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관련기업"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05-18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는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1)' 전시회가 개최됐다. 옥스드론은 전시회 현장에 기자들을 파견해 참여한 기업들을 취재했다. 국내 드론 산업의 발전과 기술력을 소개하는 것이 글로벌 드론 종합지를 지향하는 목표와 부합하기 때문이다. (주)넥스앤텍, (주)ASOA, 순돌이드론, 성우엔지니어링, (주)만물공작소, 디브레인에 이어 일곱번째로 소개하려는 기업은 (주)씨너렉스(SYNEREX, 이하 씨너렉스)이다.씨너렉스는 지난 2016년 9월 설립했다. 센티미터급 초고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구현이 가능한 MBC의 Broadcast RTK 서비스용 수신기 및 관련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IMU, INS 연구개발 및 국산화를 통해 정밀 농업 및 자율주행차에 적용을 검토하는 중이다. 건설기계 및 자율주행등에 적용되는 초저지연 영상 전송기술도 보급하고 있다.주요 적용 분야는 스마트 건설, 크레인·선박·항만,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 로봇 및 AR/VR, 정밀 농업, UAV·드론·국방, HD Map 등이다.주요 제품으로 MBC의 Broadcast RTK 서비스용으로 공급하는 MRD-1000T, MRP-2000, MRP-2000 UAV Kit, MDU-2000 UAV Kit, SHR-700H, TDR-3000, TDR-2000 등이 있다.♦ TDR-3000(출처 : 홈페이지)TDR-3000은 듀얼 안테나를 지원하고 GNSS RTK 수신기이다. 또한 MRP-2000은 멀티 GNSS 자료처리 기능을 탑재한 RTK 수신기이다.♦ MRP-2000(출처 : 홈페이지)그리고 추측 항법 기술이 적용된 GNSS/INS 장비 MGI-2000, SIR-2020은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을 실현하는데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씨너렉스는 4차 산업혁명의 뿌리가 되는 RTK GPS 솔루션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 적극 진출해
-
2019-11-28글로벌 블록체인 분석기업 븍록데이타(Block Data)에 따르면 2019년 3분기 중국의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전개하는 기업수가 10만개를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이중 e-커머스 대기업 알리바바(Alibaba), Ping An의 핀테크 부문 OneConnect, 국영통신사업자 차이나유니콤(China Unicom) 등이 블록체인 특허를 보유한 기업 상위에 랭크됐다.바이두(Baidu), 텐센트(Tencent), 비트코인 채굴기업 Bitmain, 디지털 은행 관련 기업 WeBank, JD의 금융 부문 JD Digits 등이 10위권 내에 진입했다.현재 중국 내 블록 체인 관련 프로젝트의 약 50%는 금융서비스의 애플리케이션이다. 블록체인 관련 특허 중 34%는 결제시스템, 30%는 인프라, 27%는 정보보안관련 특허, 5%는 디지털 화폐 관련 특허인 것으로 조사됐다.일본의 조사기업 Astamuse는 2009년~2018년까지 중국 기업과 정부기관에 의해 약 7600개의 블록체인 관련 특허를 신청한 것으로 파악했다.또한 지난 20일 국가표준화 관리위원회(SAC)는 국무원의 승인을 받아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국가 차원의 표준화위원회를 설립했다.블록체인 업계에서는 관련 기술 개발 및 적용에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기술개발에 투자하려는 기업이 급증하고 있다.최근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은 블록체인의 발전을 가속시켜야 한다고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중국 정부의 발빠른 대응 및 정책으로 인해 향후 첨단기술 혁신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BlockData▲ 븍록데이타(Block Data) 홈페이지
-
[인도네시아] 정부, 2016년국산 '공작기계' 수출이 해외수입의 10%에 불과해 수입의존도 높다고 평가...현재 관련기업 30개에 근로자 1500명 미만으로 집계돼 타국가 대비 소규모에 속함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