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자산유동화증권"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27▲ 롯데카드 로고[출처=롯데카드]롯데카드(대표이사 조좌진)에 따르면 US$ 3억 달러(약 4331억 원 규모) 규모 환경·사회·거버넌스(ESG) 해외 ABS(자산유동화증권)를 발행했다.신용카드 매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된 이번 ABS는 MUFG은행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평균 만기는 4년이다. 이번에 발행한 ABS는 사회적 채권(Social Bond)로 저소득층 금융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국내 회사채 발행 대비 경쟁력 있는 금리 수준으로 발행해 금융비용을 절감했다. 또한 통화 및 금리 스와프(Swap)를 통해 환율과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 요인을 제거했다.롯데카드가 발행한 ESG 해외 ABS는 이번이 네 번째로 2021년 첫 발행 이후 누적 14.6억 달러(약 1조8829억 원) 규모를 조달해 저소득층 금융지원 등에 사용했다.롯데카드는 2021년 해외 ESG 인증기관인 서스테이널리틱스(Sustainalytics)로부터 ‘ESG 프레임워크’에 대한 적격성 인증을 받은 바 있다. ESG 채권 형태로 조달한 자금을 프레임워크에 따라 사용하고 있다.롯데카드는 "신용판매 및 금융사업의 견고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대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도 이번 ABS를 성공적으로 발행할 수 있었다"며 "사회적 채권을 통해 동반 성장을 도모하고 상생의 가치를 창출하는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
2024-12-12▲ 롯데카드 로고[출처=롯데카드]롯데카드(대표이사 조좌진)에 따르면 2024년 12월12일(목요일) US$ 3억달러(약 4200억 원 규모) 규모 해외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했다.ABS는 신용카드 매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됐으며 BNP파리바은행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평균 만기는 3년이다.조달된 자금은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통화 및 금리 스와프(Swap)를 통해 환율과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 요인을 제거했다. 국내 회사채 발행 대비 경쟁력 있는 금리 수준으로 발행해 금융비용을 절감했다.롯데카드는 2019년 롯데그룹에서 MBK파트너스로 분리 매각된 이후 신용판매와 금융사업에서 견고한 성장세를 보이며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특히 3분기 별도 기준 자산이 전년동기 대비 9.6%, 영업수익은 8.9% 증가하며 이익 창출력이 확대됐다.롯데카드는 2024년 중 12억 달러 이상의 해외 ABS를 발행해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함과 동시에 자금조달원을 다변화해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구축했다.또한 어려운 금융시장 환경 속에서도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며 3개월 커버리지 비율이 연말 기준 100%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변동성이 확대된 시장 상황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