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알코올 음료"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페루 국기[출처=CIA]지난 2024년 7월 1주차 경제동향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2.29% 상승했고 5월보다 0.12% 확대했다.○ 통계청(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and Informatics),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2.29% 상승했고 5월보다 0.12% 확대... 식품 및 무알코올 음료는 0.11%, 레스토랑 및 호텔은 0.20%, 기타 상품 및 서비스는 0.27%, 운송은 0.18% 각각 상승 ▲ 김봉석 기자[출처=iNIS]
-
▲ 태국 음료제조회사인 타이 비버리지(ThaiBev)의 화이트 증류주인 루앙카오(Ruang Khao) (출처: 홈페이지)태국 음료 제조업체인 타이 비버리지(ThaiBev)에 따르면 2023년 4분기 매출액은 761억1000만 바트로 집계됐다. 1년 전과 비교해 5.9% 하락했다.2023년 4분기 EBITDA는 137억9000만 바트로 1년 전과 비교해 1.9% 증가했다. 판매액이 감소했음에도 포장 비용을 낮추고 생산 효율성을 높여서 순이익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2023년 4분기 증류주(스피릿) 사업 매출액은 338억8000만 바트로 전년 동기 대비 0.5% 상승했다. 반면 전체 판매량은 1년 전과 비교해 1.4% 감소했다.미얀마의 증류주 사업은 판매 매출과 EBITDA 모두 상승하며 운영실적이 강세를 보였다. 한편 태국과 베트남 시장은 더딘 경제 회복에 영향을 받아 전반적인 운영 실적이 둔화된 것으로 판단된다.2023년 4분기 무알코올 음료(NAB) 사업의 판매 매출액은 46억8000만 바트로 전년 동기 대비 1.6% 상승했다. 동기간 판매량은 4.5% 증가해 무알코올 음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나이지리아 정부에 따르면 수도 라고스에서 세계적인 음료업 무역박람회인 'Drinktec 2017'이 개최됐다. 3일간 지속될 박람회는 독일 뮌헨에서 2017년 9월11일~15일까지 열릴 예정인 'Drinktec 2017박람회'의 선행 행사이다.70여개국에서 1600개 업체가 참가했다. 독일엔지니어링협회(VDMA)에 따르며 나이지리아는 2016년 음료 판매량이 3만8682톤으로 집계됐으며 2020년에는 32.9% 성장한 5만1422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나이이지라의 시장규모는 알코올 음료는 10위, 우유 제품은 147위, 식용기름은 101위로 나타났다. 국내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샴페인 최대 소비국가인 것으로 드러났다.▲Drinktec 2017박람회 로고
-
일본 식료품업체 산토리스피리츠(サントリースピリッツ)는 2016년 12월 저알코올 음료(RTD)를 출시한다고 밝혔다.주력 상품인 ‘마이너스 196℃’의 스테디셀러 제품을 순차적으로 발매할 예정이다. 2017년 1월에는 고급 RTD인 ‘코쿠시보리 프리미엄’의 신제품을 판매할 계획이다.최근 맥주 대신 마시는 소비자들이 급증하면서 RTD시장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당사는 2017년 RTD의 판매량을 7100만 케이스로 지난해에 비해 10% 확대를 목표로 한다.참고로 저알코올 음료수(RTD, Ready To Drink)는 약 4~7%의 알코올 도수를 함량하고 있어 맥주나 와인처럼 부담없이 마실 수 있는 알코올 음료수다.▲마이너스196℃ 제품 이미지(출처 : 산토리스피리츠)
-
인도네시아 맥주대기업 멀티빈땅(Multi Bintang)에 따르면 2016년 6월 중간결산 결과 순이익은 4460억 루피아로 전년 동기 대비 2.48배 수준를 기록했다. 매출액은 44% 증가한 1조5300억 루피아였다.멀티빈땅에 따르면 동기간 무알코올 음료사업이 호조를 보인 것이 주요인이다. 해당 부문의 매출은 전년 동기 960억 루피아에서 2배 가까이 증가한 1970억루피아였으며 비중도 9.6%에서 12.8%까지 확대됐다.멀티빈땅은 2013년부터 무알코올 음료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2016년 들어서도 신제품 '빈땅 맥스 0.0'을 출시하는 등 활발하게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해당 상품은 맥주의 판매가 법으로 금지되어 있는 미니마트 및 편의점용의 맥주맛 탄산음료로 지금까지 전개하고 있던 무알코올 음료와 차별화한 것이다.이 회사는 동자바주 수라바야에 가까운 모조케르토(Mojokerto)에서 무알코올 음료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약 5000만 리터이지만 아직 공장의 확장 등의 계획은 없는 상태다.▲인도네시아 맥주대기업 멀티빈땅(Multi Bintang) 홈페이지
-
인도네시아 맥주대기업 멀티빈땅(Multi Bintang)에 따르면 2016년 6월 중간결산 결과 순이익은 4460억 루피아로 전년 동기 대비 2.48배 수준으로 집계됐다. 매출액은 44% 증가한 1조5300억 루피아였다.멀티빈땅에 따르면 동기간 무알코올 음료사업이 호조를 보인 것이 주요인이다. 해당 부문의 매출은 전년 동기 960억 루피아에서 2배 가까이 증가한 1970억 루피아를 기록했다.
-
러시아 재정부에 따르면 다른 정부부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알코올 음료에 대한 소비세 인상방침을 유지할 계획이다. 경제개발부 등은 소비침체를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하지만 재정부는 국민건강을 보호하고 재정수입을 늘리기 위해 소비세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2017년부터 1리털당 500루블에서 523루블로 소비세를 인상한다.
-
러시아 재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7~2019년 알코올에 대한 소비세로 연간 590억 루블 수입을 전망하고 있다. 알코올을 0.5%이상 함유한 모든 음료에 소비세를 부과할 방침이다.맥주의 경우 리터당 21루블, 와인은 18루블이 부과된다. 세수입의 대부분은 타타르스탄공화국에서 발생하며 88.3억 루블, 모스크바 지역은 63.8억 루블 등으로 예상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