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테스트 랩"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0-30▲ 삼성 HVAC 테스트 랩 설립(일본 최북단에 위치한 홋카이도 아사히카와 지역)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일본 최북단에 위치한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에 ‘삼성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테스트 랩’을 설립했다.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난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 테스트 랩이 위치한 아사히카와는 내륙 분지로 겨울철 최저 기온이 영하 20도 이하, 월 누적 적설량이 최대 127센티미터(cm)에 달하는 혹한·강설 지역이다.삼성전자는 아사히카와 지역의 극한 기후를 활용해 냉난방기의 난방 성능을 좌우하는 ‘제상 시스템’과 고효율 냉난방 시스템 ‘히트펌프 솔루션’의 신뢰성 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제상 시스템은 냉난방기의 핵심 부품인 ‘열교환기’에 쌓이는 성에를 제거하는 시스템이다. 난방 운전 중 응축된 수분이 성에 형태로 열교환기에 응고되면 열교환기의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냉난방기가 스스로 열교환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시점에 제상 시스템을 가동해야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삼성전자는 성에의 형태를 학습해 최적의 제상 운전 시점을 판단하는 제상 기술로 난방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높인 제품을 한국, 북미와 유럽 등에 선보이고 있다. 이번 HVAC 테스트 랩에서 기술 연구와 실험, 검증을 진행해 더욱 효과적인 제상 성능을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또한 삼성전자는 유럽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주거용 히트펌프’ 시장 공략을 위해 스웨덴 왕립공과대학, 룰레오 공과대, 로컬 시험소 등과 협업해 히트펌프 기술 고도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 결과를 HVAC 테스트 랩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검증해 한층 강력한 성능을 내는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그뿐만 아니라 삼성 HVAC 테스트 랩은 삼성 일본연구소(SRJ)
-
▲ H Modular LAB_커팅식[출처=현대제철]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대표이사 주우정)과 공동으로 모듈러 건축 공법 확대에 나선다. 현대제철과 현대엔지니어링 양사(兩社)는 이번 'H-모듈러 랩' 구축을 통해 다양한 기술의 실증 실험 및 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현대제철은 "지난 14일 충청남도 당진제철소에서 현대제철 이보룡 연구개발본부장과 현대엔지니어링 심범섭 미래기술사업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H-모듈러 랩(H-Modular Lab)' 개장 기념식 및 현장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모듈러 건축 공법은 조립식 건축의 일종으로 공장에서 건축물의 주요 부분을 미리 제작해 현장에서 블록(Block)처럼 조립하는 건축 시스템이다.◇ 현대제철의 다양한 강재 및 부산물 활용 기술이 집약된 건축 시험장'H-모듈러 랩'은 국내 최대인 지상 2층·면적 400제곱미터(㎡) 규모의 모듈러 건축 시험장(테스트베드)이다. 1층은 홍보관을 비롯해 병실·기숙사·호텔 등의 견본 공간이 마련돼 있다.2층은 각종 모듈러 건축용 기술 성능 시험장으로 구성됐다. 아울러 현대제철의 강재 및 부산물 활용 기술이 다수 적용된 것도 특징이다.우선 시험장 부지에 제강슬래그 활용 보차도(步車道) 블록을 설치해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확보했다. 이 기술은 쇳물을 만드는 공정인 제강(製鋼)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골재(骨材)로 재활용해 보도 및 차도용 블록으로 만든 것이다.기존 콘크리트 블록보다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이산화탄소 포집 능력 역시 증가한 것이 핵심이다. 시험장 건물 외벽에는 현대제철 소재를 활용한 컬러강판을 적용해 미려한 디자인을 연출했다.2층으로의 연결 계단에는 콘크리트 대신 강판을 적용해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스틸 코어1)부 강판전단벽2)이 설치됐다.이와 함께 현대엔지니어링, KCC와 공동 개발 중인 '하이브리드 내화시스템'도 적용됐다. '하이브리드 내화시스템'은 현대제철
-
2022-06-26미국 전력망 제품 생산기업 CTC Global에 따르면 자사 테스트 연구소가 권위있는 국제 인증 서비스(International Accreditation Service, IAS)로부터 ISO/IEC 17025 인증을 획득했다.CTC 연구소는 시설, 프로세스, 절차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검사를 통과했다. ISO/IEC 17025:2017 표준에 명시된 전체 범위의 요구사항을 준수하고 있는지 검증을 받은 것이다.이번 인증으로 전기 전송 및 분배 오버헤드 도체를 위한 고성능 복합 코어의 개발, 제조, 테스트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임을 입증받았다.또한 CTC는 ACCC® Core를 포함한 복합 탄소 코어에 대한 전체 범위의 시험을 인증 받은 세계에서 유일한 실험실으로 발돋움했다. 형식 테스트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원스톱 기반으로 전 세계 전력회사에 형식 시험 보고서를 발행할 수 있게 됐다.CTC 글로벌은 민간 전력망 솔루션 기업으로 62개국 250개 이상의 전력회사가 11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위해 ACCC® Conductor를 선정했다. ACCC® Conductor는 1700만 미터톤 이상의 라인 손실 관련 CO2 배출량을 제거하고 회피한 공로를 인정받았다.참고로 ISO/IEC 17025 표준은 'TESTING AND CALIBRATION LABORATORIES'에 관한 것으로 인증 획득시 실험실이 유능하게 운영되고 유효한 결과를 생성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작업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테스트 보고서 및 인증서는 추가 테스트 없이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승인될 수 있으며 국제 무역에 큰 도움이 된다. ISO/IEC 17025는 테스트, 샘플링 또는 보정을 수행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원하는 모든 조직에 유용하다.특히 대학, 연구소, 정부 기관, 규제 기관, 검사 기관, 제품 인증 기관 및 기타 적합성 평가 기관에서 테스트, 샘플링, 교정 등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유용하다.▲ CTC Global
-
2018-12-18일본 로봇제조업체인 오리랩(Ory Lab)에 따르면 장애인에 의해 원격으로 조정되는 로봇을 레스토랑의 웨이터로 테스트를 진행했다. 원격제어되는 로봇 명칭은 OriHime-D이다.로봇은 1.2 미터 높이로 서 있으며 표정이 없는 하얀 얼굴을 갖고 있다. 로봇은 자신이 보고 있는 상황에 관련된 비디오 및 오디오를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으며, 가정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이용해 로봇에 명령을 내릴 수 있다.총 5대의 로봇이 테스트에 사용됐으며 장애인의 사회적 고립을 막기위해 첨단기술을 사용하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됐다.가장 흔한 운동신경 세포질환인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을 비롯한 10가지 유형의 질환을 가진 팀에 의해 제어됐다. 매우 제한된 이동성을 가진 사람들조차도 로봇과 상호작용하고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미국 MIT대학의 연구원들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컴퓨터와 자동으로 대화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알터에고(AlterEgo)라고 불리는 웨어러블 장치는 전극을 사용해 턱과 얼굴의 미묘한 신경근육 신호를 감지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Japan-Orylab-robot▲ 오리랩의 OriHime-D(출처 : 홈페이지)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