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배발원"으로 검색하여,
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현재 서울 도심에서 화려한 치장을 한 오토바이가 굉음을 울리며 도심 도로를 질주하는 것을 보는 것이 어렵지 않다. 오토바이를 타고 시골 비포장 도로를 달리거나 광활한 미국 서부 사막의 도로를 홀로 질주하는 것은 모든 남성들의 로망이다. 이제 한국에서 머리에 손수건을 쓰고 온몸에 문신을 한 오토바이 운전자를 보는 것도 어렵지 않다.‘오토바이가 1대 팔릴 때마다 ‘과부’가 1명씩 생긴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오토바이는 운전자가 많이 다치거나 사망하는 교통수단이다. 오토바이를 이륜차라고 부르는데, 편의상 일반인들이 많이 부르는 오토바이로 통일했다.인도나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이륜차뿐만 아니라 삼륜차도 많이 보급돼 일반 사륜차와 구분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거의 없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았다.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해 대기오염을 가중시키고, 도로와 횡단보도를 개념 없이 질주하며 귀에 거슬리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오토바이는 ‘황야의 무법자’라는 표현이 적절할 정도로 골치거리이다.일부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풀고 폼을 잡기 위해 타지만 배달원은 생계를 위해 오토바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오토바이의 안전을 평가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K-Safety 진단모델’을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K-Safety 진단 모델로 오토바이 종합평가 결과 [출처=iNIS]◇ 음식과 화물 배달사업이 활성화면서 오토바이 사고도 급증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택배와 같은 배달업이 급성장하면서 오토바이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과거에는 일부 중국음식만 음식을 배달했지만 ‘배달의 민족’ 등 음식을 배달해 주는 배달 앱이 유행하면서 모든 음식은 오토바이로 배달된다. 도로에 택배, 음식 등을 배송하는 오토바이가 늘어나면서 사고도 덩달아 많아지고 있다.국토교통부와 경찰청에 따르면 2019년 1~5월 교통사고 사망자는 1347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감소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