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1
"태국"으로 검색하여,
20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28▲ 두산에너빌리티 로고 [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분당 두산타워에서 한전KDN과 ‘에너지 분야 디지털 전환에 따른 기술 경쟁력 강화 및 공동사업 모델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협약식에는 한전KDN 박상형 사장, 두산에너빌리티 송용진 전략 혁신 부문장(사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을 계기로 양사는 각자의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에너지 산업의 디지털화와 신사업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에너지 정보통신기술(ICT) 플랫폼 전문기업 한전KDN과 손잡고 에너지 분야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인다.이를 위해 △에너지 분야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및 확산 △에너지 분야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한 기술 협력 △송·변전 및 배전 분야 제어시스템 기술 개발 등을 위한 공동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2013년부터 디지털 전환을 추진해 온 두산에너빌리티는 기존 발전·기계 분야 역량에 정보기술(IT) 기술을 접목해 국내는 물론 태국, 인도 등 해외 발전소에도 디지털 솔루션을 공급해왔다.특히 자체 개발한 예측 진단솔루션 ‘Prevision’은 높은 정확도를 바탕으로 설비 고장을 사전에 감지하며 발전소 운영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 송용진 전략 혁신 부문장은 “발전소 현장에서 축적한 두산의 디지털 역량과 한전KDN의 ICT 전문성이 결합하면 에너지 분야의 AI 적용과 디지털 전환이 한층 가속화될 것이다”며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의 경쟁력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2025-04-11▲ 동국제강 로고[출처=동국제강]동국제강그룹 동국씨엠(대표이사 박상훈)에 따르면 2025년 4월10일(현지시간 기준) ‘동국씨엠 오스트레일리아 사무소 개소식(DONGKUK CM Australia Office Opening Ceremony)’을 가졌다.미국·일본·멕시코·인도·태국·베트남·독일에 이은 8번째 진출 국가다. 대양주는 ‘럭스틸’(Luxteel)로 대표되는 동국씨엠 건재 컬러강판 총 수출에서 20퍼센트(%)를 차지하는 핵심 지역이다.2015년 최초 진출 이후 지속적인 현지 수요 증가로 수출 물량이 5배 가량 상승한 바 있다. 동국씨엠은 2024년 7월에 오스트레일리아를 차기 거점 검토 대상으로 정하고 2회에 걸친 현지 조사를 통해 건축 내외장재 등 분야서 고급화 수요가 존재함을 확인했다.2032 브리즈번 올림픽 등 중장기적 관점에서도 미래 핵심 수요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현지 거점 확보가 필요하다 판단해 거점 개소를 결정했다.동국씨엠 오스트레일리아 사무소는 멜버른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중심업무지구)에 위치한다. 현지 제조 업체 및 주요 고객사가 인접해 영업 환경이 우수하며 코일센터·롤포밍업체가 위치한 산업공단과도 30분 거리다.동국씨엠은 오스트레일리아 사무소를 기반으로 한국에서만 만들 수 있는 프리미엄 건축용 컬러강판 ‘럭스틸’을 중심으로 적극적 영업 활동을 통해 대양주 내 고급 건축 수요를 공략할 방침이다.개소식에는 김진영 동국씨엠 영업실장 및 현지 주요 고객사 포함 약 20명이 참석했다. 당일 주요 고객사와 ‘DK 컬러 비전 2030’ 전략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김진영 동국씨엠 영업실장은 “통상 환경 변화 속 수출 전략 다변화를 위해 현지 거점 확보는 필수적이다”며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한국만이 생산 가능한 특화 상품 ‘럭스틸’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다품종 소량생산 수요 맞춤형 컬러강판으로 신수요를 창출해 갈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
▲ 대표 3D 영화인홍보 이미지 [출처=위키피디아]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자충우돌(左衝右突) 경제정책이 전 세계를 공포의 도가니에 몰아넣고 있다. 미국 국민은 가격 상승을 우려해 휴지, 계란 등 생필품 사재기에 나서는 중이다.중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 국가는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패닉상태에 빠졌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국가의 금융시장도 혼란스러운 상태다.미국의 극단적인 통상정책은 우리나라 대기업도 사업전략을 수정해야 하는 처지로 전락했다. 중국, 베트남, 멕시코 등 해외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옮겨야 하는지 혹은 어떤 관세대응책을 찾아야 하는지 고민이 깊어졌다.◇ 삼성전자 광고의 정체성 논란... 빅스타를 내세우지만 명확한 정체성이나 철학 부재삼성그룹의 간판 기업인 삼성전자의 정체성은 무엇일까? 일부에서 얘기하는 ‘품질에 맞는 저렴한 가격을 제시하는 제조기업’인지, 아니면 ‘시대를 선도하는 기술기업’인지 정체성을 세워야 한다.삼성전자도 어정쩡한 위치로 더 이상 버티기는 어려울 것이다. 대만 기업과 같은 전문 제조기업에서 멈출 것인지 아니면 선진국 기업과 같은 브랜드를 가진 기술기업으로 갈 것인지 정해야 한다.2011년 5월 애플은 삼성의 스마트폰이 자사 아이폰의 디자인 등을 모방했다고 소송을 제기했다. 애플은 검은 사각형에 둥근 모서리를 둔 스마트폰 및 태블릿의 기본 디자인, 액정 화면의 테두리(프런트 페이스 림), 애플리케이션 배열(아이콘 그리드) 등 3가지를 침해당했다고 주장했다.애플은 US$ 10억 달러의 배상금을 요구했지만 1심에서는 손해배상액이 9억3000만 달러로 결정됐다. 삼성전자는 2015년 애플에 5억4800만 달러를 우선 지급했다. 디자인 특허 침해 배상액은 약 3억9000만 달러였다.2018년 5월 미국 캘리니아주 새너제이 연방지방법원은 삼성전자가 애플에 5억3900만 달러를 배상하라고 결론을 내렸다. 대법원이 배상액 산정 기준에 문제가 있담 파기환송하며 재판은 원점을 돌아갔다.배심원단은 파기환송심에서 디자인 침해는 5억3300만 달러, 유틸리티 특허 침해는 530만 달러를 배상하라고 결론을 내렸다. 애플과 삼성전자는 대법원에 가기 전에 합의를 도출했다.미국 법원은 삼성전자가 출시할 예정인 새 모델 스마트폰의 샘플을 애플에 제공해 모방했는지 여부를 가리도록 명령했다. 삼성이 애플에 핵심 부품을 공급하면서 애플의 신제품에 대한 정보를 입수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대표적인 제품인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은 영혼과 철학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삼성전자의 전략은 아주 단순하다. 경쟁자가 개척한 시장이 커지기를 기다렸다가 자사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제품을 골라 벤치마킹한다.기본적인 기능 외에 부가적인 기능 몇 개를 추가하고 대규모로 생산해 시장에 출시한다. 제품의 디자인, 기능, 하드웨어 성능, 가격으로 경쟁해 최소한 2등은 할 수 있다.삼성전자를 글로벌 선도기업이라 부를 수 없는 이유이고 1위 기업이 되기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일부 해외 시장분석가들이 삼성을 단순한 베끼기 전문기업, 백화점식 제조기업에 불과하다고 평가하는 이유다.이와 같은 시장 접근법은 마케팅 전략에도 고스란히 투영돼 있다. 삼성전자가 애니콜 브랜드인 휴대폰을 대체하기 위해 내세웠던 갤럭시S도 처리속도와 두께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스마트폰의 경쟁력은 처리속도나 새로운 기능이라기보다는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있지만 이를 소화할 수 없는 형편이었기 때문이다.2011년경 삼성전자가 LG전자와 벌였던 3D TV 논쟁도 기술력 차이에 맞췄지만 소비자들은 가격과 편의성에 더 관심을 가졌다.2011년 4월 대표적 3D 영화인 <아바타>를 제작한 제임스 카메론 감독도 3D TV 방식의 논쟁에 대한 질문을 받고 공개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LG전자의 방식이 좋다고 밝혔다.LG전자가 3D TV시장에서 삼성보다 앞서 간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였다. 하지만 삼성전자, LG전자, 소니 등이 치열하게 다퉜던 3D TV 시장은 꽃도 피워보지 못하고 망했다.삼성전자의 광고는 무조건 화려하고 좋은 위치를 점유하고 노출이 많은 시간대에 집중된다. 광고 내용은 ‘빅스타’를 모델로 내세워 눈길을 끌거나 제품을 나열하는 방식을 선택한다.다른 말로 표현하면 광고의 콘셉트가 일관되지 않다. 광고모델로 기용하는 빅스타의 이미지나 내세우는 메시지도 보이지 않는다.삼성전자의 광고가 정체성이 없는 것은 광고 대행사의 문제가 아니라 삼성전자 경영진의 문제라고 지적받는다. 제품에 대한 명확한 철학을 세우는 기업문화(corporate culture)가 없기 때문에 창의적인 제품을 개발하지 못한다.세상을 위해 어떤 제품을 내놓을 것인지 고민하지 않고 이미 시장에서 검증된 제품을 모방해서 대규모로 생산하는 것 이상의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는다.삼성전자의 광고에도 제품과 기업에 대한 철학을 일관되게 내세워 정체성을 확보하는 것이 삼성그룹이 기업문화 혁신을 위해 해야 할 일이다. ◇ 세계가 보는 삼성전자의 이미지... 하청에 올인했던 대만기업과 달리 자체 브랜드 육성에는 성공19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삼성전자는 해외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기업이었다. 1990년대 중반으로 가면서 백색가전을 필두로 브랜드를 알리기 시작했고 반도체 신화를 바탕으로 확고한 명성을 쌓았다.삼성전자가 일반인에게 친숙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일반 소비재인 휴대폰이 급속하게 보급되자 디자인과 아기자기한 기능으로 무장한 삼성의 애니콜이 해외시장을 개척하면서 좋은 이미지를 얻었다.미국, 유럽,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등 선진국뿐만 아니라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등의 국가에서도 삼성전자의 브랜드 선호도는 대한민국 국가보다 높다.삼성이 해외에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보다 더 나은 대접을 받는 셈이다. 개인적으로 1990년대 중반 해외에서 만난 외국인 대부분은 내가 한국 출신이라는 것을 밝히면 ‘샘성(Samsung)’이 최고라며 엄지손가락을 치켜 세웠다.그때까지만 하더라도 일본의 소니, 샤프, 파나소닉 등이 세계 시장을 석권하고 있었고 품질도 삼성전자가 따라갈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단지 예의상 한국에 대해 알고 있다고 얘기하려다 보니 아는 것은 삼성이라는 브랜드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래도 한국에 삼성전자가 있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꼈다.2002년 한일월드컵에서 한국이 4강까지 진출하고 붉은 악마가 한국의 열정적인 아이콘으로 세계에 알려졌다. 덩달아 삼성전자, LG전자와 같은 제조기업의 브랜드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이제 삼성전자하면 항상 세계 최고, 세계 최초, 세계 최대 등 수식어가 붙는 첨단기업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삼성은 모든 광고를 이 부문에 초점을 맞췄고 결과적으로 ‘기술력을 갖춘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심는 데는 성공했다.삼성전자의 제품개발 능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창의적인 제품을 개발해 시장에 내놓은 적은 없지만 경쟁제품을 베끼고 시장의 수요에 맞춰 개선하는 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소위 말하면 시장대응 능력이 뛰어나다고 보면 된다.‘삼성이 하면 다르다’는 인식이 세계 소비자에게도 어느 정도 각인되고 있는 중이다. 브랜드 인지도에서는 뒤처지지만 최소한 품질이나 디자인에서는 글로벌 기업과 경쟁할 수준은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삼성전자가 괄목할 만한 브랜드 인지도를 가지는 동안 대만의 경쟁기업들은 선진국 유명 브랜드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과 제조사개발생산(ODM)에 집중했다.삼성전자는 안정적인 하청공장보다는 위험하지만 자체 브랜드를 키우는 전략을 선택했고 결과적으로 보면 옳았다. 대만 기업은 일부 저가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아직도 하청기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삼성전자는 한 번 쌓은 브랜드 이미지와 새로운 시장 공략경험을 바탕으로 제품을 늘리고 있어 전자업계의 포식자로 불린다.삼성전자의 먹성이 어디까지 갈 것인지, 어떤 제품을 타겟으로 정했는지에 따라 전 세계 전자업계의 지각이 변할 것이라고 본다.반도체 시장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가전업게에서는 TV, 냉장고, 에어컨, 건조기 등에서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계속 -
-
2025-03-12▲ 말레이시아 인손 그린테크의 차지EV 사업이 국영 투자회사 카자나로부터 투자받는다.[출처=인손 그린테크 홈페이지]2025년 3월12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태국을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인손 그린테크의 차지EV 사업이 국영 투자회사 카자나로부터 투자받는다.말레이시아 LHSB는 태국 RD를 마스터 프랜차이즈로 해 향후 10년간 국내 티라이브 아웃렛 80개를 연다.◇ 말레이시아 인손 그린테크(Yinson GreenTech), 카자나(Khazanah Nasional Bhd)로부터 투자받아말레이시아 인손 그린테크(Yinson GreenTech)의 전기자동차(EV) 충전소 사업 차지EV(chargeEV)가 국영 투자회사 카자나(Khazanah Nasional Bhd)로부터 투자받는다.사업 운영을 확대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EVCI)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이는 카자나의 저탄소 미래에 대한 전환 목표 및 '국내 창조' 프레임워크와 일치한다.인손 그린테크에 따르면 2024년 12월 PPU(Pay-Per-Use) 매출액은 5배 증가했으며 충전 세션은 동기간 대비 2배 늘어났다.◇ 말레이시아 LHSB(Loob Holding Sdn Bhd), 향후 10년 안에 티라이브(Tealive) 아웃렛 80개 열 계획말레이시아 LHSB(Loob Holding Sdn Bhd)는 향후 10년 안에 태국에서 자사가 소유한 차브랜드 티라이브(Tealive)의 아웃렛 80개를 열 계획이다. 차, 커피, 프리미엄 초콜렛, 과일 스무디 등의 음료와 디저트류를 선보인다.LHSB는 인도 DIL(Devyani International Ltd)의 태국 자회사 RD(Restaurants Development Co Ltd)를 마스터 프랜차이즈(MF)로 선택했다. 참고로 RD는 국내 KFC 매장 300개의 운영을 맡고 있다.
-
▲ 2024년 크룽스리의 순이익은 290억 바트를 기록했으며 시장 점유율 19%를 차지했다[출처=크룽스리은행 홈페이지]2025년 2월28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필리핀과 태국을 포함한다. 필리핀 디지플러스는 싱가포르로의 사업을 확장하고자 디지플러스 글로벌을 설립한다.태국 크룽스리은행은 2025년 대출 증가 목표에 대해 2~4%로 설정했다.◇ 필리핀 디지플러스(DigiPlus), 싱가포르에 디지플러스 글로벌(DigiPlus Global) 설립필리핀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업체 디지플러스(DigiPlus)가 싱가포르에 디지플러스 글로벌(DigiPlus Global)을 설립함으로써 국제적 입지를 다지겠다고 밝혔다.디지플러스 글로벌은 디지플러스의 100% 자회사인 디지베스트 홀딩스(Diginvest Holdings, Inc.)가 전액 소유한다. 싱가포르에서는 아이게이밍(i-Gaming) 사업에 참여하지 않을 방침이다.참고로 디지플러스는 정부에서 처음으로 승인한 온라인 빙고 플랫폼 빙고플러스(BingoPlus), 스포츠북 아레나플러스(ArenaPlus), 캐주얼 및 아케이드 게임 플랫폼 게임존(Gamezone) 등을 운영하고 있다.◇ 태국 크룽스리은행(Krungsri Bank), 2030년 지속가능한 금융목표에 대해 기존 1000억 바트에서 2500억 바트로 대폭 상향 조정태국 크룽스리은행(Krungsri Bank)은 2030년 지속가능한 금융목표에 대해 기존 1000억 바트에서 2500억 바트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2024년까지 지출 금액 950억 바트를 바탕으로 SSF(Social and Sustainability Finance)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방침이다.2025년 대출 증가 목표에 대해 2~4%로 설정했으며 기업 대출은 5~7%로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태국의 예상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7%라는 것에 근거해 낙관적으로 전망했다.2024년 크룽스리의 순이익은 290억 바트를 기록했으며 시장 점유율 19%를 차지했다.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라오스, 캄보디아 등 아세안 지역에서의 수익은 전체의 약 20%이며 1900만 명 이상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 필리핀항공(PAL)은 베트남에서의 시장을 확장하고자 필리핀 세부에서 베트남 호치민까지 직항 노선을 운영할 방침이다.[출처=PAL 홈페이지]2025년 2월14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필리핀과 태국을 포함한다. 필리핀항공은 베트남에서의 시장을 확장하고자 필리핀 세부에서 베트남 호치민까지 직항 노선을 운영할 방침이다.일본 닛산 자동차는 태국에 위치한 2개 자동차공장 주 하나를 폐쇄하며 국내 일자리 약 1000개를 감축할 계획이다.◇ 필리핀항공(PAL), 2025년 5월2일부터 필리핀 세부-베트남 호치민 직항 노선 운영필리핀항공(PAL)에 따르면 2025년 5월2일 세부를 출발하여 베트남 호치민에 도착하는 직항 노선을 운영한다. 매주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 총 3번 운항돼 목요일, 토요일, 월요일에 복귀한다.노선에 활용될 에어버스 A321 제트 여객기는 승객 199명을 수용하며 비즈니스클래스와 이코노미클래스 서비스를 모두 제공한다. 마닐라-하노이-마닐라 노선 또한 매일 운항하며 베트남에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일본 닛산자동차, 운영비용 절감위해 태국 공장 가동 종료일본 닛산자동차는 태국 사뭇쁘라깐(Samut Prakan)에 위치한 2개 자동차공장 중 하나를 폐쇄할 계획을 밝혔다. 혼다와 US$ 600억 달러(2조200억 바트) 가치를 지닌 합병 협상이 불발된 이래 태국에서 일자리 약 1000개를 감축한다.회계연도 2026년 동안 운영비용 4000억 엔(878억 바트)을 절감했을 때 4%에 달하는 영업 이익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2024년 12월31일 마감된 분기에 닛산의 운영이익은 311억 엔(68억4000만 바트)으로 전년 동기 1416억 엔(311억8000만 바트) 대비 77% 감소했다.
-
2009년 설립된 영원무역의 주요 사업은 의류 등 제품 OEM 생산 및 수출이다. 주요 제품으로는 △아웃도어 의류·용품 △자전거·스포츠 용품 등이 있다. 미국 아웃도어 브랜드인 노스페이스(The North Face Inc)의 국내 유통 기업이기도 하다.2024년 라이선스 계약 변경으로 영원아웃도어의 노스페이스 브랜드 상표권은 2032년까지 연장됐다. 영원아웃도어의 양대 주주는 영원무역홀딩스와 골드윈이다. 한편 2025년 1월1일부터 스키복 및 보드복 브랜드인 골드윈의 라이센스는 해지됐다.영원무역은 한국 본사를 비롯해 글로벌 사업장으로 △일본 △홍콩 △대만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방글라데시 △인도 △우즈베키스탄 △튀르키예 △에티오피아 △스위스 △포르투갈 △미국 △엘살바도르 △뉴질랜드 등을 운영하고 있다.영원무역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영원무역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영원무역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ESG 경영 비전 및 추진방향 수립... 2023년 부채총계 1조7091억 원으로 부채율 33.33%영원무역은 기업의 핵심가치인 H.E.A.R.T에 기반해 ESG 비전 및 철학을 수립했다. 핵심가치(H.E.A.R.T)는 △HONESTY&INTEGRITY(정직함&진실성) △EXCELLENCE(탁월함) △AGILITY(민첩함) △RESPONSIBILITY(책임감) △TOGETHER(함께로) 수립했다.ESG 비전과 철학은 ‘안전한 근무환경, 환경적 지속가능성, 지역사회와의 동반 성장을 통해 지속가능한 변화들을 이끌어 나가겠습니다’로 밝혔다.3대 추진방향은 △ESG 경영체계 구축 △ESG 역량강화 및 지속가능경영시스템 고도화 △ESG 내재화를 통한 글로벌경영 선도로 각 영역에 따른 중점과제를 설정했다.2024년 3월 기준 이사회 구성원 수는 총 7명으로 사내이사 3명, 사외이사 4명으로 구성됐다. 2024년 3월 기준 여성 이사 수는 2명으로 조사됐다.2023년 이사회 구성원 수는 총 10명으로 사내이사 5명, 사외이사 5명으로 구성됐다. 2021년과 비교해 구성원 수는 변동이 없었다. 2023년 여성 이사 수는 2명으로 2021년 2명과 비교해 여성 임원의 비율은 변동이 없었다.2021년 3월 ESG 경영을 위해 이사회 산하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치했다. ESG 경영과 관련한 이슈 파악과 ESG 경영 추진 방향성 및 과제 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2024년 3월 기준 지속가능경영위원회의 구성원은 총 5명으로 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3명으로 구성됐다.2023년 자본총계는 3조5879억 원으로 2021년 2조4342억 원과 비교해 47.40% 증가했다. 2023년 부채총계는 1조7091억 원으로 2021년 1조1134억 원과 대비해 53.51% 증가했다. 2023년 부채비율은 33.33%로 2021년 50.00%와 비교해 감소했다.2023년 매출액은 3조6043억 원으로 2021년 2조7925억 원과 대비해 29.07% 증가했다. 2023년 당기순이익은 5330억 원으로 2021년 3343억 원과 비교해 59.46% 증가했다. 2023년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부채 상환에 약 3.2년이 소요된다. ◇ 2023년 여성 임직원 평균 급여액 남성의 87.21%... 2023년 첫 번째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최우선 가치로 전 직원의 안전과 보전을 인식하며 안전보건 경영방침을 수립했다. 경영방침에 따른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구축하며 최고안전보건책임자를 임명해 각 사업장별 관리감독자와 안전보건관리자를 지정했다고 밝혔다.안전경영 비전은 ‘능동적인 안전보건 예방문화 정착’으로 경영 목표는 ‘직업성 질환 발생률 & 중대재해 비율 ZERO’로 정했다.2025년 달성 목표는 △임직원 안전보건 인식 개선 및 내재화 △선제적이고 자율적인 안전보건 예방정책 수립 △이해관계자별 취약점 파악과 대응방안 마련으로 설정했다.사회공헌 비전은 ‘지역사회 구성원의 건강과 행복을 만들어나가는 기업’으로 밝혔다. 사회공헌 전략은 △취약계층 지원 △학술 지원 △문화/스포츠 지원으로 수립했다.주요 활동은 △서울대 글로벌사회공헌단 지원 △진출국가 상생 프로그램 △숙명여대 산학협력 △지역사회 후원/기부 활동 등으로 다양하다.2023년 여성 임직원 평균 급여액은 7500만 원으로 2021년 6100만 원과 비교해 22.95% 인상됐다. 2023년 여성 임직원 평균 급여액은 남성 임직원 평균 급여액인 8600만 원의 87.21%로 2021년 95.31%와 비교해 감소했다.최근 3년간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1년 12명 △2022년 13명 △2023년 8명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지난 3년간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전무했다. 여성 임직원의 육아휴직 후 복귀 비율은 △2021년 67% △2022년 85% △2023년 50%로 집계됐다.최근 3년간 기부총액은 △2021년 29억 원 △2022년 46억 원 △2023년 39억 원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은 △2021년 0.2% △2022년 0.2% △2023년 0.3%로 집계됐다. 기부액은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활동에 대한 재무적, 비재무적 가치를 측정한 것으로 사회공헌 투자비용이 포함됐다.영원무역은 2023년 ESG 전략을 수립하며 2023년 첫 번째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영원무역홀딩스의 ESG Milestone Report를 발간해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2022년 6월에는 영원무역의 친환경 공단인 KEPZ의 생물다양성 보고서를 발간했다. ◇ 친환경경영시스템 및 환경경영 구축... 2023년 해외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 8만tCO2eq탄소중립·친환경 경영의 4대 방향성은 △온실가스 감축 △환경영향 최소화 △친환경 제품 확대 △환경인식 내재화로 수립했다. 환경 관련 주요 사안은 이사회 혹은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서 논의하여 리스크에 대응하고자 한다.해외사업장은 친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해외사업장 내 고위 경영진으로 구성된 환경자문위원회(Environmental Sustainability Council)를 운영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수립 및 과제 이행 현황의 모니터링, 환경경영 관리 및 감독을 진행하고 있다.베트남 사업장인 YNL은 친환경 Recycle 생산시스템을 도입 중이다. 방글라데시 사업장인 KSL은 폐기물을 활용한 패딩용 충전재 생산을 시작했다.친환경 원자재 및 제품 개발 목표는 △구입 원단의 Recycle 소재 비중 확대 △모든 원단 Scrap의 Recycle화 △친환경 신소재 원단 개발로 정했다.지속가능경영 보고서 환경 데이터 보고 범위는 국내 △만리동 △금광동 △명동 사업장과 해외 공장 및 사무소로 밝혔다.최근 3년간 국내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은 △2021년 550tCO2eq △2022년 508tCO2eq △2023년 549tCO2eq으로 근소하게 감소한 후 증가했다.해외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7만7869tCO2eq △2022년 8만4936tCO2eq △2023년 8만1552tCO2eq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2)은 지역 기반과 시장 기반으로 나뉘어 집계됐다. 최근 3년간 해외 지역 기반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5만6892tCO2eq △2022년 6만2116tCO2eq △2023년 5만1430tCO2eq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시장 기반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5만6892tCO2eq △2022년 5만5927tCO2eq △2023년 4만7470tCO2eq으로 감소세를 보였다.최근 3년간 국내 일반 폐기물 발생량은 △2021년 18.6톤(Ton) △2022년 21.6t △2023년 19.5t로 증가 후 감소했다.지난 3년간 해외 일반 폐기물 발생량은 △2021년 1만3610t △2022년 1만3392t △2023년 1만3606t으로 근소하게 감소 후 증가했다.해외 유해 폐기물 발생량은 △2021년 2029t △2022년 1698t △2023년 2091t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최근 3년간 해외 폐기물 처리량은 △2021년 1만2479t △2022년 1만5087t △2023년 1만5615t으로 증가세를 보였다.친환경 원자재로는 △GRS 인증 Recycled Yarn △GRS 인증 Recycled Fiber △GRS 인증 Recycled Chip으로 밝혔다. 지난 3년간 친환경 원자재 조달량은 △2021년 3220t △2022년 4765t △2023년 4454t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최근 3년간 환경 교육을 받은 임직원 수는 △2021년 280명 △2022년 260명 △2023년 300명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환경교육 이수율은 △2021년 90% △2022년 88% △2023년 99%로 집계됐다. ◇ 거버넌스·환경에서 개선사항 적지 않아... 여성육아 휴직자 감소세 및 남성육아 휴직자 전무△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2021년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치해 ESG경영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두렷한 실적은 없다.경영투명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치표인 사외이사의 구성은 변화가 없다. 양성평등 지료핀 여성임원도 2명으로 차이가 없지만 여성직원의 비율을 고려하면 적은 편이다.2023년 자본총계는 2021년과 비교해 늘렸는데 이는 부채비율을 낯추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증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사회(Social)=사회는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펼치고 있어서 관리가능한 위험으로 평가했다. 육아휴직 사용자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는 전무해 부정적으로 판단했다.여성의 육아휴직 후 복귀비율도 2022년 85%로 가장 높았고 2023년 50%로 하락했다.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은 0.2~0.3%로 낮은 수준이다. △환경(Environment)=환경은 탄소중립과 친환경 경영으로 실천하고 있으며 이사회와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서 대응하고 있다. 친환경 원자재을 자용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최슨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까지 증가하다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유해 폐기물 발생량은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친환경 원자재 조달량은 증가하고 있다.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
2025-02-06▲ 태국 임펙트 전시 매니지먼트 주식회사(IMPACT Exhibition Management Co., Ltd.)는 무앙 통 타니 지역을 MICE를 목적으로 한 관광 및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로 이끌고자 호텔 사업 확장에 집중한다.[출처=임펙트 홈페이지]2025년 2월6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필리핀과 태국을 포함한다. 필리핀 프리시젼 크레스텍은 2021년부터 이어진 퍼스트젠과의 재생에너지 공급 계약을 갱신했다.태국 임펙트 전시 매니지먼트 주식회사는 무앙 통 타니 지역을 MICE를 목적으로 한 관광 및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로 이끌고자 호텔 사업 확장에 집중한다.◇ 필리핀 프리시젼 크레스텍(Precision Crestec, Inc.), 퍼스트젠(First Gen)과 클린에너지 공급 계약 갱신필리핀 상업용 인쇄업체 프리시젼 크레스텍(Precision Crestec, Inc.)에 따르면 2025년 1월 말 재생에너지 기업 퍼스트젠(First Gen)과 맺었던 클린에너지 공급 계약을 갱신했다.퍼스트젠은 2021년부터 파시그시에 위치한 프리시젼 크레스텍 시설에 재생에너지 700킬로와트(kW) 상당을 지원한 바 있다.자매기업 Pi Energy Inc.와 함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소비 실황을 확인하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프리시젼 크레스텍은 1962년 설립돼 식음료, 전자제품, 제약, 전자상거래 및 소매에 대한 포장업으로 시작된 회사다. 내구성을 갖추되 탄소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적인 포장방법을 추구한다.◇ 태국 임펙트 전시 매니지먼트, 무앙 통 타니(Muang Thong Thani) 지역 MICE 산업 활성화위해 50억 바트 투자태국 전시회사 임펙트 전시 매니지먼트(IMPACT Exhibition Management)는 무앙 통 타니(Muang Thong Thani) 지역을 MICE(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를 목적으로 한 관광 및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50억 바트를 투자한다.2024년 엔터테인먼트 컴플렉스를 계획했으나 정부 지침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현재 호텔 사업을 확장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번 투자를 통해 1000개의 객실을 더할 방침이며 2028년까지 총 객실수를 2000개로 늘릴 계획이다.2025년 5월 예정된 무앙 통 타니에 위치한 핑크 라인 전철 2개 역 개통에 있어 임펙트는 12억 바트를 투입하기도 했다.임펙트에 따르면 2024년 임펙트 아레나(IMPACT Arena)의 전체 예약은 전년 대비 20% 증가해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전을 능가했다.2025년 3월31일 종료되는 회계연도 2024년에 대해 IMPACT Growth Real Estate Investment Trust의 매출이 25% 성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
2025-01-10▲ LG화학 노지혜 에스테틱사업부장, ‘비타란’ 태국 론칭 행사에서 제품 경쟁력 발표[출처=LG화학]LG화학(대표이사 신학철)에 따르면 2025년 1월10일(금요일) PN(Polynucleotide; 폴리뉴클레오티드)성분 스킨부스터 ‘비타란(HP VITARAN, 수출명 HP Cell VITARAN i)’ 태국 판매를 본격화했다. LG화학은 태국 에스테틱 시장에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간다.태국법인의 직판망을 바탕으로 2021년 태국에 첫선을 보인 미용필러 ‘이브아르(YVOIRE)’에 이어 에스테틱 제품군을 확장한 것으로 두 제품 간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의료미용 분야의 대표적 고성장 국가인 태국 시장 공략에 한층 더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비타란’은 2024년 재생의학 기술 연구 및 제조 기업인 ‘비알팜’에서 도입한 스킨부스터 의료기기로 주사제형, 고품질 원료 등이 특징이다.스킨부스터 의료기기의 경우 화장품으로 허가받은 스킨부스터 제품과 다르게 피부 내 주입이 가능해 직접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또 기초원료 생산기지인 비알팜 송어 양식장은 전남해양수산과학원의 수산물 안전성 조사 결과, 적합 시설(방사능 및 중금속 성분 불검출) 인증을 획득하며 원료 품질관리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 바 있다.태국은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에스테틱 시장으로 태국 미용피부성형학회에서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태국의 비침습시술 시장 규모는 2023년 7000억 원(US$ 4억8400만 달러)에서 2030년 1조5000억 원(10억8400만 달러)으로 2배 이상의 성장이 전망된다.특히 에스테틱 시장의 지향점이 자연스러운 피부 개선에 초점이 맞춰짐에 따라 필러 및 스킨부스터 등 간편한 주사 시술의 강세가 예상된다.이에 의사 및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복수의 제품군을 갖춘 기업에 기회 요인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LG화학은 ‘이브아르’, ‘비타란’에 이어 회사의 프리미엄 라인 필러인 ‘와이솔루션(Y-Solution)’ 사업도 준비 중으로 태국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지속 확대해 나갈 전략이다.LG화학 에스테틱사업부장 노지혜 상무는 “2011년 국내 기업 개발 최초의 히알루론산필러 ‘이브아르’ 출시 이후 전 세계 의료미용 고객에게 신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해외 시장 및 제품군 확대에 힘써왔다”며 “피부 개선, 안면 윤곽 등 전 세계 다양한 의료미용 수요에 맞춰 안전하고 효과적인 제품과 시술법을 지속 개발해 나갈 것이다”고 포부를 밝혔다.
-
▲ 태국 타이항공(THAI)의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458억3000만 바트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출처=THAI 공식 X(구 트위터)]2024년 11월11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태국을 포함한다. 싱가포르 스트레이츠 모바일 인베스트먼트는 말레이시아 U 모바일에 대한 지분을 축소한다. 이로써 현지의 지분율이 증가했다.태국 타이항공의 2024년 1월~9월 순이익은 152억2000만 바트로 집계됐다.◇ 싱가포르 스트레이츠 모바일 인베스트먼트(Straits Mobile Investment Pte Ltd), 말레이시아 U 모바일(U Mobile) 지분 49%에서 20%로 줄여싱가포르 스트레이츠 모바일 인베스트먼트(Straits Mobile Investment Pte Ltd)는 말레이시아 이동통신사 U 모바일(U Mobile)에 대한 지분을 49%에서 20%로 줄이기로 결정했다.U 모바일은 말레이시아 방송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로부터 두번째 5G 네트워크 제공업체로 선정됐다. 2023년 말까지 U 모바일 이용자 수는 900만 명을 달성했다.◇ 태국 타이항공(THAI), 2024년 3분기 매출액 458억3000만 바트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태국 타이항공(Thai Airways International, THAI)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458억3000만 바트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 자회사의 실적으로 포함했다.3분기 운영수익과 순이익은 각각 71억9000만 바트, 124억8000만 바트를 기록했다. 2024년 1월~9월 순이익은 152억2000만 바트로 조사됐다.2024년 9월30일 기준 타이항공은 총 77대의 항공기를 운영하고 있다. 2024년 10월 광동기 2대를 인수한 이래 2024년 동안 총 9대의 신규 기체를 보유하게 됐다.광동기는 항공기 내부에 복도가 2줄로 된 와이드 바디 항공기를 말한다. 수송할 수 있는 승객이 많아 장거리 노선에 주로 투입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