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김준동"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17▲ 두산에너빌리티, 한국남부발전과 양수발전 기자재 국산화 MOU 체결(한국남부발전 김준동 사장과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부회장) [출처=두산그룹]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2025년 9월16일(화) 경기도 성남시 분당 두산타워에서 한국남부발전(이하 남부발전, 김준동 사장)과 양수발전 기자재 국산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협약식에는 남부발전 김준동 사장과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부회장, 손승우 파워서비스BG장을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양수발전 핵심 기자재 설계와 제작 기술 자립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해외 선진사와 협력을 통해 기자재 설계 및 제작 원천기술 확보에 속도를 낸다. 남부발전은 국산화 제품 실증 환경을 제공하고 판로 개척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정부의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7년까지 국내에 설비용량 5.7기가와트(GW)(총 9개소) 규모의 양수발전소가 건설될 예정이다.두산에너빌리티는 남부발전과 향후 양수발전 프로젝트 진행 시 국산 기자재 활용으로 실질적 국산화율을 높이고 나아가 국내 산업 생태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두산에너빌리티, 한국남부발전과 양수발전 기자재 국산화 MOU 체결 후 기념촬영(한국남부발전 김준동 사장(앞줄 왼쪽에서 여섯 번째)과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부회장(앞줄 오른쪽에서 여섯 번째)을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들) [출처=두산그룹]두산에너빌리티는 2025년 6월 한국수력원자력과 3300억 원 규모 영동양수발전소 1, 2호기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양수발전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또한 세계적인 양수발전 주기기 공급사인 오스트리아 안드리츠사와 협력을 통해 양수발전 주기기 설계 기술 국산화를 진행하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부회장은 “최근 양수발전 건설이 늘어나며 주기기 설계 및 제작 기술 자립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실증 환경을 제공한 남부발전과의 협력을 통해 양수발전 기자재 국산화 속도를 높이겠다&rd
- 
	    
		▲ 포스코인터내셔널, 한국남부발전과 ‘국내 LNG 벙커링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왼쪽부터 민창기 포스코인터내셔널 본부장, 박영철 한국남부발전 부사장) [출처=포스코인터내셔널]포스코인터내셔널(대표이사 사장 이계인)에 따르면 2025년 9월15일(월)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한국남부발전(사장 김준동)과 ‘국내 LNG 벙커링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LNG 벙커링(Bunkering)은 선박의 추진연료로 사용되는 LNG를 선박에 공급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날 행사에는 민창기 포스코인터내셔널 본부장과 박영철 남부발전 부사장 등 양사 관계자 10여명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으로 남부발전은 2027년부터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국내 LNG 벙커링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기조에 따라 저공해 에너지인 LNG 수요는 중장기적으로 전체 선박 연료 시장의 20퍼센트(%)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하지만 국내 LNG 벙커링 사업은 아직 시작 단계에 머물러 있어 본격적인 상업화와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발전공기업 최초로 LNG 연료 추진선 ‘남부 1호’와 ‘남부 2호’를 도입한 남부발전은 2023년 첫 출항 이후 국내 LNG 벙커링의 경쟁력 저하로 싱가포르 등 해외에서 연료를 공급받아왔다.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이동 항로 및 시간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국내 LNG 벙커링 사업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이번 협약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협력해 국내 LNG 벙커링 사업을 활성화하고 나아가 에너지 조달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선도적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특히 에너지 전환 시대에 민간과 공공이 힘을 합쳐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LNG 벙커링 허브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3년 포스코에너지와 합병을 통해 LNG 탐사·생산부터 수송, 저장, 발전에 이르는 밸류체인을 수직계열화하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