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전기신호기술"으로 검색하여,
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25 전기신호본부 성과발표회 포스터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사공명)에 따르면 2025년 11월18일(화) 오후 1시 충청북도 청주시 오송컨벤션센터(OCC) 대회의실에서 「2025 전기신호본부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이번 성과발표회는 ‘에너지·인공지능(AI)·자율주행으로 여는 초연결 스마트 전기신호기술’을 주제로 철도 에너지 효율화, 전력·추진 시스템, 통신·제어 기술 등 철도 핵심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11월18일(화) 오송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전기신호본부 성과발표회’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정호성 철도연 전기신호본부장)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 11월18일(화) 오송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전기신호본부 성과발표회’ (철도역사 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한 가상화 운영기술을 발표하고 있는 조환희 선임연구원)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 11월18일(화) 오송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전기신호본부 성과발표회’ (복합센서기반 전차선로 유지보수 시스템 개발을 발표하고 있는 김용석 선임연구원)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정호성 철도연 전기신호본부장은 기조연설에서 “전기신호본부는 철도 시스템의 지능화와 효율화를 위해 AI·에너지 관리·자율주행 기술을 융합한 신호 인프라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며, “이러한 융합기술은 미래 초연결·초지능 철도시대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이날 행사에서 6G 통신의 철도 적용을 위한 주파수 특성 분석, 하이퍼튜브 추진 및 주행안정화 기술, 수소에너지 기반 철도차량 추진시스템, 전자운동장치 원격표시제어 기술 등의 주제 발표도 이어져 미래 철도 통신·제어·추진 분야의 혁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1월18일(화) 오송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전기신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