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CCU플랜트"으로 검색하여,
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현대건설, 와이케이스틸(YK Steel)과 ‘당진공장 CCU 기술 적용 및 상용화 추진’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출처=현대건설]현대건설(대표이사 이한우)에 따르면 2025년 11월25일(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계동 본사에서 와이케이스틸(YK Steel)과 ‘당진공장 탄소 포집 및 활용(Carbon Capture & Utilization, CCU) 기술 적용 및 상용화 추진’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날 행사에는 현대건설 김재영 기술연구원장, 와이케이스틸 장승호 대표이사를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와이케이스틸 당진공장 내에 1일 150톤(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CCU 플랜트 구축을 위한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습식 포집은 이산화탄소를 액상 흡수제를 이용해 흡수·포집 하는 기술이다. 현대건설이 철강 분야 CCU 플랜트까지 보폭을 넓히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이번 협약은 와이케이스틸이 제품 생산의 저탄소 전환을 위해 당진공장에 추진 중인 탄소중립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실시됐다.현대건설은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 및 액화하는 플랜트 시설과 관련 기술 등을 검증하며 와이케이스틸은 CO₂ 포집과 활용을 위한 제반 설비 연계와 사업장 확대를 위한 수요처 발굴을 담당한다.당진공장 내에 CCU 플랜트가 구축되면 와이케이스틸 철강 제품의 저탄소 생산이 가능해지며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액화 과정을 거쳐 액체 탄산 및 드라이아이스로 활용하거나 인근 스마트팜과 연계해 에너지 순환 클러스터로 운영될 계획이다.최근 정부의 강도 높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발표와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 등 철강과 같은 고탄소 산업군의 탄소 경쟁력이 화두가 되면서 현대건설은 CO₂ 포집 기술의 역량 강화와 기술 고도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탄소국경조정제도(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는 철강·알루미늄 등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