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자동차강판"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0-31▲ 현대제철 인천공장(본사) 전경 [출처=현대제철]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에 따르면 2025년 10월30일(목) 발표한 공시 결과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조7344억 원, 영업이익 932억 원, 당기순이익 178억 원을 기록했다.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3.6퍼센트(%) 감소했다. 하지만 원재료가 하락 및 자동차강판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비중 확대로 전분기 수준의 영업 이익을 유지했다.현대제철은 "건설경기 둔화가 지속되면서 매출액은 감소했으나 4분기부터 저가 수입재에 대한 통상 대응 효과가 본격 반영돼 실적이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다"고 전망했다.또한 안정적인 수익성 확보를 위해 글로벌 판매 역량을 강화하고 주요 기업과의 협력을 확대하는 한편, 고부가 신제품 개발과 성장산업 수요 선점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먼저 인도 푸네 완성차 클러스터 내 스틸서비스센터(SSC)를 준공하고 상업 생산을 개시해 글로벌 자동차강판 판매 기반을 강화했다. 호주 지역의 지속가능성 인증을 취득해 현지 건설시장 내 판매 경쟁력도 높였다.아울러 글로벌 클라우드 선도기업인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국내 전 사업장에 클라우드 인프라를 도입하고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했다. 동시에 저탄소 인증 철강재를 AWS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에 공급하는 성과도 거뒀다.이와 함께 현대제철은 더 가볍고 단단한 철강 수요 증가에 대응해 MS강과 3세대 자동차강판 신제품의 양산·공급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완성차사와 부품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적용 범위 확대를 검토 중이다.더불어 차세대 모빌리티용 냉연 초고장력강 개발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현재 자율주행차 구조용 고장력강을 고객사 테스트용 소재로 공급해 인증을 진행 중이며 개발 완료한 일반 차량 시트레일용 초고장력강은 2026년 초도 공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건설 부문에서는 모듈러 주택시장 성장에 맞춰 바닥 충격음 저감기술과 H형강 구조 시스템 등 핵심 기술을 개발해 시장 선점에 적극 나서고 있
-
2025-03-05▲ 현대제철,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적용[출처=현대제철]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에 따르면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적용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말 튀르키예 완성차업체인 포드 오토산(Ford Otosan)과 함께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소재로 '포드 투어네오 커스텀' 차량의 '리어 루프 패널' 부품을 찍어내는 프레스 테스트를 진행해 품질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이로써 현대제철은 기존 고로에서 생산해 공급 중인 자동차강판을 동등한 성능을 내면서도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은 줄어든 제품으로 전환시키는데 성공했다.프레스 테스트는 금형을 이용해 자동차강판을 차체에 필요한 부품 형태로 만들어 성형성과 표면 품질 등 소재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과정이다.한편 현대제철은 철스크랩 등을 원료로 사용하는 전기로에 고로 쇳물을 혼합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전기로-고로 복합 프로세스' 양산 체제를 준비 중이다.이 프로세스가 상용화 돼 제품을 양산할 수 있는 시점에는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탄소가 약 20% 저감된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현대제철 관계자는 "유럽 상용차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포드 오토산의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적용 프레스 테스트> 첫 주자로 참여해 적합성을 검증받는 성과를 거두었다"며 "지속적으로 복합 프로세스를 연구개발해 탄소저감 제품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
일본 철강업체인 JFE스틸(JFEスチール)은 2016년 9월 인도네시아 최초의 자동차강판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했다고 발표했다.부품 재료의 현지생산을 통해 자동차업체에 대한 조달력을 높이고 중국제 강재의 저가공세로 인해 적용된 반덤핑 과세를 철폐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아시아에서 자동차강판을 만드는 국가는 중국과 태국에 이어 3번째로 연간 생산량은 40만톤이다. 약 300억엔을 투자해 강판성형의 편리성을 높인 최신예 라인을 도입했다.이번 공장의 건설은 도요타자동차 등 일본업체의 현지조달률을 높이려는 목적도 있지만 고용창출과 산업진흥에 공헌한다는 명목 하에 정부를 압박하고 반덤핑 과세를 철폐하려는 목적이 더 강하다.오래전 중국의 강재 과잉공급으로 유발된 반덤핑 과세가 2013년 일본산 냉연 강판에도 적용돼 수익을 압박했기 때문이다. JFE등 일본제에 대한 과세는 18.6% 이상이다.인도네시아의 2015년 자동차 생산대수는 110만대로 전년보다 하락했지만 5년전 대비로는 1.6배 증가했으며 판매대수의 95%는 일본자동차가 차지하고 있다.또한 2억5000만명의 인구를 배경으로 성장잠재력이 높기때문에 관세 철폐가 성공한다면 최대한의 이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1▲JFE스틸 홈페이지
-
일본 철강업체인 JFE스틸(JFEスチール)는 2016년 9월 인도네시아 최초의 자동차강판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했다고 발표했다.부품 재료의 현지생산을 통해 자동차업체에 대한 조달력을 높이고 중국제 강재의 저가공세로 인해 적용된 반덤핑 과세를 철폐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아시아에서 자동차강판을 만드는 곳은 중국과 태국에 이어 3번째로 연간 생산량은 40만톤이다. 약 300억엔을 투자해 강판 성형의 편리성을 높인 최신예 라인을 도입했다.
-
중국 바오스틸(Baosteel)의 자료에 따르면 일본 신니데츠스미킨(新日鉄住金)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자동차강판공장에서 인장강도 1180메카파스칼의 초고장력강판 양산체제를 정비했다. 지난해 9월에 가동한 시작한 제 4용융아연강판제조설비에서 제조한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