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수소연료"으로 검색하여,
1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0-21▲ 현대로템 ADEX 전시관 전경 [출처=현대로템]현대로템(대표이사 사장 이용배)에 따르면 2025년 10월20일(월)부터 24일(금)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리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2025(ADEX·Seoul International Aerospace & Defense Exhibition 2025)’에서 지상과 우주를 아우르는 종합 방산 기업의 비전을 제시한다.ADEX는 항공우주산업과 방위산업 발전을 위해 격년으로 개최되며 이번 전시회에는 35개국 600여 개 업체가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다.‘지상에서 우주까지, 최첨단 인공지능(AI) 모빌리티 구현’을 주제로 꾸린 현대로템 전시관에는 지상무기체계와 항공우주 분야, 인공지능(AI)·수소 모빌리티까지 디펜스솔루션 부문의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인다.특히 현대로템은 기아, 현대위아와 함께 현대자동차그룹 통합관을 꾸려 HMG 브랜드 위상을 강화한다. 현대로템은 이번 전시회에서 메탄 엔진, 덕티드 램제트(Ducted Ramjet) 엔진, 극초음속 이중 램제트 엔진 등 우주 발사체와 유도무기 등의 비행체에 탑재되는 항공우주 사업의 주요 제품들을 최초로 공개한다.메탄 엔진은 연료인 메탄의 연소 과정에서 그을음이 거의 생기지 않고 저장성이 우수해,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 잡은 재사용 발사체에 적용하기 유리하다.현대로템은 1994년부터 메탄 엔진 개발을 시작해 2006년 국내 최초로 메탄 엔진 연소 시험에 성공하는 등 개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올해 국방기술진흥연구소에서 추진하는 35톤(t)급 메탄 엔진 기술 개발 과제를 수주하며 핵심 기술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다.덕티드 램제트 엔진과 극초음속 이중 램제트 엔진은 초음속 이상의 순항 비행체에 탑재된다. 램제트 엔진은 일반적인 터보 제트 엔진과 달리 터빈, 압축기 없이 초음속 비행 중에 발생하는 충격파로 공기를 압축해 작동하기 때문에 개
-
2025-03-14▲ 한화, 수소연료전지 글로벌 인증 획득[출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에어로스페이스(대표이사 김동관, 손재일)에 따르면 2025년 3월12일 세계 권위의 선급 협회인 DNV로부터 AIP(Approval In Principle, 개념승인) 인증을 받았다.세계 최고 수준의 ‘200kW(킬로와트)급 선박용 수소연료전지’ 인증을 획득해 친환경 무탄소 선박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2024년 말 세계 최초로 개발한 액침냉각 에너지저장장치(ESS)와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무탄소 동력원을 잇달아 확보한 것이다.AIP는 수소연료전지 등 신기술이 적용된 선박을 제작할 때 기본설계 단계부터 기술 적용의 안정성과 국제 규정 준수 여부 등을 검증해 주는 절차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4년 KR(한국선급) AIP 인증에 이어 세계 최고 수준의 DNV 인증까지 획득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선박용 수소연료전지의 본격적인 판매가 가능해졌다.이번에 DNV 인증을 받은 수소연료전지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다.저온에서도 발전이 가능해 안정적이고 에너지효율이 높아 선박 등 운송용에 적합하다. 또한 병렬제어 기능으로 MW(메가와트) 단위의 용량 확장이 가능해 중대형 선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
▲ 파키스탄 평강 제조업체 ISL(International Steels Limited)의 홍보이미지[출처=ISL 홈페이지]2025년 3월4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타타 모터스는 최대 24개월 동안 수소연료 대형트럭 타타 프리마 시리즈의 시범 운행을 진행한다.파키스탄 ISL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비전 2030을 실현을 위해 고품질 철강제품을 공급한다.◇ 인도 타타 모터스(Tata Motors), 수소연료 대형 트럭의 국내 첫 시범 운행인도 자동차 제조업체 타타 모터스(Tata Motors)가 수소연료 대형 트럭의 국내 첫 시범 운행을 선보인다. 타타 프리마 H.55S와 타타 프리마 H.28 등은 신세대 수소 내연기관(H2ICE) 및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H2-FCEV) 기술이 적용됐다.차량 16대가 최대 24개월 동안 뭄바이, 푸네, 델리 수도권, 수라트, 바도다라, 잠셰드푸르, 칼린가나가르 등에서 시험 운전된다. 주행거리는 300~500킬로미터(km)이며 운전자 보호 시스템이 탑재됐다.타타 모터스는 2070년까지 배기가스 배출 제로를 달성하고자 한다.◇ 파키스탄 ISL(International Steels Limited), 사우디아라비아 기가 프로젝트(Giga Project)의 공급업체로서 활약파키스탄 평강 제조업체 ISL(International Steels Limited)이 사우디아라비아의 비전 2030의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기가 프로젝트(Giga Project)의 공급업체로서 활약할 방침이다.ISL은 사우디아라비아 표준청(SASO)의 SQM(Saudi Quality Mark)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국제 기준을 충족하는 고품질 철강제품을 생산한다.또한 ISL의 맞춤형 건설 솔루션과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자재 낭비를 줄이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
미국에서 가장 혁신적인 사업가로 불리는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2008년 전기자동차(EV) 제조업체인 테슬라(Tesla)를 창업했다. 친환경이 글로벌 화두로 부상하며 EV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예견했기 때문이다.테슬라의 폭발적인 성공에 영감을 얻어 설립된 기업이 미국의 니콜라(Nikola Corporation)다. 미국인 트레버 밀튼(Trevor Milton)은 2015년 수소연료전지 대형트럭을 개발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로 사업을 시작했다. 니콜라는 테슬라의 성공신화에 열광한 투자자와 후원자를 끌어모으며 회사 설립 후 5년만에 나스닥에 상장했다. 성공의 기쁨도 잠시, 내부고발이 터지며 니콜라는 추락했다. 니콜라의 내부고발을 분석해 보자.▲ 니콜라의 내부고발 진행 내역 [출처=국가정보전략연구소(iNIS)]◇ 테슬라의 성공 모델를 벤치마킹해 수소연료전기 트럭 개발 추진... 조작한 홍보영상으로 몰락 자초니콜라는 창업한 이후 테슬라가 전기자동차를 개발했을 뿐이지만 미래 에너지원인 수소연료전기로 운행되는 대형트럭을 개발하겠다고 포부를 내비쳤다.2017년 글로벌 1위 자동차 부품업체인 독일의 보쉬, 한화, CNH 인더스트리얼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관련 대기업으로부터 투자를 받으면서 자연스럽게 기업 가치가 커졌다.2018년 1월 시험 제작한 트럭인 수소트럭 니콜라 원(Nikola One)을 주행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기술력을 입증해 투자자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이었다.니콜라 원이 일반 도로에서 정상적으로 주행하는 장면은 놀라움을 안겨줬다. 실적이 저조했지만 2020년 6월 나스닥에 상장하는 쾌거를 달성했다.여기까지는 자동차나 배터리 산업과 무관한 벤처기업의 성공 스토리로 부족함이 없다. 주식 투자자와 일반인이 열광의 도가니에 머물 동안 내부고발이 터졌다.2020년 6월 미국 유력 언론사인 블룸버그는 니콜라의 기술력이 의심된다는 기사를 보도했다. 2020년 9월10일 힌덴버그 리서치는 니콜라가 수
-
2024-08-26▲ Convion사 홈페이지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HD하이드로젠이 최근 핀란드 연료전지 시스템 분야 글로벌 리딩기업인 ‘컨비온(Convion)’를 약 7200만 유로에 인수했다.컨비온’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및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SOEC) 전문기업으로 2012년 설립해 핀란드 헬싱키에 본사를 두고 있다. 전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상업용 SOFC 발전 시스템 기술 및 공급실적을 보유한 회사다.SOFC와 SOEC 기술은 미래 청정에너지로 평가받는 수소에너지의 핵심기술로서 고온에서 작동하는 특성상 기술적 난이도가 매우 높고 개발기간도 장시간 소요돼 핵심기술 확보 시 선점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국제에너지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와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등에 따르면 수소연료전지 및 수전해 시장은 육상 발전을 중심으로 매년 평균 30%씩 성장하고 있다.2023년 2.5조 원에서 2030년 17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선박용 수소연료전지 사용이 본격화되고 수전해 기술이 상용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2040년 시장 규모가 5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HD하이드로젠은 조선·해양 부문 중간 지주사 HD한국조선해양(대표이사 정기선, 김성준)이 수소연료전지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1400억 원을 출자해 2024년 8월21일 설립한 자회사다.HD한국조선해양은 투트랙 전략을 통해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HD하이드로젠이 연료전지 사업을 총괄하는 가운데 국내 발전용과 선박용 사업을 담당하고 컨비온이 연료전지 핵심기술 개발과 유럽 내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이다. 한편 HD한국조선해양은 2023년 10월 연료전지 선도기업 엘코젠(Elcogen AS)과 4500만 유로 규모의 투자계
-
▲ 일본쉽야드(NSY) 로고[출처=일본쉽야드 공식 홈페이지]2024년 7월26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을 포함한다. 싱가포르 통상산업부는 동남아시아에서 최초로 싱가포르 국립대에 수소혁신센터 연구실을 오픈했다.중국 자동차제조업체 체리 말레이시아(Chery Corporate Malaysia)는 벨리아 마히르 프로젝트(Projek Belia Mahir)와 양해각서를 통해 현지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한다.태국 재무부는 2024년 4분기부터 자격을 갖춘 시민 5000만 명에게 1인당 1만 바트를 지원해 국내 경기 회복을 꾀할 방침이다.◇ 싱가포르 해양항만청(MPA), 일본 이토추상사 등과 양해각서 체결해 암모니아 연료 선박 상용화싱가포르 통상산업부에 따르면 2024년 7월25일 싱가포르 국립대학(NUS)에서 수소혁신센터(CHI, Centre for Hydrogen Innovations) 연구실을 오픈했다.탈탄소화에 기반한 수소 에너지의 연구 확대 및 상용화를 위해서다. 당국은 2050년까지 수소 연료가 전체 에너지 수요의 5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한다.싱가포르 해양항만청(MPA)은 일본 종합무역상사 이토추상사, 일본해사협회(ClassNK), 일본쉽야드(NSY)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일본쉽야드에서 제조한 20만 톤급 벌크선을 기반으로 해 암모니아를 연료로 한 선박의 설계와 안전 진단, 상용화를 목적으로 한다. 일본쉽야드는 2020년 조선사 이마바리조선과 재팬마린유나이티드(JMU)의 합작회사이다.◇ 체리 말레이시아 법인(Chery Corporate Malaysia) 벨리아 마히르 프로젝트(Projek Belia Mahir)와 파트너십 맺어중국 자동차 제조업체 체리(Chery) 말레이시아 법인 Chery Corporate Malaysia은 국제 숙련공 단체(National Skilled Workers Organisation) 산하의 비정부 기관 벨리아 마히르 프로젝트(Projek Belia Mahir)와 파트너십을
-
▲ 홍콩 국기[출처=CIA]6월 3주차 홍콩에서는 식물환경위생서가 수소 충전소 연내 서비스를 개시하겠다는 홍콩 수소에너지 개발 전략을 발표했다. 국제경영개발원은 2024년 홍콩의 세계 경쟁력이 5위로 2단계 상승했다고 전했으며 KPMG는 상반기 홍콩 IPO 시장에서 상장된 기업이 27개, 조달 금액은 약 HK$ 116억 달러이다.○ 씨티은행중국(花旗银行中国)), HSBC, 항셍은행(恒生銀行), 3개월 예금금리 각각 4.5%, 4.3%, 4% 경쟁… 중소 규모 은행들은 개인, 법인고객 대상 개좌개설 시 HK$ 20만 달러 보증금 및 38일 예치 이후 이자 4.38% 선 인출 및 만기 원금 인출 상품 출시○ 식물환경위생서(食物環境衞生署, 食環署), 홍콩 수소에너지 개발 전략 발표로 수소 충전소 연내 서비스 개시 예정… 수소연료전지 거리 세척 차량 3대 테스트 등 14개 시범 프로젝트 합의, 2025년 상반기 수소 저장·이용 규정 개정안 제출 예정, 2027년까지 국제표준 인증 충족 목표○ 국제경영개발원(IMD), 2024 세계 경쟁력 연례 보고서에서 홍콩이 세계 5위로 2단계 상승… 비즈니스 효율성 및 인츠라 부문 순위 향상 영향이며 가격 경쟁력은 평가 대상 67개국 중 65위로 하위권, 참고로 1위 싱가포르, 2위 스위스, 3위 덴마크, 4위 아일랜드, 미국 12위, 중국 14위 등○ KPMG, 상반기 홍콩 IPO시장에 상장된 기업 27개뿐이며 조달 자금 약 HK$ 116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 35% 감소… 올해 초 IPO 자금조달 전망 1000억 달러에서 600억 달러로 40% 낮췄으나 실적 저조, 중국의 홍콩 민주주의와 법제도 탄압 영향으로 국제금융센터 위상 무너져, 2023년 2월 및 8월 IPO 제로(0)▲ 박재희 기자[출처=iNIS]
-
2022-03-23일본 자동차 제조기업인 토요타자동차(Toyota)에 따르면 인도 자회사에서 토요타 미라이(Toyota Mirai)를 출시했다. 인도 국내의 첫번째 수소연료전지 전기자동차(FCEV) 모델이다. 미라이는 시범 사업으로 출시된 주력수소연료전지 전기자동차(FCEV) 제품으로 그린 수소를 실행 가능한 미래 대체 연료로서 홍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수소연료전지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전기자동차와 비교해 장기적인 에너지 솔루션으로 고려되고 있다. 도요타자동차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을 목표로 정했다. 최근 출시된 모델인 캠리 하이브리드(Camry Hybrid) 또한 근시일에 플렉스 자동차(FFV)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토요타자동차(Toyota) 로고
-
영국 자동차제조사인 재규어 랜드 로버(Jaguar Land Rover)에 따르면 2021년 연말까지 수소연료전지 구동 디펜더를 개발하고 시제품 테스트를 시행할 계획이다. 2036년까지 종단배기관인 테일파이프의 배기 가스 배출을 제로(0)화하기 위함이다. 2021년 6월 현재 수소 연료전지 구동 디펜더의 시제품을 제작 중이다. 자사의 상징적인 SUV 차량에 시제품을 장착한 후 테스트를 시작할 계획이다.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결합해 전기를 생산하고 물만 배출하면 차량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빠른 충전을 가능케 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대형 및 장거리 차량에 이상적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수소연료전지로 구동되는 차량은 저온에서 최소한의 온도 손실을 보이기 때문에 추운 환경에서도 성능이 우수하다.재규어 랜드 로버는 2039년까지 공급망, 제품 및 운영 전반에 걸쳐 탄소배출량이 제로(0)에 도달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2021년 2월 상기 목표 달성을 위해 2025년부터 전기자동차만 생산하겠다고 발표했다.▲재규어 랜드 로버(Jaguar Land Rover) 홈페이지
-
2021-05-13프랑스 우주항공기술업체 탈레스(Thales)에 따르면 최근 수소연료전지가 탑재된 드론으로 비행 실험을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 결과, 1분 충전으로 2시간을 비행할 수 있었다.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하게 된 이유는 크게 4가지다. ▲고효율 장시간 운행 ▲환경 피해 최소화 ▲저중량에 따른 내구성 향상 ▲빠른 임무 전환율 등이다.수소는 질량이 타 에너지원보다 비교적 낮고 에너지 밀도는 높다. 충전 시설만 잘 구축된다면 전기 배터리 드론보다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진다.드론의 중량이 줄이고 내구성을 높일 소재도 더욱 다양해진다. 심지어 수소연료전지의 생산 단가도 꾸준한 기술 개발에 따라 점차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감시업무 등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드론의 제원은 최소 3kg 적재 하중에 3시간 비행이 가능해야 한다. 현재 수소 드론은 이러한 요구 조건을 충족한다.수소에너지 분야도 드론 산업만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를 쉽게 결합할 수 있는 드론의 범용성이 이와 같은 시너지 효과를 낸 것으로 판단된다.▲영국 정부 주도로 개발 중인 드론 수소연료전지(출처 : 영국 정부 홈페이지)
1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