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4
" 정보 산업"으로 검색하여,
13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년 10월29일 이재명 대통령은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맞이해 국가의 책임에 대해 강조했다. 국가가 지켜줘야 하는 생명을 지키지 못했고 막을 수 있는 희생을 막지 못한데 대해 사과했다.윤석열정부는 사고에 대해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았다. 2014년 세월호 참사에 대한 책임 회피로 일관하던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당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도 이태원 참사, 오송 지하차도 사고 등 각종 인재를 외면하다 몰락했다.2025년 6월4일 출범한 이재명정부는 산업재해를 근절시키겠다며 건설현장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있다. 일부에서 산재가 불가피하다며 항변하지만 국민의 생명 보호가 우선이라며 타협을 거부하는 중이다.이번에 소개할 논문은 '건설 현장 위험 상태 및 객체 유형에 따른 YOLO 모델 인식 성능 비교 연구(A Comparative Study on Object Recognition Performance of YOLO Models According to Risk Situations in Construction Sites)'이다.경기대 건설안전학과 박종학 석사과정(jhpark8527@naver.com), 동대학 건설안전학과 문유미 교수(feelst1003@hanmail.net )가 작성했다. 세부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설 현장 위험 상태 및 객체 유형에 따른 YOLO 모델 인식 성능 비교 연구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 및 객체를 자동으로 탐지하기 위한 YOLO(You Only Look Once) 기반 객체 인식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실제 현장 이미지를 활용해 총 11개 클래스(People, Ladder, Unsafe 계열, 장비류 등)를 학습했다. YOLOv5를 중심으로 정밀도, 재현율, mAP, F1 Score 등의 성능 지표를 분석했다.분석 결과, 주요 객체는 높은 탐지 성능을 보인 반면 지게차(Forklift) 및 롤러(Roller) 등 일부 클래스는 낮은 정분류율을 기록했다.
-
2025년 10월19일 북한군 병사 1명이 강원도 중부전선 군사분계선(MDL)넘어 귀순했다. 우리 군은 당일 오전 7시경 상황을 접한 뒤 열상감시장비(TOD) 등으로 추적감시한 뒤 유도 절차를 거쳐 안전을 확보했다.국방부는 저출산으로 군 장병을 충분하게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폐쇄회로 TV(CCTV), TOD, 각종 센서 등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는 휴전선이지만 귀순이 빈발할 정도로 헛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과학기술의 도입을 통해 군사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감시장비용 비냉각형 적외선 영상센서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의 임무 소개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은 2010년 설립됐다. 국방 연구개발 제도개선, 국방 연구개발 과제화/연구지원, 군에 과학기술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더불어 안보⸱재난안전기술단 소속 미래국방국가기술전략센터는 2022년 만들어졌다. '국방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국가 연구개발 투자전략 싱크탱크'로 비전을 설정했다.주요 임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방 연구개발(R&D) 투자정책 수립 지원 △국방적용 가능 민간R&D 역량 발굴-과제기획 △국방R&D 민관군 협력기반 마련 등이다.이번에 소개할 기술은 차세대반도체연구소광전소재연구센터 최원준 책임연구원(wjchoi@kist.re.kr)이 수행한 '감시장비용 비냉각형 적외선 영상센서 기술'이다.◇ 연구 목표... 상온에서 동작하는 감시장비용 중적외선 영상센서 개발영하 150도(℃)에서 동작하는 감시장비용 중적외선 영상센서의 동작을 상온에서 구현함으로써 스터링 냉각기가 없는 중적외선 감시장비의 제작 및 야전에서의 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 목표는 중적외선 대역(3~5㎛) 검출이 가능한 InAsSb 반도체 기판 성장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동작하는 감시장비용 중적외선 영상센서를 개
-
1946년 창업한 제약기업인 일양약품은 “인간존중의 사명을 갖고 인류의 건강과 복지를 위하여 정성을 다한다”를 기업 이념으로 밝혔다.사업 비전은 ‘모든 사람이 건강한 삶과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항상 고객에게 봉사하고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세계적인 생명과학 기업’으로 정했다.경영이념은 ‘의약기술의 100년 도전 신뢰, 도전, 창조였습니다.’이다. 창업정신은 불교사상에 바탕을 둔 △인간존중의 정신 △사업보국의 정신 △멸사봉공의 정신이다.경영철학은 창업정신을 이어받아 △적극성 △근면성 △협동성으로 특히 인화와 협동성을 강조하는 것을 장기적 안목에서 창업정신을 맥을 같이 한다고 밝혔다.일양약품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일양약품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일양약품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헌장 및 계획 미수립해 걸음마도 못떼... '24년 부채총계 1896억 원으로 부채율 78.42%일양약품은 투명하고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 및 청렴한 기업문화 정착을 목적으로 윤리경영을 철저히 실천해 나간다고 밝혔다. 지속가능한 경영 핵심요소인 윤리경영을 통해 공중과 신뢰를 쌓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확보해 나가고자 한다.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ompliance Program)을 구축해 운영한다. 윤리경영 문화를 정착하고 잠재적 위험요인을 최소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윤리경영 실천을 위해 △약사법 △청탁금지법 △공정경쟁규약 등 관련 법령을 준수하고 주기적인 교육과 모니터링을 통해 사내 문화로 정착하
-
미국 뇌신경과학 스타트업인 뉴럴링크(Neuralink)는 2021년 원숭이 뇌에 비디오게임을 할 수 있는 컴퓨터 칩을 이식했다고 밝혔다. 원숭이가 생각만으로 비디오게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2023년 중국 난카이대는 원숭이 목에 있는 경정맥에 스텐트를 삽입해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조정하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관련 동영상을 공개하며 '세계 최초'라는 설명을 곁들였다.중국 뇌과학연구소에 따르면 2024년 손의 묶인 원숭이가 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조정해 물건을 집는데 성공했다.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하는 단계이며 인간에 적용은 하지 않았다.이처럼 다수 스타트업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을 개발해 인간의 인지능력을 증강시키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장애인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응용영역이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의 임무 소개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은 2010년 설립됐다. 국방 연구개발 제도개선, 국방 연구개발 과제화/연구지원, 군에 과학기술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더불어 안보⸱재난안전기술단 소속 미래국방국가기술전략센터는 2022년 만들어졌다. '국방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국가 연구개발 투자전략 싱크탱크'로 비전을 설정했다.주요 임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방 연구개발(R&D) 투자정책 수립 지원 △국방적용 가능 민간R&D 역량 발굴-과제기획 △국방R&D 민관군 협력기반 마련 등이다.이번에 소개할 기술은 KIST의뇌과학연구소뇌질환극복연구단 김정진 선임연구원(jeongjin@kist.re.kr)이 수행한 '극한 상황에서 의사결정 정확도 증진 기술'이다.◇ 연구 목표... 회로 모사 모델링을 기반해 인간 혹은 로봇 적용 가능한 의사결정 증진 기술 개발김정진 선임연구원은 위협적 감각 교란 상황에서의 의사 결정 관련 뇌활성 기전을 이해하고 회로 모사 모델링을 기반해 인간 혹은 로봇 적용 가능한 의사결정 증진 기술을
-
2025-10-14▲ 10월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된 ‘제3회 방산안보 컨퍼런스’ 환영사(이동수 국정원 1차장) [출처=국가정보원]국가정보원(원장 이종석, 이하 국정원)에 따르면 2025년 10월2일(목) 서울특별시 중구 신라호텔에서 ‘2025 방산안보 컨퍼런스’ (Defense Industrial Security Conference 2025)를 개최했다.국정원이 주최하고 한국방위산업보호협회가 주관한 ‘방산안보 컨퍼런스’는 2025년 3회차를 맞는 국제 행사다. 글로벌 안보지형의 빠른 변화 속에 K-방산이 당면한 새로운 안보 리스크를 진단하고 우방국과의 방산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이날 행사는 국방부·산업부·외교부·방위사업청이 후원했다. 정부부처 및 학계·연구기관 관계자들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KAI·LIG넥스원·HD현대중공업 등 주요 방산기업들을 비롯한 국내ㆍ외 방산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했다.1부 행사에서는 국정원 1차장의 환영사에 이어 신성범 국회 정보위원장, 콘라드 고워타(Konrad Gołota) 폴란드 국유 재산부 차관, 이두희 국방부 차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손재일 대표의 축사와 필립 라포르춘(Philippe Lafortune) 駐韓 캐나다 대사의 기조연설이 진행됐다.이동수 국가정보원 1차장은 환영사에서 “세계 각국의 군비 경쟁 심화 등으로 방산안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면서 “특히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기 체계, 무인화 기술 대두로 인한 새로운 보안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방국간의 방산안보 협력 강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신성범 국회 정보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K-방산의 성과를 일궈낸 우리 방산 기업 및 학계, 연구기관 전문가들과 정부 관계자들의 노고와 院의 방산침해대응 활동을 높이 평가했다.기조연설에 나선 필립 라포르춘(Philippe Lafortune)
-
2025-10-082022년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은 전통적인 고강도 분쟁(High Intensity Conflict)와 달리 저강도 분쟁(Low Intensity Conflict)에 사용되는 드론(Drone)이 전쟁의 양상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러시아는 이란과 튀르키예로부터 드론을 수입했을 뿐 아니라 중국산 민수용 드론도 전장에 투입했다. 드론은 유인 전투기나 미사일에 비해 저렴하지만 파괴력은 그에 못지않아 이른바 '가성비'가 높은 무기다.드론은 일반 금속이 아니라 플라스틱이나 종이로 제작할 뿐아니라 크기가 작아 기존 레이더로 탐지가 어렵다. 드론이나 도심항공교통(UAM)이 사용될 수 있는 100% 자기가화복합재료에 대해 알아보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의 임무 소개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은 2010년 설립됐다. 국방 연구개발 제도개선, 국방 연구개발 과제화/연구지원, 군에 과학기술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더불어 안보⸱재난안전기술단 소속 미래국방국가기술전략센터는 2022년 만들어졌다. '국방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국가 연구개발 투자전략 싱크탱크'로 비전을 설정했다.주요 임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방 연구개발(R&D) 투자정책 수립 지원 △국방적용 가능 민간R&D 역량 발굴-과제기획 △국방R&D 민관군 협력기반 마련 등이다.이번에 소개할 기술은 KIST의 전자파차폐융합연구단 김재우 책임연구원(jaewoo96@kist.re.kr)이 수행한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 대체 100% 자기강화복합재료 기술'이다.◇ 연구 목표... 접착강도, 인장강도 및 충격 저항성 대폭 향상된 자기강화복합재료 개발김재우 책임연구원은 새로운 공정을 도입해 접착강도, 인장강도 및 충격 저항성 대폭 향상된 자기강화복합재료를 개발했다. 연구를 시작한 배경은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UAM)와 같은 미래 이동수단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연료 효율성은 높이면서 탄소 배출을 줄여야 한다는
-
2022년 2월 시작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3년 6개월 이상 이어지고 있다.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군사력을 보유한 러시아가 최대 3개월을 넘기지 않고 점령할 것이라는 예측이 제기됐지만 실현되지 않았다.우크라이나가 결사항전의 의지를 불태우며 게릴라전, 정보전, 심리전 등을 복합적으로 구성한 하이브리드 전쟁을 강화하고 있다. 전차와 장갑차와 같은 무기를 앞세운 러시아군에 대항해 야간 매복이나 드론 공격을 집중한다.러시아의 첨단 무기가 저렴한 드론에 무력화되며 현대전 대비가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야간 전투와 전차 등 이동형 무기를 추적하는 데도 드론이 유용성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의 임무 소개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은 2010년 설립됐다. 국방 연구개발 제도개선, 국방 연구개발 과제화/연구지원, 군에 과학기술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더불어 안보⸱재난안전기술단 소속 미래국방국가기술전략센터는 2022년 만들어졌다. '국방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국가 연구개발 투자전략 싱크탱크'로 비전을 설정했다.주요 임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방 연구개발(R&D) 투자정책 수립 지원 △국방적용 가능 민간R&D 역량 발굴-과제기획 △국방R&D 민관군 협력기반 마련 등이다.이번에 소개할 기술은 KIST의 복합소재기술연구소 전북분원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유남호 책임연구원(polymer@kist.re.k)이 수행한 '야간 감식 및 열추적을 위한 적외선 투과형 플라스틱 소재 합성 및 윈도우 제조 기술'이다.◇ 연구 목표... 근적외선에서 적외선 투과가 가능한 고분자 소재합성 원천기술 확보연구 목표는 근적외선에서 원적외선에 이르는 적외선 투과가 가능한 고분자 소재합성 원천기술 확보 및 윈도우/렌즈 제조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기존에 사용 중인 고가의 세라믹 렌즈는 가격이 비싸고 가공 시 매우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는 반면 고분자 소재로는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능
-
2025-09-18▲ 공간정보 산업의 미래 이끌 ‘공간정보 창업지원센터’개소(한국국토정보공사 어명소 사장, 국토교통부 문성요 기획조정실장,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김정희 원장을 비롯한 입주기업 대표들과 기념촬영) [출처=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ㆍ사장 어명소)에 따르면 LX공사의 전문 운영 역량과 국토교통부의 전략적 지원이 결합하는 ‘공간정보 창업지원센터’가 개소했다.국토교통부와 함께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공간정보를 활용한 혁신창업을 촉진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기술실증 △투자유치ㆍ판로지원 △사업화 자금 연계 등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공간정보 기반 스타트업이 보다 빠르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LX공사는 오랜 기간 축적한 공간정보 인프라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창업기업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전 주기적 지원에도 나선다.▲ 공간정보 산업의 미래 이끌 ‘공간정보 창업지원센터’개소(왼쪽부터 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김정희 원장, 국토교통 창업지원센터 입주기업 이용채 대표, 국토교통부 문성요 기획조정실장, 공간정보 창업지원센터 입주기업 이승호 대표, 한국국토정보공사 어명소 사장) [출처=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 산업의 미래 이끌 ‘공간정보 창업지원센터’개소(한국국토정보공사 어명소 사장,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김정희 원장, 국토교통부 문성요 기획조정실장(왼쪽 두 번째부터)) [출처=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는 공간정보 유망기업 발굴ㆍ육성을 통해 국내 공간정보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민간 주도의 기술혁신 및 시장 확대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LX공사 어명소 사장은 “공간정보 창업지원센터는 단순한 창업 지원을 넘어 미래 산업을 선도할 공간정보 혁신 생태계의 허브가 될 것이다”며 “앞으로도 공간정보 기술이 다양한 산업과 융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
2025-09-18▲ 2025 방산안보 컨퍼런스 홍보 포스터 [출처=국가정보원]국가정보원(원장 이종석, 이하 국정원)에 따르면 2025년 10월2일(목) 서울시 중구 신라호텔 아이너스티홀에서 '2025 방산안보 컨퍼런스'가 개최된다.방산안보 컨퍼런스는 '국제질서 변화에 따른 방산안보 대응과 협력'이라는 주제로 국정원이 주최하고 한국방위산업보호협회 주관, 대한민국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방위사업청 등의 후원으로 개최된다.방산안보 컴퍼런스 개최 시간은 09시30분부터 15시30분까지이며 9:30~12:40까지 등록 및 주요 내빈 소개, 환영사, 축사, 기조연설, 기념촬영, 오찬 등으로 구성됐다.▲ 2025 방산안보 컨퍼런스 프로그램 [출처=한국방위산업보호협회]12:40~12:45분 세션 안내를 시작으로 '국제 안보환경의 재편과 방산안보 패러다임의 변화' 세션1에서는 국제전략문제연구소( IISS) 국방 및 군사분석 연구원 Ester Sabatino가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대응하는 유럽 방위산업 전략'을 발표한다.이어 주한 유럽상공회의소 지부장 Andre Milard는 '유럽의 방위 통합:새로운 전략시대'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이왕휘 교수는 '한국과 미국의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에 기여하는 방위산업 : AI와 조선 협력' 주제로 발표한다.세선2 "방위산업 '게임 체인저' AI, 도전과 협력"에서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최고 설계책임자 Akshay Krishnaswmy가 발표하고 국방과학연구소 국방인공지능기술연구원 곽기호 원장은 첨단 과학기술 기반 국방 혁신에 대해 발표한다.이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S사업부 서영우 전무는 국방 시스템 AI활용: 도전 과제와 가치 공유 국가들과의 협력 가능성에 대해 발표한다.세션 3에서는 해외 MRO 사업 확대를 위한 보안역량 강화 방안이라는 주세로 허드슨연구소 국방개념기술센터 소장 Bryan Clark이 발표를 진행한다.이어 한화오션 특수선MRO사업담당 김대식 상무가 해외 함정 MRO사업 추진 방향
-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s)에 많이 노출돼 있다. 전자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주기적으로 바뀌면서 공간을 빛의 속도로 퍼져나가는 파동 형태의 에너지를 말한다.전자파는 각종 전자장비에서 방출되며 인체에 이롭지는 않다, 특히 장시간 노출 시에는 암을 유발하거나 신체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2000년대 초반부터 휴대전화가 급격하게 보급되며 유해성 논란이 제기된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살펴봐야 한다. 군에서도 컴퓨터, 레이더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전자파에 대한 관심이 높은 편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의 임무 소개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은 2010년 설립됐다. 국방 연구개발 제도개선, 국방 연구개발 과제화/연구지원, 군에 과학기술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더불어 안보⸱재난안전기술단 소속 미래국방국가기술전략센터는 2022년 만들어졌다. '국방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국가 연구개발 투자전략 싱크탱크'로 비전을 설정했다.주요 임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방 연구개발(R&D) 투자정책 수립 지원 △국방적용 가능 민간R&D 역량 발굴-과제기획 △국방R&D 민관군 협력기반 마련 등이다.이번에 소개할 기술은 KIST의 복합소재기술연구소 기능성복합소재센터 이동수 책임연구원 (d.s.lee@kist.re.kr)이 수행한 '전자파 차폐용 금속 나노플레이트 복합소재 기술'이다.◇ 연구 목표... 단결정 금속 나노플레이트의 대량 합성법 및 효율적인 코팅 방법 개발KIST 전북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이동수 책임연구원은 '전자파 차폐용 금속 나노플레이트 복합소재 기술'을 개발했다. 수열합성법에 의한 단결정 금속 나노플레이트를 대량으로 합성하고 이를 코팅해 효율적으로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 복합 필름 제조기술을 말한다.◇ 연구배경 및 필요성... 전자파 간섭에 의한 오동작 및 신호 지연을 막
1
2
3
4
5
6
7
8
9
10
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