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AI-RAN 기술"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삼성전자·SK텔레콤, AI-RAN 기술로 손잡고 6G 선도 선언(SK텔레콤 류탁기 담당(왼쪽),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 정진국 센터장(오른쪽))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정재헌, SKT)과 인공지능 기반 무선접속망(AI-RAN)을 중심으로 핵심 6G 기술을 공동 개발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양사는 인공지능(AI) 기반 채널 추정, 분산 MIMO(다중입·다중출력) 전송, AI-RAN 기반 스케줄러, 코어 네트워크 아키텍처 등 6G 시대의 핵심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시험할 계획이다.AI 기반 채널 추정 기술은 건물이나 벽 같은 장애물로 전파가 왜곡되는 환경에서도 신호 변화를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보정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전체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단일 기지국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분산 MIMO 기술은 여러 기지국이나 안테나가 협력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조다. 이를 통해 도시와 농촌을 포함한 전 지역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초고속인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AI-RAN 스케줄러와 AI 기반 코어 네트워크는 데이터의 전송 시점과 위치, 방식을 최적화해 다수의 사용자 기기가 동시에 연결된 상황에서도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한다. 전체 통신 품질을 높일 뿐 아니라 미래 초연결 사회의 자동화를 구현하는 핵심 기반 기술로 평가된다.이번 협력에서 삼성리서치는 AI 기반 채널 추정 모델, 스케줄러, 분산 MIMO 등 AI-RAN 기술 개발을 담당하고 SKT는 전국망 운영 경험을 기반으로 데이터 제공과 테스트 인프라 구축을 담당한다.▲ 삼성전자와 SK텔레콤(SKT)이 인공지능 기반 무선접속망(AI-RAN)을 중심으로 핵심 6G 기술을 공동 개발하기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삼성전자 삼성리서치 정진국 센터장(오른쪽)과 SK텔레콤 류탁기 담당(왼쪽)) [출처=삼성전자] 양사는 AI-RAN 얼라이언스
-
2025-11-14▲ 11월 13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서 진행된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 2025’ 행사장 전경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11월13일(목, 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서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 2025(Silicon Valley Future Wireless Summit 2025)’를 개최했다.‘AI 네트워크가 여는 새로운 가능성(Unlocking New Possibilities with AI-Centric Network)’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글로벌 주요 이동통신사, 제조사, 정부 기관, 학계 리더 등 100여 명의 통신 전문가들이 참석했다.삼성전자는 이날 행사에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 ‘인공지능(AI) 내재화(AI-Native)’ 기술 개발 성과 등을 공유하며 6G 통신 기술 리더십을 선보였다.◇ 인공지능(AI)이 불러올 무선 통신의 혁신… AI-RAN 기술 검증 본격화행사는 △AI 기반 신규 서비스(AI-Driven New Services) △AI 무선 기술 혁신(AI Radio Innovation) △AI 네트워크 혁신(AI Network Innovation) 등 총 3개 세션으로 운영됐으며 참가자들은 패널 토의를 통해 자유롭게 질의하고 토론하는 시간도 가졌다.▲ 11월 13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서 진행된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 2025’ 행사장 전경 [출처=삼성전자]‘AI 기반 신규 서비스’ 세션에서는 △증강현실(AR)·확장현실(XR) △센싱 및 통신 융합(ISAC, Integrated Sensing and Communication) 등 AI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무선 통신망 서비스의 현실화 가능성이 논의됐다.‘AI 무선 기술 혁신’ 세션에서는 6G 통신의 핵심 기술인 AI-RAN의 최신 발전 현황과 AI를 통한 무선 통신망
1

