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아사히카"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0-30▲ 삼성 HVAC 테스트 랩 설립(일본 최북단에 위치한 홋카이도 아사히카와 지역)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일본 최북단에 위치한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에 ‘삼성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테스트 랩’을 설립했다.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난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 테스트 랩이 위치한 아사히카와는 내륙 분지로 겨울철 최저 기온이 영하 20도 이하, 월 누적 적설량이 최대 127센티미터(cm)에 달하는 혹한·강설 지역이다.삼성전자는 아사히카와 지역의 극한 기후를 활용해 냉난방기의 난방 성능을 좌우하는 ‘제상 시스템’과 고효율 냉난방 시스템 ‘히트펌프 솔루션’의 신뢰성 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제상 시스템은 냉난방기의 핵심 부품인 ‘열교환기’에 쌓이는 성에를 제거하는 시스템이다. 난방 운전 중 응축된 수분이 성에 형태로 열교환기에 응고되면 열교환기의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냉난방기가 스스로 열교환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시점에 제상 시스템을 가동해야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삼성전자는 성에의 형태를 학습해 최적의 제상 운전 시점을 판단하는 제상 기술로 난방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높인 제품을 한국, 북미와 유럽 등에 선보이고 있다. 이번 HVAC 테스트 랩에서 기술 연구와 실험, 검증을 진행해 더욱 효과적인 제상 성능을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또한 삼성전자는 유럽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주거용 히트펌프’ 시장 공략을 위해 스웨덴 왕립공과대학, 룰레오 공과대, 로컬 시험소 등과 협업해 히트펌프 기술 고도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 결과를 HVAC 테스트 랩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검증해 한층 강력한 성능을 내는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그뿐만 아니라 삼성 HVAC 테스트 랩은 삼성 일본연구소(SRJ)
-
▲ 일본 종합화학회사인 아사히카세이(旭化成)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종합화학회사인 아사히카세이(旭化成)에 따르면 2027년부터 캐나다 온타리오주 신공장에서 전기자동차(EV)용 배터리의 부재를 생산할 계획이다.신공장 건설에 1800억 엔을 투자할 방침이다. 2024년 연말까지 자동차 회사인 혼다도 출자해 합작회사를 설립한다.혼다는 북미의 EV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신공장을 건설하고 미국 오하이오주의 공장에서도 EV를 생산한다는 구상이다.북미의 EV시장은 단기적으로 성장 속도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장기적인 성장 전망은 밝은 편이다. 아사히카세이와 혼다는 배터리 부재의 생산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미국의 테슬라가 EV 시장을 선도하고 있지만 세계 1위 자동차 제조업체인 도요타자동차도 미국에 EV를 생산하는 주력 공장을 건설할 방침이다.
-
일본 화학업체인 아사히카세이(旭化成)는 2016년 50억엔의 투자로 싱가포르 생산설비를 개조해 고무소재 생산성을 30% 확대한다고 발표했다.연비데이터 부정문제가 연달아 일어나는 가운데 저연비타이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
일본 화학업체 아사히카세이(旭化成)의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싱가포르에서 ‘저연비 타이어용’ 합성고무를 현재에 비해 30%를 증산하기 위해 50억엔(약 564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현재 싱가포르 고무제조공장은 총 2계열로 구성돼 있다. 1계열은 2013년부터, 2계열은 2015년부터 가동되고 있으며 연간생산능력은 각각 5만톤씩이다.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저연비 타이어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당사는 2020년까지 글로벌 고무수요가 연평균 7%씩 확대될 것으로 보고 연간생산량을 13만톤까지 증대할 계획이다.▲싱가포르 공장 이미지(출처 : 아사히카세이)
-
일본 화학업체 아사히카세이(旭化成)는 2018년 싱가포르에서 저연비 타이어용 합성고무를 현재에 비해 30%를 증산하기 위해 50억엔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환경문제로 저연비 타이어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2020년까지 세계수요 연평균 7%확대를 목표로 한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