채로 전년 동월 3만9522채에 비해 증가캐나다부동산협회(CREA)는 2205년 8월 주택 판매 건수는 4만257채로 전년 동월 3만9522채에 비해 증가했다고 밝혔다. 7월과 비교하면 1.1% 확대됐다.주택 판매는 5개월 연속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3월 이후 12.5% 늘어났다. 대부분의 주택 판매자는 9월부터 매매물을 내놓는 경향이 있어 이러한 추세를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지역별로 세분해 보면 토론토 지역의 판매는 소폭 감소한
-
▲ 한화시스템·한화오션·한화파워시스템, ABS와 美 선박 사이버보안 공동연구 착수 [출처=한화시스템]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에 따르면 2025년 9월9일(현지 시각)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된 가스텍(Gastech) 2025 현장에서 미국 ABS와 한화 3사가 미국 해안경비대(USCG, U.S. Coast Guard)의 사이버보안 규정과 미국 기국(US Flag) 선박 요건 대응을 위한 공동연구 추진 협약을 체결했다.미국 기국 선박은 미국이 관할권을 갖는 선박을 뜻한다. 여러 국가를 항해하는 선박의 경우 운영사와 관계없이 기국주의(旗國主義)에 따라 선박 관할·통제 책임은 선박이 달고 있는 깃발, 즉 기국(旗國)에 있다는 원칙이 있다.한화시스템, 한화오션(대표이사 김희철), 한화 파워시스템(대표이사 라피 발타, Rafi Balta) 3사는 미국 선급협회 ABS(American Bureau of Shipping)와 미국 선박 사이버보안 규제 대응을 위한 공동 연구에 돌입한다.이번 협약으로 한화는 미국 상선·해양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글로벌 해양 사이버보안 표준을 주도하는 입지를 강화하게 됐다. ABS의 참여로 연구 성과의 신뢰성과 국제 확산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공동연구는 △미국 사이버 규제 분석 △선종별 통합 보안 체계 구축 △선박 맞춤형 보안 솔루션 개발 △국제표준(IACS UR E26) 기반 기술 확장 △실시간 위협 대응·복원력 기술 고도화 등을 주요 과제로 다룰 예정이다한편 한화시스템과 한화오션은 이번 가스텍 2025에서 세계 최초로 실제 선박을 대상으로 한 ABS의 ‘국제 선급협회(IACS) UR E26 사이버 복원력 기본 인증(AiP, Approval in Principle)’을 획득했다.이는 선박이 해킹·디도스(DDoS)·랜섬웨어 등 다양한 사이버 위협에 직면했을 때 운항을 중단하지 않고 신속히 대응하고 안전하
-
2025-09-09▲ 엔씨소프트 본사 전경 [출처=엔씨소프트]엔씨소프트(공동대표 김택진, 박병무, 이하 엔씨(NC))에 따르면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THRONE AND LIBERTY(개발사 퍼스트스파크 게임즈, 대표 최문영)’가 글로벌 서비스 확장과 대규모 업데이트를 예고했다.엔씨(NC)와 아마존게임즈는 스팀(Steam)에서 서비스 중인 TL의 글로벌 서비스 지역을 2025년 9월18일(목)부터 확장한다.한국, 대만을 포함한 아시아 권역(이하 1권역) 서비스 이용자들도 아마존게임즈가 서비스 중인 TL 글로벌 버전을 플레이할 수 있다.TL 글로벌 버전은 한국어 텍스트와 보이스, 중국어(번체) 텍스트를 추가로 제공한다. ‘퍼플(PURPLE)’을 통한 TL의 1권역 서비스는 기존과 동일하게 독립적으로 운영한다.엔씨(NC)는 2023년12월 1권역에 자사 플랫폼 ‘퍼플’로 TL을 선출시 했다. 2024년10월 글로벌 퍼블리셔인 아마존게임즈와 북·중·남미, 유럽, 오세아니아, 일본 등 지역에서 TL 글로벌 서비스를 시작했다.최문영 퍼스트스파크 게임즈 대표는 “글로벌 환경에서 전 세계 이용자와 함께 TL을 즐기고 싶다는 많은 1권역 이용자들의 요청을 반영했다”며 “기존 1권역과 글로벌 서비스 모두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퍼스트스파크 게임즈는 박건수 PD가 출연하는 ‘TL PD Talks’ 영상을 9월10일(수) 오전 10시 공개한다. 9월16일(화)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대규모 업데이트를 소개할 예정이다.△신규 무기 ‘마력구’ △신규 PvP(Player vs Player) 24 vs 24 전장 ‘거인의 시가지’ △오픈 필드 PvP ‘심연석 점령전’ △구조를 바꿔 전투 몰입도를 강화한 ‘공성전’ △
1
2
3
4
5
6
7
8
9
10
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